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잎갈나무조림지의 생태적 변화와 그 결과를 통해 확인된 복원 효과
Ecological Changes of the Larix kaempferi Plantations and the Restoration Effects Confirmed from the Results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6 no.2, 2013년, pp.241 - 250  

김세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안지홍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임윤경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피정훈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김경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이호영 (산림청) ,  조용찬 (국립수목원) ,  배관호 (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  이창석 (서울여자대학교 생명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성연도가 다른 일본잎갈나무조림지를 대상으로 조림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식생의 발달과정을 분석하였다. 일본잎갈나무의 높이와 직경은 조림 후 24년까지 빠르게 생장하였고, 그 이후 양 생장이 모두 둔화되는 경향이었다. 일본잎갈나무의 밀도는 8년생 식분과 17년생 식분에서는 유사한 밀도를 유지하였으나 24년생 식분에서 크게 감소하였고 그 이후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서열법을 적용하여 비교된 일본잎갈나무조림지의 종 조성은 조성연도에 따라 뚜렷한 변화경향을 나타내지 않았고, 조성연도가 다른 조림지 간의 차이가 대조구와의 차이보다 컸다. 주요 종의 직경급 별 빈도분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일본잎갈나무조림지는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자생식생으로의 천이경향을 보였다. 종 다양성은 모든 연령의 식분들이 대조구의 것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여지듯이 일본잎갈나무조림지에서 나타난 대조지소와 유사한 종 조성, 자생식생으로의 천이 경향 그리고 높은 종 다양성은 생태적 복원의 성공을 의미하는 조건으로서 기능적 복원으로 출발한 일본잎갈나무조림지가 성공적인 복원을 이루어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velopmental process of vegetation over years after afforestation was analyzed in the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plantations with different stand ages. The height and diameter of Japanese larch increased rapidly until 24 years after afforestation and tended to be blunted thereafter. The den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일본잎갈나무는 우리나라에 조성된 조림수종 중 가장 넓은 면적(424,668 ha)을 차지하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11). 본 연구는 조성연도가 다른 일본잎갈나무조림지의 생태적 변화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복원 효과로 평가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일본잎갈나무조림지와 해당지역의 천이 후기 식생으로 판단된 신갈나무군락의 종 조성을 비교하여 종 조성의 변화와 천이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였다. 조림 후 경과 년 수가 다른 각 지소에서 조사된 식생자료와 대조지소인 신갈나무식분을 서열화한 결과(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원이란? 복원은 적합한 과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약화된 자연의 기능을 회복하려는 시도로서 질이 떨어지고, 손상되거나 파괴된 생태계의 회복을 돕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2; Aronson et al., 1993; Berger, 1993; SERI, 2004).
복원된 생태계는 어떤 조건을 만족하였을 때 성공적인 복원을 이룬 것으로 평가받는가? 복원된 생태계는 대조생태계와 유사한 종 조성, 자생종으로 이루어진 종 구성, 발달 가능성, 물리적 안정성, 더 큰 생태적 기질 또는 경관과의 조화, 생태계의 건강과 온전함 위협 요인 제거 또는 감소, 정상적인 주기적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및 소생 능력 확보, 그리고 자기 유지 및 지속 가능성이 확보되었을 때 성공적인 복원을 이룬 것으로 평가한다(SERI, 2004).
생태 복원에는 어떠한 방법들이 있는가? 복원은 훼손의 정도에 따라 그 방법이 다르다. 즉, 자연의 회복능력에 맡기는 방법, 최소한의 생물에너지를 투입하여 회복을 촉진시키는 방법, 종자의 파종, 묘목의 식재 등 적극적으로 생물에너지를 투입하여 빨리 회복시키는 방법이 있다(Bradshaw, 1984). 복원의 종류는 그것이 이루어내는 목표에 의해서도 구분할 수 있다(Bradshaw, 1984; Dob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Aronson, J., C. Florest, E. Le Floc'h, C. Ovalle and R. Pontanier. 1993. Restoration and rehabilitation of degraded ecosystems in arid and semi-arid lands. I. A view from the south. Restoration Ecology 1: 8-17. 

