$\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두산 화산의 1654년 10월 21일 화산재구름 이동 기록에 대한 화산학적 고찰
Volcanological Interpretation of Historic Record of Ash Cloud Movement from Mt. Baegdu Volcano on October 21, 1654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7 no.1, 2018년, pp.17 - 24  

윤성효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두산 화산으로부터 폭발성 분화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1654년의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화산재 구름 이동의 역사기록을 화산학적 견지에서 고찰하였다. 1654년 10월 21일에 백두산에서 분화된 화산재와 화산가스가 북풍~북동풍의 바람을 타고 낮은 고도로 운반되어 재구름과 함께 한반도 남쪽으로 내려온 화산재로 해석할 수 있다. 그 영향 지역이 북쪽으로 함경도 남쪽 경계부에도 출현하였다는 것은 그 북쪽 즉 백두산에서 한반도 남쪽으로 남하한 것으로 평가된다. 분화지점인 백두산으로부터 약 500 km 이상 떨어진 경기도 적성과 장단 지역에 재구름이 통과한 것은 당시 백두산에서 중규모의 플리니식 분화로 형성된 분연주가 탁월풍의 영향으로 굽어진 형태로 지면을 따라 재구름을 형성하여 이동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를 유사 기상 장에서 수치 모의하여 재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olcanic history of the volcanic ash cloud movement recorded in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in 1654, presumably due to explosive eruptions from Mt. Baekdu volcano. On October 21, 1654, volcanic ash and volcanic gas erupted from Mt. Baekdu could be interpreted as volcanic ash, which was tr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하늘과 땅이 갑자기 캄캄해졌는데’, ‘연기와 안개 같은 기운이 서북쪽에서 갑자기 밀려오면서 하늘과 땅이 캄캄해지고’와 같은 표현에서 고속의 바람에 의해 운반되는 의한 거대한 재구름의 형성을 추정할 수 있다고 해석하였다. 백두산에서 약 140 km 정도 떨어진 곳까지 열기를 가진 재구름이 바람의 영향 하에 지면 가까이 낮은 고도로 운반되어 전해진 것으로 해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백두산에서 폭발성 분화로 형성된 분연주로부터 재구름이 한반도 남쪽으로 남하하는 자료를 찾아 이를 화산학적으로 해석하고 유사기상장에서 수치 모의하여 재현하였다.

대상 데이터

  • 조선왕조실록 제 35책 효종13권에 기록된 화산재의 이동을 규명하기 위하여 2012년 1년 동안의 실시간 기상장을 이용하여 백두산에서 임의로 분화한 화산재가 한반도 남부로 바로 이동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바람장을 유사 기상장으로 선정하였다. 2012년 5월 2일 21:00의 지상 분석 일기도(Fig. 2)에서와 같이, 일본 동쪽과 중국 북부지방으로 기압능이 위치해있고, 그 사이로 한만국경에 온도골을 동반한 기압골이 위치해 있다. 따라서 이 기압골은 일본 동쪽에 위치한 기압능에 의해 동진하지 못하면서 우리나라 쪽으로 남진해오면서 발달한다.
  • 조선왕조실록 제 35책 효종13권에 기록된 화산재의 이동을 규명하기 위하여 2012년 1년 동안의 실시간 기상장을 이용하여 백두산에서 임의로 분화한 화산재가 한반도 남부로 바로 이동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바람장을 유사 기상장으로 선정하였다. 2012년 5월 2일 21:00의 지상 분석 일기도(Fig.

