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서울 지역 그룹홈 아동과 청소년의 식생활 실태 조사
A Survey on the Dietary Life Status of Group Home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eoul Reg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9 no.5, 2013년, pp.511 - 523  

최경은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  심기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nvolved a survey on the dietary pattern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living in group homes, to find out their wrong eating habits and to devise measures for correcting their problems. The BMIs of the subject children and adolescents in group homes were measured, and the result showed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지금까지의 그룹홈과 관련된 연구는 그룹홈 아동의 인지적 특성, 복지 수준, 활성화 방안 등에 국한되어 왔고, 아동과 청소년의 성장 발달에 필요한 영양 상태와 식단 관리에 관한 연구 보고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룹홈 아동과 청소년의 식생활 실태 조사를 통하여 향후 그룹홈 내의 균형 잡힌 식생활 개선 및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그룹홈 아동과 청소년의 식생활 조사를 통하여 그룹홈의 식생활 관련 문제점을 개선하고, 보다 나은 방안을 모색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아동복지학회에서 정의한 그룹홈이란 무엇인가? 그룹홈에 대해 학문적으로 명확하게 정의한 것은 아니지만 미국아동복지학회에서는 소규모이고 지역사회 내에 위치해 있으며 가정적 보호가 가능한 12인 이하의 소규모 거주시설을 그룹홈이라고 정의하고 있다(국가인권위원회 2006). 그룹홈은 지역사회 내에 가정과 유사한 환경을 통해 가정과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탈시설적인 보호방식으로 가정과 유사한 소규모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어 아동과 성인간의 거리가 가깝고 아동 개개인에 대한 개별 처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시설보호를 대체할 새로운 아동보호서비스체제로 대두되고 있다(Kim YS 2002, 김현정 2008).
그룹홈 아동과 청소년의 식생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성장기는 신체적이고 정신적인 성장이 활발하고 성적으로 성숙해가는 과정으로 각종 영양소의 요구량이 급증하기 때문에 균형 잡힌 영양소의 섭취가 매우 중요하나 식생활관리 측면에 있어서의 비전문가가 관리하여 그룹홈 아동의 식생활 문제가 발생될 소지가 있다. 또한 식재료 예산의 정부보조금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으로 대부분의 그룹홈이 후원금이나 후원받은 음식으로 식사를 제공하여 식사의 질이나 양적인 면에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산업화와 도시화가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가정은 사회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집단으로 사랑과 신뢰를 바탕으로 연결되어 있어 경제적으로나 정서적으로나 가족 구성원간의 건강한 발달을 통해 사회와 국가의 안녕과 발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김현정 2008). 그러나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현대사회의 특징인 산업화와 도시화는 가족 구조의 해체나 기능의 약화를 초래하였고, 1990년대 후반 IMF 관리체제는 이러한 현상을 더욱 심화시켰다. 최근 들어 가정의 신용불량이나 개인파산과 같은 경제적 어려움이 심화되고 부모의 가출, 별거, 이혼과 같은 가족 해체가 증가됨에 따라 이들 가정의 아동과 청소년이 보호자로부터 학대, 방임, 유기되고 있다(Cho YD와 Ha JD 2007, 김현정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국가인권위원회. 2006. 아동그룹홈(공동생활가정) 현황분석 및 매뉴얼 개발 연구. pp.14-40 

  2. 김현정. 2008. 전국 학대피해아동 그룹홈(공동생활가정)의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어린이재단. pp.151-208 

  3. 대한영양사협회. 2001. 사진으로 보는 음식의 눈대중량. 대한영양사협회. 서울. pp.10-258 

  4.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보. 2011. 2011 국민건강통계. 보건복지부. pp 255-355 

  5. 보건복지부. 2011. 2011년도 공동생활가정(그룹홈)현황. pp 1-118 

  6. 조애저. 2008. 지역아동센터의 빈곤아동 급식지원 실태 및 개선방안. 보건복지포럼. pp.43-54 

  7. 최혜미, 김정희, 장경자, 민혜선, 임경숙, 변기원, 이홍미, 김경원, 김희선, 김현아. 1999. 21세기 영양학원리. 교문사. 서울. pp. 203-250 