  2. Berger, J.J. 1993. Ecological restoration and nonindigenous plant species: A review. Restoration Ecology 1: 74-82. 

  3. Bhuju, D.R. and M. Ohsawa. 1999. Species dynamics and colonization patterns in an abandoned forest in an urban landscape. Ecological Research 14: 139-153. 

  4. Bradshaw, A.D. 1984. Ecological principles and land reclamation practice. Landscape Planning 11: 35-48. 

  5.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Springer-Verlag, New York. 

  6. Brockerhoff, E.G., H. Jactel, J.A. Parrotta, C.P. Quine, J. Sayer and D.L. Hawksworth (eds.). 2008. Topics in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9: Plantation forests and biodiversity: Oxymoron or opportunity? Springer, Berlin, Heideberg, New York. 

  7. Brower, J.E. and J.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 Dubuque, Iowa. 

  8. Clements, F.E. 1916. Plant succession: an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vegetation.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Publication No. 242. 

  9. Dobson, A.P., A.D. Bradshaw and A.J.M. Baker. 1997. Hopes for the future: restoration ecology and conservation biology. Science 277: 515-522. 

  10. Fang, W. and S.L. Peng. 1997. Development of species diversity in the restoration process of establishing a tropical man-made forest ecosystem in Chin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99: 185-196. 

  11. Godefroid, S., W. Massaut and N. Koedam. 2005. Variation in the herb species response and the humus quality across a 200-year-chronosequence of beech and oak plantations in Belgium. Ecography 28: 223-235. 

  12. Haggar, J., K. Wightman and R. Fisher. 1997. The potential of plantation to foster woody regeneration within a deforested landscape in lowland Costa Ric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99: 55-64. 

  13. Halpern, C.B. 1989. Early successional patterns of forest species: interactions of life history traits and disturbance. Ecology 70: 704-720. 

  14. Hartley, M.J. 2002. Rationale and methods for conserving biodiversity in plantation fores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55: 81-95. 

  15. Howard, L.F. and T.D. Lee. 2003. Temporal patterns of vascular plant diversity in southeastern New Hampshire fores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85: 5-20. 

  16. Joseph, M. Wunderle Jr. 1997. The role of animal seed dispersal in accelerating native forest regeneration on degraded tropical land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99: 223-235. 

  17. Kim, J.U. and B.S. Kil. 2000. The Mongolian Oak Forest in Korea (Environment, Vegetation and it's Life). Wonkwang University Press, Iksan (in Korean). 

  18. Kim, J.W. 2004. Phytosociological green ecology for Forest, Landscaping, Ecology, Environment. World Science, Seoul (in Korean). 

  19. Kimmins, J.P. 1997. Balancing Act: Environmental Issues in Forestry, second ed.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Vancouver. 

  20. Koonkhunthod, N., K. Sakurai and S. Tanaka. 2007.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woody regeneration in a 37-year-old teak (Tectona grandis L.) plantation in Northern Thailand.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47: 246-254. 

  21.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9. Korea national report about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2009.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in Korean). 

  22. Korea Forest Service. 2000.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in Korean). 

  23. Korea Forest Service. 2011.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in Korean). 

  24. Lee, C.S., H.J. Cho and H.B. Yi. 2004. Stand dynamics of introduced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plantation under different disturbance regimes in Kore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89: 281-293. 

  25. Lee, C.S., Y.C. Cho, H.C. Shin, C.H. Lee, S.M. Lee, E.S. Seol, W.S. Oh and S.A. Park. 2006.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on Mt. Nam as a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LTER) site.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9: 593-602. 

