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추장 묘사분석을 위한 프로토콜 개발: 입가심물질 중심으로
Developing descriptive analysis protocol for gochujang: establishing optimal palate cleanser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9 no.5, 2013년, pp.489 - 500  

이은혜 (이화여자대학교 글로벌식품연구소) ,  정서진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유선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가공이용과) ,  한귀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가공이용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n effective palate cleanser when conducting descriptive analysis for gochujang products. In addition, descriptive analysis procedure for gochujang products was optimized. A generic descrip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4 types of gochujang samples varying in 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고추장 매운감각에 대한 정확하고, 재현성 있는 묘사분석 평가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현재 시판되고 있는 고추장 4종과 입가심물질 5종을 활용하여 평가 조건을 확립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고추장의 관능적 특성을 평가할 때 보다 매운감각에 대한 효과적인 입가심물질 선정하고자 하였다.
  • 선발된 패널은 기본적인 묘사분석 평가에 대한 개요를 학습하였다. 또한 고춧가루 및 고추장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향미를 갖는 고춧가루와 고추장을 맛봄으로써 이러한 시료에 더 익숙해지도록 하였다. 이후 고춧가루 및 고추장에 대한 묘사용어를 도출하고 평가하는 훈련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고추장 매운감각에 대한 정확하고, 재현성 있는 평가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현재 시판되고 있는 고추장 4종과 다른 입가심물질 5종을 활용하여 평가 조건을 확립하고, 40-50대 여성을 대상을 묘사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관능적 특성을 평가할 때 보다 매운감각에 대한 효과적인 입가심물질 선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고추장 매운감각에 대한 정확하고, 재현성 있는 평가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현재 시판되고 있는 고추장 4종과 다른 입가심물질 5종을 활용하여 평가 조건을 확립하고, 40-50대 여성을 대상을 묘사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관능적 특성을 평가할 때 보다 매운감각에 대한 효과적인 입가심물질 선정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고추장 매운감각에 대한 정확하고, 재현성 있는 묘사분석 평가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현재 시판되고 있는 고추장 4종과 입가심물질 5종을 활용하여 평가 조건을 확립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고추장의 관능적 특성을 평가할 때 보다 매운감각에 대한 효과적인 입가심물질 선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추장은 어떤 식품인가? 고추장은 우리나라 고유의 발효식품으로 고춧가루를 주원료로 소금, 찹쌀, 메주 등을 섞어 발효시킨 식품이다(Shin DH 등 1997a, 1997b). 또한 미생물의 발효작용으로 생성되는 유기산의 신맛, 전분질의 가수분해로 생성되는 유리당의 단맛, 단백질로부터 유래되는 유리아미노산에 의한 구수한 맛, 고추의 매운맛, 소금의 짠맛 등이 조화를 이루어 독특한 향미를 갖는다(Oh HI 등 2000).
고추의 매운감각 물질의 주성분에는 어떤 종류가 있으면 그 비율은? 고추장의 주재료인 고추의 매운감각 물질은 약 0.5% 함유되어있고, 주성분은 캡사이신(capsaicin), 디하이드로캡사이신(dihydcapsaicin), 노디하이드로캡사이신(nordihydcapsaicin)가 각각 70%, 20%, 10% 존재한다(Jang YS 1997).
고추장의 독특한 향미는 어떤 맛들의 조화인가? 고추장은 우리나라 고유의 발효식품으로 고춧가루를 주원료로 소금, 찹쌀, 메주 등을 섞어 발효시킨 식품이다(Shin DH 등 1997a, 1997b). 또한 미생물의 발효작용으로 생성되는 유기산의 신맛, 전분질의 가수분해로 생성되는 유리당의 단맛, 단백질로부터 유래되는 유리아미노산에 의한 구수한 맛, 고추의 매운맛, 소금의 짠맛 등이 조화를 이루어 독특한 향미를 갖는다(Oh HI 등 2000). 이러한 다양한 맛의 조화를 이룬 고추장의 가장 큰 특징은 매운맛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llison A-M, Chambers E, Milliken GA, Chambers DH. 1999. Effects of interstimulus rinsing and time on measurements of capsaicin heat in tomato salsa. J Sens Stud 14(4): 401-414 

  2. Bae TJ, Choi OS. 2001. Changes of free amino acid compositions and sensory properties in gochujang added sea tangle powder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Nutr 14(3): 245-254 

  3. Baron RF, Penfield MP. 1996. Capsaicin heat intensity-Concentration, carrier, fat level, and serving temperature effects. J Sens Stud 11(4): 295-316 

  4. Bett KL, Johnson PB. 1996. Challenges of evaluating sensory attributes in the presence of off-flavors (geosmin and 2-methylisoborneol). J Sensory Stud 11(1): 1-17 

  5. Cain WS, Murphy CL 1980. Interaction between chemoreceptive modalities of odour and irritation. Nature 284(20): 255-257 

  6. Carstens E, Carstens MI, Dessirier JM, O'Mahony M, Simons CT, Sudo M. 2002. It hurts so good: Oral irritation by spices and carbonated drinks and the underlying neural mechanisms. Food Qual Prefer 13(7-8): 431-443 

