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경여성의 골다공증 예방행위 구조모형: 골밀도인지를 중심으로
Structural Model for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s in Postmenopausal Women: Focused on their Own BMD Awarenes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5 no.5, 2013년, pp.527 - 538  

박영주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이숙자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신나미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강현철 (호서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김선행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  김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  전송이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조인해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del that explains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ost-menopausal women's osteoporosis general knowledge and awareness of their own bone mass density(BMD) and their osteoporosis health beliefs and preventive behaviors. Methods: Retrospective desig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의 골다공증에 대한 건강신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접근의 하나로 중년의 폐경여성에서 실제 골밀도 계측을 통해 자신의 실제 골밀도 결과를 인지하는 것이 개인의 골다공증에 대한 건강신념과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건강 행위에 어떠한 인과적 설명을 추가할 수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골다공증 예방행위의 증진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 시점에서 개인의 골량은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한 시점에서 개인의 골량은 자신이 획득한 최고골량(peak bone mass)과 최고골량에 도달한 후 일어나는 골소실의 속도와 기간에 의하여 결정된다. 성인여성에서 낮은 골밀도는 최고 골밀도가 낮거나 최고 골밀도에 도달한 후 골소실이 일어날 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생애 후반기에 골절위험이 증가되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
골다공증의 주요 위험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폐경후 여성의 골다공증 관리에 대한 북미폐경학회(The North American Menopause Society: NAMS)의 2010 position statement에서는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BMD)로 정의된 골다공증 위험요인과 골다공증성 골절 위험요인을 구분하는 것의 중요성을 지적하면서 골다공증과 골다공증성 골절의 위험요인을 각각 제시하고 있다. 이 position statement에서 제시하는 골다공증의 주요 위험요인은 연령, 유전, 생활습관(소량의 칼슘과 비타민D 섭취, 흡연 등), 신체 충실지수 및 폐경상태이며, 골다공증성 골절의 위험요인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 개발된 골절위험사정도구(Fracture Risk Assessment Tool, FRAX)에 포함되는 위험요인들 즉, 연령, 성별, 체질량지수, 대퇴경부하 골밀도(low femoral neck BMD), 골절경험, 부모의 고관절 골절경험, 흡연, glucocorticoid 약물의 장기간 사용, 류마티스성 관절염, 기타 이차성 골다공증 원인 및 음주 등이다. 결국,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보고들은 개인의 골밀도 차이는 상당부분 유전에 의한 것이나 그 외 생활습관, 약물복용 등의 후천적 요인이 관여되고, 특히 생활습관은 수정 및 개선이 가능한 것이므로 이를 위한 다양한 전략을 모색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골다공증 지식측정도구는 어떤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본 연구에서 골다공증에 대한 일반적 지식의 측정은 Waller 등(2002)이 이용한 골다공증 지식측정도구(osteoporosis knowledge test: OKT)를 이용하였다. 이 도구는 3개 영역의 27개 항목으로 각 영역별 문항수는 골다공증과 관련된 일반적 지식 7항목, 골밀도에 대한 신체적 활동, 흡연 및 음주습관의 영향 관련 8항목 그리고 식품 및 칼슘, 비타민, 광물질과 같은 영양소 관련 12항목이다. 이 도구는 연구자가 번역후 내용타당도 확보를 위하여 간호학 교수 4인, 산부인과 교수 2인의 전문가 집단의 합의 과정을 거쳤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batunde, O. T., Himburg, S. P., Newman, F. L., Campa, A., & Dixson, J. (2011). Theory-driven intervention improves calcium intake, osteoporosis knowledge, and self-efficacy in community-dwelling older black adults,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43 (6), 434-440. http://dx.doi.org/10.1016/j.jneb.2010.07.004 

  2. Bentler, P. M., & Chou, C. (1987). Practical issues in structural modeling,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16, 78-117. 

  3. Byun, Y. S., & Kim, O. S. (2000).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 and it effect on osteoporosis and life style among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764-775. 

  4. Champion, V. L., & Skinner, C. S. (2008). The health belief model,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In K. Glanz, B. K. Rimer & K. Viswanath (Ed.),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pp. 44-65). San Francisco, CA: John Wiley & Sons, Inc. 

