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가정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팀 성과행동 코칭모델을 이용한 가정의 건강성 측정 척도 개발
Preliminary Study on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Healthy Family: Development of Scale to Measure Family Healthy by Team Performance Coaching Model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1 no.3, 2013년, pp.321 - 331  

김혜연 (제주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cale to measure family health an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by the survey in order to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 for healthy family. The sample of this study is taken by 522 housewives who are living in Seoul and are over the age of 40. The dat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im [11]의 연구는 조직의 경영구조 분석모델을 가정의 경영구조 분석에 적용한 최초의 시도였다. 그는 비영리조직의 총체적 진단 도구인 감마모델(GAMMA model)을 적용하여 가정의 건강성을 분석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감마모델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가정의 건강성은 가정철학, 가족활동(가사노동), 가족구성원의 능력향상, 가족구성원 간 의사소통, 가정의 조직문화, 가정의 역량, 사회적 관계망, 가정의 사회적 매력과 가정의 시각적 이미지의 8가지 영역에서였다.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Christoph의 조직 건강성, 팀 성과 행동, 조직 건강성 유형 등의 개념을 가정 건강성, 가족원 성과행동 및 가정 건강성 유형 등에 적용하여 가정의 건강성 측정 도구를 개발할 수 있는 가에 주된 연구 목적을 두었다. 또한 최소치 팀 성과행동에 초점을 두는 Christoph의 모델을 적용하면서 가정과 관련된 자료를 얻기 위해 최대치 및 최소치 가족 성과행동을 밝히고, 가정의 건강성에 대한 인식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밖에 본 연구는 Christopher의 조직 건강성 유형과 마찬가지로 가정 건강성 유형을 구분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밝힘으로써, 모델의 적용 타당도 및 앞으로의 적용을 위한 관련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가정의 건강성 척도를 기초로 한 건강가정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가정의 건강성 측정 척도를 개발하려는 기초 연구이다.
  • 이러한 Christoph의 팀 성과행동 코칭모델을 적용하여 본 연구는 가정의 건강성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두 개의 연구 과제를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우선 첫 단계는 Christoph의 조직 건강성과 팀 성과행동의 개념을 적용하여 가정 건강성과 가족 성과행동에 대한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Christoph의 조직 건강성, 팀 성과 행동, 조직 건강성 유형 등의 개념을 가정 건강성, 가족원 성과행동 및 가정 건강성 유형 등에 적용하여 가정의 건강성 측정 도구를 개발할 수 있는 가에 주된 연구 목적을 두었다. 또한 최소치 팀 성과행동에 초점을 두는 Christoph의 모델을 적용하면서 가정과 관련된 자료를 얻기 위해 최대치 및 최소치 가족 성과행동을 밝히고, 가정의 건강성에 대한 인식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또한 최소치 팀 성과행동에 초점을 두는 Christoph의 모델을 적용하면서 가정과 관련된 자료를 얻기 위해 최대치 및 최소치 가족 성과행동을 밝히고, 가정의 건강성에 대한 인식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밖에 본 연구는 Christopher의 조직 건강성 유형과 마찬가지로 가정 건강성 유형을 구분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밝힘으로써, 모델의 적용 타당도 및 앞으로의 적용을 위한 관련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상과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가정의 건강성 측정 척도 및 건강성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인식 하에 건강성 개념 및 원리 그리고 그 효과성이 입증된 팀 성과행동 코칭 모델(team performance coaching model)을[1] 적용하고자 한다. 팀 성과행동 코칭모델은 Christoph가 4,000개 이상의 비영리 및 영리 조직을 대상으로 조직의 건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한 모델로 그 효과성이 세계적으로 검증되어 온 것이다.
  •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무엇보다도 Christoph의 조직 건강성 개념 및 팀 성과행동 코칭모델을 적용하여, 가정의 건강성 척도와 그를 기초로 한 앞으로의 가정의 건강성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가정의 건강성에 대한 인식이 주관적 평가 및 심리적 인식에 의해 영향을 받았던 연구결과는 대상자의 잠재성과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인식 상의 변화를 통하여 변화와 성장을 돕는 코칭적 교육프로그램으로 가정의 건강성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본 연구 궁극적 목적을 지지해준다. 이 때 가정의 건강성에 대한 최소치 가족 성과행동, 가정의 건강성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가정의 상태와 결과에 대한 문항, 가정의 건강성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조사연구에서 나타나지 않는 가정의 건강성에 대한 심층적인 자료로 유용하다.