  26. Lee, C.S., A.N. Lee and Y.C. Cho. 2008. Restoration Planning fo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 pp. 393-419. In: Ecology, Planning,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s: International Perspectives (Carreiro et al., eds.). Springer, New York. M.M. 

  27. Lee, C.S., Y.M. Jeong and H.S. Kang. 2011. Concept, direction, and task of ecological restoration. Journal of Restoration Ecology 2: 59-71 (in Korean). 

  28. Lee, T.B. 1996.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onsa, Seoul (in Korean). 

  29. Loumeto, J.J. and C. Huttel. 1997. Understory vegetation in fast-growing tree plantation on savanna soils in Congo.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99: 65-81. 

  30. Lugo, A.E. 1997. Maintaining an open mind on exotic species. pp. 245-247. In: Principles of Conservation Biology. Sinauer Associates (Meffe, G.K. and C.R. Carroll, eds.). Inc. Pub., Sunderland, MA. 

  31. McCune, B. and M.J. Mefford. 1999.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4.20, MJM software Design, Glenden Beach, Oregon, USA. 

  32. Miller, J.H., B.R. Zutter, S.M. Zedaker, M.B. Edwards and R.A. Newbold. 1995. Early plant succession in loblolly pine plantations as affected by vegetation management. Southern Journal of Applied Forestry 19: 109-126. 

  33. Miyawaki, A. 1977. Vegetation of Japan. Gakken. Tokyo (in Japanese). 

  34. Miyawaki, A. 1984. Vegetation of Japan. Jimundang. Tokyo (in Japanese). 

  35. Moore, S.E. and E.L. Allen. 1999. Plantation forestry. pp. 400-433. In: Maintaining Biodiversity in Forest Ecosystems (Hunter Jr., M.L.,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36. Mulugeta, L., L. Bekele and T. Demel. 2005. Changes in soil carbon and total nitrogen following reforestation of previously cultivated land in the highlands of Ethiopia. Ethiopian Journal of Science 28: 99-108. 

  37. Nagaike, T. 2000. A review of ecological studies on plant species diversity in plantation ecosystems. Journal of the Japanese Forestry Society 82: 407-416. 

  38. Nagaike, T., A. Hayashi, M. Abe and N. Arai. 2003. Differences in plant species diversity in Larix kaempferi plantations of different ages in central Japan.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83: 177-193. 

  39. Nagaike, T., A. Hayashi, M. Okubo, K. Takahashi, M. Abe and N. Arai. 2006. Changes in plant species diversity over 5 years in Larix kaempferi plantations and abandoned coppice forests in central Japan.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36: 278-285. 

  40.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2. Restoration of aquatic ecosystems: science, technology, and public policy.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41. Oberhauser, U. 1997. Secondary forest regeneration beneath pine (Pinus kesiya) plantations in the northern Thai highlands: a chronosequence study.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99: 171-183. 

  42. Odum, E.P. 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Science 164: 262-270. 

  43. Park, S.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jogak, Seoul (in Korean). 

  44. Park, S.H. 2001.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Possession. Iljogak, Seoul (in Korean). 

  45. Parrotta, J.A., J.W. Turnbull and N. Jones. 1997. Catalyzing native forest regeneration on degraded tropical land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99: 1-7. 

  46. SERI (Society Ecological Restoration International Science & policy working Group). 2004. The SER International Primer on Ecological Restoration. www.ser.org. 

  47.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rbana, IL: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48. Shin, H.C. 2005. The effects of ecological restoration confirmed in the Pitch pine (Pinus rigida) plantation. MA Thesis, Seoul Women's Univ., Seoul (in Korean). 

  49. Sonali, S. 2001. Vegetation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ectona grandis (teak, Family Verbanaceae) plantation and dry deciduous forests in central Indi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48: 159-167. 

  50. Taebaek City. 2009. www.taebaek.go.kr. 

  51. Zhuang, X. 1997.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 of forest on degraded hills of Hong Kong.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99: 197-2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