  7. Cliff M, Heymann H. 1992. Descriptive analysis of oral pungency. J Sens Stud 7(4): 279-290 

  8. Delwiche J. 2004. The impact of perceptual interactions on perceived flavor. Food Qual Prefer 15(2): 137-146 

  9. Dowell KJ, Chambers E, Milliken GA, Chambers DH. 2005. Predicting interstimulus intervals between samples for capsaicin-containing salsa with a range of heat levels. J Sens Stud 20(3): 187-199 

  10. Gillette MH, Appel CE, Lego MC. 1984. A new method for sensory evaluation of red pepper heat. J Food Sci 49(4): 1028-1033 

  11. Hutchinson SE, Trantow LE, Vickers Z. 1990. The effectiveness of common foods for reduction of capsaicin burn. J Sens Stud 4(3):157-164 

  12. Jang YS. 1997. Seasoning and blending technology of food flavor. Food Sci Ind 30(1): 52-61 

  13. Johnson EA, Vickers Z. 2004. The effectiveness of palate cleansing strategies for evaluating the bitterness of caffeine in cream cheese. Food Qual Prefer 15(4): 311-316 

  14. Kim HJ, Chung SJ. 2007. Developing the sensory lexicons of gochujang using descriptive analysis. J. Natural Sci SWINS 19(1): 73-80 

  15. Kim HY, Park ML, Kim DS, Choi SK.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modified gochujang made with tofu powder instead of meju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8(5): 293-304 

  16. Kim JY, Hwang SJ, Eun JB. 2011. Microbiologica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Korean traditional red pepper paste added with different levels of sweet persimmon powder. J Appl Biol Chem 54(4): 303-308 

  17. Kim YS Park YS, Im MH.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Prunus mume and Schizandra chinenis H-20 extracts and their effects on quality of functional g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5(5): 893-897 

  18. Ku KH, Kim NY, Park JB, Park WS. 2001. Characteristics of color and pungency in the red pepper for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onol 33(2): 231-237 

  19. Lawless HT. 1984. Oral chemical irritation-Psychophysical properties. Chem Senses 9(2): 143-55 

  20. Lawless HT, Gillette M. 1985. Sensory responses to oral chemical heat. ACS Symposium Series 289. In: Characterization and measurement flavor compounds. Bills DD, Mussinan CJ (eds.).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pp 26-42 

  21. Lawless HT와 Heymann H. 2010. Sensory evaluation of food: Principles and practices. Springer. NY, USA. pp 39-49 

  22. Lawless HT, Rozin P, Shenker J. 1985. Effects of oral capsaicin on gustatory, olfactory and irritant sensations and flavor identification in humans who regularly or rarely consume chili pepper. Chem Senses 10(4): 579-589 

  23. Lucak CL, Delwiche JF. 2009. Efficacy of various palate cleansers with representative foods. Chem Percept 2(1): 32-39 

  24. Nasrawi CW, Pangborn RM. 1990. Temporal effectiveness of mouth-rinsing on capsaicin mouth-burn. Phys. Behav. 47(4): 617-623 

  25. Oh HI, Shon SH, Kim JM. 2000.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gochujang prepared with Aspergillus oryzae, Bacillus licheniformis, and Saccharomyces rouxi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2): 357-363 

  26. O'Mahony M. 1972a. The interstimulus interval for taste: 1. Efficiency of expectoration and mouth rinsing in clearing the mouth of salt residuals. Perception 1(2):209-215. 

  27. O'Mahony M. 1972b. The interstimulus interval for taste: 2. Salt taste sensitivity drifts and the effects on intensity scaling and threshold measurement. Perception 1(2): 217-222 

  28. Prescott J, Allen S, Stephens L. 1993. Interactions between oral chemical irritation, taste and temperature. Chem Senses 18(4): 389-404 

  29. Prescott J, Stevenson RJ. 1995. Effects of oral chemical irritation on tastes and flavors in frequent and infrequent users of chili. Physiol Behav 58(6): 1117-1127 

  30. Reinbach HC, Meinert L, Ballabio D, Aaslyng MD, Bredie WLP, Olsen K. 2007. Interaction between oral burn, meat flavour and texture in chili spiced pork patties evaluated by time-intensity. Food Qual Prefer 18(6): 909-919 

  31. Ross CF, Hinken C, Weller K. 2007. Efficacy of palate cleansers for reduction of astringency carryover during repeated ingestions of red wine. J Sensory Stud 22(3): 293-312 

  32. Shin DH, Kim DH, Choi U, Lim MS, An EY. 1997. Effect of red pepper varieties on the microflora enzyme activities and taste components of traditional gochujang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6): 1050-1057 

  33. Shin DH, Kim DH, Choi U, Lim MS, An EY. 1997.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gochujang prepared with various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5): 907-912 

  34. Simons CT, O'Mahony M, Carstens E. 2002. Taste suppression following lingual capsaicin pre-treatment in humans. Chem Senses 27(4): 353-365 

  35. Stevens DA, Lawless HT 1986 Putting out the fire: effects of tastants on oral chemical irritation. Percept Psychophys 39(5): 346-35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