가설 설정

  • a)As the score goes higher, inner locus of control is increasing. b)As the score goes higher, modern attitude to sex role is increasing.
  • b)As the score goes higher, modern attitude to sex role is increasing. c)As the score goes higher, satisfaction of life is increasing.
  • b)As the score goes higher, modern attitude to sex role is increasing. c)As the score goes higher, satisfaction of life is increasing.
  • 첫째, 가정의 건강성에 대한 인식에 따라 가족 성과행동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가정의 건강성에 대한 최소치 및 최대치 가족 성과행동은 무엇이며, 가정의 건강성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가족 성과행동은 무엇인가? 셋째, 가정의 건강성 유형은 어떠하며, 이러한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무엇인가?
  • 첫째, 가정의 건강성에 대한 인식에 따라 가족 성과행동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가정의 건강성에 대한 최소치 및 최대치 가족 성과행동은 무엇이며, 가정의 건강성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가족 성과행동은 무엇인가? 셋째, 가정의 건강성 유형은 어떠하며, 이러한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무엇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진국은 가정과 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했나요?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급격한 사회 변화 속에서 가정폭력, 이혼, 가출 등의 가정문제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곧 사회문제의 증가로 연결되고 있다. 선진국은 여러 다양한 복지제도와 시설을 마련하여 이러한 가정과 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해왔다. 그러나 국가가 가정의 기능과 문제해결을 책임지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인식[3, 13]을 기초로, 최근에는 가정의 기능을 강화하며, 사회시설과 정책은 그를 지원해주는 체계로 복지국가의 초점이 변화하고 있다.
건강한 가족의 특징에 대한 연구 중 Otto의 연구는 무엇인가요? 가족분야에서는 가정의 건강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는데, 가정의 건강성보다는 주로 건강한 가족의 특징에 대한 연구 였다. 1960년대 Otto [18]의 강한 가족(strong family)에 대한 연구는 건강한 가족에 대한 선구적 연구로 꼽히는데, 공유하고 있는 믿음, 종교와 도덕적 가치들, 서로에 대한 신뢰, 공유하고 있는 가족전통, 사람들을 좋아함과 같은 특징을 제시하였다.
건강이란 무엇인가요? 원래 건강이란 사전적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한 상태’를 의미하는데[17],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는 신체적, 정신적(지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건강을 성취한 상태로 건강과 웰빙이 거의 동일한 개념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siacoachcenter. (2009). Coaching FT courses on improving group performance. Retrieved January 14, 2013, from http://www.asiacoach.co.kr 

  2. Cho, H. K., Kim, K. S., Jeoung, M. J., Song, H. R., Lee, S. M., Sung, M. A., et al. (2005). Introduction to healthy families. Seoul: Shinjeong. 

  3. Choi, S. N. (2000).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Osan: Hanshin University. 

  4. Deacon, R. E. & Firebaugh, F. M. (1988). Family resource management: principles and applications (2nd ed.). Boston: Allyn and Bacon. 

  5. Defrain, J. (1999). Strong families around the world. Family Matters, 53(Winter), 6-13. Seoul: Kyung Hee Family Council & Education Center. 

  6. Eo, E. J., & Yoo, Y. J. (199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for measuring family strength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3(1), 145-156. 

  7. Jeong, Y. K., Jeong, J. Y., & Cho, S. E. (2008). A preliminary study on development of family-empowering program in healthy family-support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6(2), 39-50. 

  8. Jeong, Y. K., Kang, K. J., Park, J. Y., Jeong, J. Y., & Cho, S. E.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presentative education program for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3(1), 83-98. 

  9. Jeong, Y. K., Park, J. Y., & Song, H. R. (2011). A study on development of evaluation scale for health-grade of families.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5(1),177-197. 

  10. Kim, H. Y., Kim, S. H., Rhee, K. H., & Kwak, I. S. (2008). A study on the plausible application of coaching in the field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6(1), 137-147. 

  11. Kim, S. H. (2007). An exploratory study for development of self diagnose scale on the healthy family: uses the gamma model.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1(4), 55-71. 

  12. Korean Family Life Improvement Center. (2005). Handbook of programs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Seoul: Korean Family Life Improvement Center. 

  13. Lee, I. S. (2005). Residence welfare of elderly and silver industry. Seoul: Iljinsa. 

  14. Lee, S. H. (2008). Good cheer, coaching. Seoul: Shinjeong. 

  15. Lee, Y. J. (2008). A study for the job and competency of healthy family supporter in charge of educational work in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2(4), 79-102. 

  16. Moon, S. J. (1983). Research: methodische uberlegunen zur transfer der haushaltsanalyse auf die koreanische haushalt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1(4), 149-162. 

  17. Naver Korean dictionary. What is health?. Retrieved January 20, 2013 from http://www.naver.com 

  18. Otto, H. A. (1962). What is a strong family? Marriage and Family Living, 24(1), 77-80. 

  19. Park, M. S., & Kim, K. A. (2006). The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family and the strengths of family: focusing on the married women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8), 33-45. 

  20. Song, H. R. (2005). Reinterpretation and prospect of 'health' code in science of life. Proceedings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Confer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9-40. 

  21. Song, H. R., Sung, M. A., Chin, M. J., & Lee, S. M. (2005). A study on the conceptual discussion of healthy famili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3(6), 179-190. 

  22. Yoo, G. S. (2004). Adults' perceptions of family functions and qualities needed for strong famili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2(4), 173-180. 

  23. Yoo, Y. J. (1995). Healthy family, healthy society. Seoul: The Bureau of Public Information. 

  24. Yoo, Y. J. (1999). A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sound home and healthy famil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7(3), 93-1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