  8. 한국영양학회. 2010. 한국인영양기준. 한국영양학회. 서울. pp.31-634 

  9. 한영실. 2004. 쉽게 찾는 칼로리북. 현암사. 서울. pp.13-97 

  10. Choi KE. 2012. A survey on eating patterns of group home children. Masterat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p.1-57 

  11. Choi MK, Lee YS. 2008. The dietary behaviors, taste preferences, and nutrient intakes of obese children consuming unbalanced die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1): 127-134 

  12. Cho MK. 2011. The effect of high dose vitamin C treatment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profile of the Korean adults. Masterate thesis. Kyunggi University. pp.13 

  13. Cho YD, Jeong DH. 2007. A study on the efficient food service program to the poorly-fed children. Korean Acad Soc Welfare 3(1): 1-23 

  14. Einstein MA, Hornstein I. 1970. Food preferences of college students and nutritional implication. J Food Sci 35(4): 429-436 

  15. Han EH. 2007. A study on key factor of major effects on eating habits & food preferences by partial elementary students Gyeounggi province. Masterate thesis. Suwon University. pp 37-137 

  16. Hyun SO. 1985. A study on the intake pattern of snack foods by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Masterate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pp.1-93 

  17. Jo MJ. 2000. A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behaviors and food percep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classified by body weight and gender. Masterate thesis. Chung-Ang University. pp.4-99 

  18. Kim GS. 2007. Study of grouphomes change 2000-2005. Korean Acad Soc Welfare 3(1): 172-197 

  19. Kim KN, Yoo SH, Lee HA. 2007. Influence of parenting environment on dietary behaviors of having an unbalanced diet among primary school students. J Human Ecology 11(1): 127-135 

  20. Kim MH. 1994. The review on effect of dietary zinc and copper on lipid metabolism. J Resour Sci 2: 231-247 

  21. Kim SH. 2004.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similarity of father and mother's attitude and teacher's support on child's behavious. Masterate thesis. Kyungnam University. pp.37-137 

  22. Kim YH. 2011. Analysis of estimated dietary fiber intake of Korean during the 2000s. Masterate thesis. Kyungpook University. pp.15 

  23. Kim YS. 2002. A study in the caluation of child group home in Korea - laying stress on the development of valuation system. Masterate thesis. Kyung-Hee University. pp.1-107 

  24. Kwon SY, 2005. A study of dietary patterns and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snack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Masterat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p. 1-60 

  25. Lee HW, Kim MS, Kim HJ. 2008. The impact of family characteristics on children's meal skip. J Korean Counc Child Rights 12(4): 377-399 

  26. Lee SM. 1999. Sense of independence and adaptability of children under institutional care a comparative study of two groups living in institutions of different size. Masterate thesis. Keimyung University. pp.1-85 

  27. Park KY. 2011. Breakfast and Health in Adolescents.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14(4): 340-349 

  28. Pecora PJ, Whittaker JK, Maluccio AN, Barth RP. 2000. The child welfare challenge: policy, practice, and research.(2nd ed.). Aldine de Gruyter. New York, NY. USA pp.24-40 

  29. Seo JY, Lee IS, Choi BS. 2009. Study of food intakes and eating patterns among preschool children in Daegu area - nutrient intakes and dietary habits associated with body weight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 14(6): 710-721 

  30. Shin EK, Lee EK. Menu development and evaluation through eating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of preschool children in day-care centers. Korean J Food Culture 20(1): 1-14 

  31. Shin KO, Yoo YY, Park HS. 2005.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growth development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38(6): 456-464 

  32. Son EY. 2008. The study of food intake patterns and nutrient intakes from meal service programs supported by governmen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low income families : in Seoul. Masterate thesis. Kyung-Hee University. pp.17-43 

  33. Yun SJ, Jeong HR, Kim MH. 2010. A survey on the breakfast skipping rate of Korean adults relative to their lifestyle and breakfast skipping reasons and dietary behavior of breakfast skippers. Korean J Community Nutr 15(2): 191-2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