이론/모형

  • 2012년 5월 2일과 3일의 실시간 기상장에서 백두산에서 분화한 것으로 가장하여 NOAA와 오스트레일리아기상청(Australia's Bureau of Meteorology)에서 개발한 HYSPLIT(The Hybrid Single Particle Lagrangian Integrated Trajectory Model; Draxler. and Hess, 1997, 1998)를 적용하여 수치 모의한 결과는 Fig. 3과 같다.
  • 또한, 수치모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USGS에서 사용하는 Ash3D 프로그램(Mastin et al., 2013)을 이용하여 동일 날짜에 재구름의 고도별 이동 궤적을 수치 모의한 결과 Fig. 4와 같이 도출되었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두산은 어떤 화산인가? 백두산은 고신기(Paleogene) 올리고세에 간헐적으로 화산활동으로 시작하여 신신기(Neogene) 마이오세~플라이오세의 왕성한 틈새분화의 결과로 현무암 용암대지(개마용암대지)를 형성하고 전기 플라이스토세에 들어와 분화 양식이 중심분화로 변경되어 천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순상화산을 형성하였고 후기 플라이스토세에 마그마의 성분이 알칼리 규장질 마그마로 변화되면서 조면암질 성층화산체를 형성하였고 홀로세에 폭발성 대분화를 하여 천지 칼데라 형성 단계를 거치 면서 만들어진 복합화산이다(Yun et al., 1993; Wei et al.
천지 칼데라는 어떤 특징을 갖는가? 넓은 의미의 백두산 화산지역(BVF: Baegdusan Volcanic Field)은백두산을 포함하여 중국과 북한의 국경지대를 포함하여 전체 신생대 화산암이 분포하는 면적 18,350 km2에 달하는 지역이며, 이들 대부분은 개마용암대지를 형성한다. 장백산맥의 최고봉인 백두산(2,750 m)은 산정부에 칼데라를 가진 성층화산의 외륜산 최고봉이며,천지 칼데라는 크라카토아형(Williams, 1941) 함몰칼데라로 그 직경이 약 5~6 km에 달하며, 깊이는 870 m에 이른다. 칼데라 내부에는 천지 호수가 있으며, 호수는 지름이 4.
활동적인 화산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 직접 육안으로 관찰하는 것 대신에 어떤 방법을 제시하는 가? 또한, 직접적으로 관측장비를 설치하여 화산체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은, 백두산이 우리나라의 실효적인 영유권 내에 존재하는 영토가 아니므로 마음대로 관측 장비를 설치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 경우 원거리에서 정밀 지진계를 통한 관측이나 위성을 이용한 지표변화에 대한 원격 관측 방법의 적용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백두산 화산의 과거 분화이력을 조사 분석하여 분화 특성과 성질을 파악함으로서 미래의 분화 가능성에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Draxler, R.R. and Hess, G.D., 1997, Description of the HYSPLIT_4 modeling system. NOAA Technical Memorandum ERL ARL-224, 24pp. 

  2. Draxler, R.R. and Hess, G.D., 1998, An overview of the HYSPLIT_4 modeling system for trajectories, dispersion, and deposition. Australian Meteorological Magazine, 47, 295-308. 

  3. Jin, D.C. and Cui, Z.X., 1999, A study of volcanic eruptions in Tianchi volcano, Changbai Mountains recorded in historic documents. Geological Review, 45, 304-307 (in Chinese). 

  4. Mastin, L.G., 2014, Testing the accuracy of a 1-D volcanic plume model in estimating mass eruption rat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19.5: 2474-2495. 

  5. Mastin, L., Randall, M, Schwaiger, H., and Denlinger, P., 2013, User's Guide and Reference to Ash3d: A Three-Dimensional Model for Eulerian Atmospheric Tephra Transport and Deposition, USGS, 58p. 

  6. Miyamoto, T., Kanno, H., Okuno, M., Nasu, H. and Makohonienko, M., 2010, Reconstruction of volcanic activities occurring in Baitoushan volcano after 10th century huge eruption. Earth Science of Baitoushan Volcano and its Adjacent Area (Edited by Hiromitsu Taniguchi) Center of Northeast Asian Studies (CNEAS) Tohoku University, Monograph Series, 41, 123-141 (in Japanese). 

  7. Pak, K. and Rim, K.M., 2010, On the volcanic eruption of Paektu volcano in the historic record. Earth Science of Baitoushan Volcano and its Adjacent Area (Edited by Hiromitsu Taniguchi) Center of Northeast Asian Studies (CNEAS) Tohoku University, Monograph Series, 41, 113-122 (in Japanese). 

  8. Wei, H., Wang, Y., Jin, J., Gao. L., Yun, S.H. and Jin, B., 2007, Timeless and evolution of the intracontinental Tianchi volcanic shield and ignimbrite-forming eruption, Changbaishan, Northeast China. Lithos, 96, 315-324. 

  9. Williams, H., 1941, Calderas and their origin: Bulletin of the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cations, 25, 239-346. 

  10. Yun, S.H., 2013, Volcanological interpretation of historic eruptions of Mt. Baekdusan volcano.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6), 456-469. 

  11. Yun, S.H. and Cui, Z..X., 1996, Historical eruption records on the Cheonji caldera volcano in the Mt. Paektu.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7, 376-382. 

  12. Yun, S.H. and Lee, J.H., 2011, Volcanological interpretation of historic record of 1702 fallout ash from the Mt. Baegdusan.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0(4), 243-250. 

  13. Yun, S.H., Won, C.K., and Lee, M.W., 1993, Cenozoic volcanic activity and petrochemistry of volcanic rocks in the Mt. Paektu a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9, 291-3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