  5. Chang, S. M., Park, C. M., Chang, S. H., Shin, C. S., & Ha, Y. C. (2010). Study on medical service use and prescription pattern of osteoporosis 2008-2009.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6. Choi, H. J. (2009). Risk factors and assessment of low bone mass in the young adult femal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 924-933. http://dx.doi.org/10.4082/kjfm.2009.30.12.924 

  7. Davis, G. C., White, T. L., & Yang, A. (2005). A bone health intervention for older adultsliving in residential setting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9, 566-575. http://dx.doi.org/10.1002/nur.20162 

  8. Estok, P. J., Sedlak, C. A., Doheny, M. O., & Hall, R. (2007). Structural model for osteoporosis preventing behavior in postmenopausal women. Nursing Research, 56 (3), 148-158. 

  9. Gammage, K. L., & Klentrou, P. (2011). Predicting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s: health beliefs and knowledge.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35 (3), 371-382. 

  10. Horan, M. L., Kim, K. K., Gendler, P., Froman, R. D., & Patel, M. D. (199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steoporosis self-efficacy scale.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1, 395-403. 

  11. Hsieh, C. H., Wang, C. Y., McCubbin, M., Zhang, S., & Inouye, J. (2008). Factors influencing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s: Testing a path mode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 (3), 336-345. 

  12. Johnson, C. S., McLeod, W., Kennedy, L., & McLeod, K. (2008). Osteoporosis health beliefs among younger and older men and women. Health Education & Behavior, 35 (5), 721-733. http://dx.doi.org/10.1177/1090198107301331 

  13. Kim, K. K., Horan, M., Gendler, P., & Patel, M. (1998). Osteoporosis health belief, self-efficacy, and knowledge test. In B. K. Redman(Ed.), Measurement tools in patient education (pp. 307-317). New York: Springer. 

  14. Laslett, L. L., Lynch, J., Sullivan, T. R., & McNeil, J. D. (2011). Osteoporosis education improves osteoporosis knowledge and dietary calcium: Comparison of a 4 week and a one session education 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Rheumatic Diseases, 14, 239-247. 

  15. Rosenstock, I. M., Stretcher, V. J., & Becker, M. H. (1988).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health belief model. Health Education Quarterly, 15 (2), 175-183. 

  16. Sedlak, C. A., Doheny, M. O., Estok, P. J., Zeller, R. A., & Winchell, J. (2007). DXA, health beliefs, and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19 (5), 742-755. http://dx.doi.org/10.1177/0898264307304303 

  17. Sedlock, C. A., Doheny, M. O., & Jones, S. L. (2000). Osteoporosis education programs: Changing knowledge and behaviors. Public Health Nursing, 17 (5), 398-402. 

  18. Shin, C. S., Choi, H. J., Kim, M. J., Yu, S. H., Koo, B. K., Cho, H. Y., et al. (2010).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in Korea: A community-based cohort study with lumbar spine and hip bone mineral density. Bone, 47, 378-387. http://dx.doi.org/10.1016/j.bone.2010.03.017 

  19. Sun, K. S. (2003). The effect of web-based osteoporosis prevention program on the osteoporosis knowledge, self-efficacy, health belief, stage of change in female college stud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0. Swaim, R. A., Barner, J. C., & Brown, C. M. (2008). The relationship of calcium intake and exercise to osteoporosis health beliefs in postmenopausal women. Research in Social and Administrative Pharmacy, 4, 153-163. http://dx.doi.org/10.1016/j.sapharm.2007.03.004 

  21. The North American Menopause Society. (2010). Management of osteoporosis in post menopausal women: 2010 position statement of The North American Menopause Society, Menopause, 17 (1), 25-54. http://dx.doi.org/10.1097/gme.0b013e3181c617e6. 

  22. Waller, J., Eriksson, O., Foldevi, M., Kronhed, A., Larsson, L., Lofman, O., et al. (2002). Knowledge of osteoporosis in a Swedish municipality-A prospective study. Preventive Medicine, 34, 485-491. http://dx.doi.org/10.1006/pmed.2002.1007. 

  23. Waltz, C. F., & Bausel, R. B. (1981). Nursing research: Design, statistics and computer analysis. Philadelphia: F. A. Davis Company. 

  24. Won, I. S. (2009). A study on osteoporosis knowledge, self-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BMD among adult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25. Yoon, E. J. (2001). The model explaining varianc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osteoporo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