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Impact of Stress on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Testing for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5 no.5, 2013년, pp.549 - 558  

박영례 (국립군산대학교 간호학과) ,  장은희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mpact of stress on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total of 445 subjects were participated from May to July 2011.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사회적 지지의 대상을 부모와 친구로 분류하여 스트레스와 우울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정도를 파악하고,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어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부모와 친구의 사회적 지지로 분류하여 구체적으로 확인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 사회적 지지의 정도를 확인하고,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부모와 친구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의 과반수 이상에서 중등도 이상의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증상을 나타내는 학생들은 전체의 23.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정도를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일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 내 보건진료소와 휴게공간을 이용하는 학생들을 중심으로 편의추출 하여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연구자 및 훈련된 연구보조원이 학생들을 직접 만나서 대상자들에게 연구참여 동의를 받은 다음 설문 작성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후 본인들이 직접 기입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 시기는 어떤 시기인가? 대학 시기는 청소년에서 성인으로 넘어가는 중요한 과도기이며 가치관 정립과 미래에 대한 계획과 결정에 있어 중요한 시기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갖지 못한 채 대학에 들어와 자신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는 교육이나 도움을 받지 못하고, 정신적으로는 고등학생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 통제적이고 의존적인 상태에서 가정이나 사회로는 대학생으로서의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역할에 대해 기대 받고 있다(Moon & Park, 2007).
주효과 모형과 완충효과 모형이란 무엇인가? 사회적 지지는 두 가지 모형, 즉 주효과 모형과 완충효과 모형이 있다. 주효과 모형은 사회적 지지가 개인의 스트레스 수준과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개인의 적응을 향상시킨다는 것이며, 완충효과 모형은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 상황에 잠재되어 있는 유해한 자극으로부터 개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개인의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사회적 지지의 효과가 다르다(Seo et al., 2006)는 것이다.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는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Seo et al.
대학생의 우울을 야기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대학생들은 미래와 고용에 대한 많은 스트레스, 학업에 대한 불만족, 가정으로부터의 독립이 우울을 야기하는 요인이 된다고 하였으며(Ibrahim, Kelly, Adams, & Glazwbrook, 2012), 실제로 대학생들은 성적 및 시험, 스펙 경쟁과 치솟는 등록금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취업난 등으로 고통을 호소하며, 이중 일부 대학생들은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생명을 버리는 일들이 증가하고 있다(Kang, 2012; Kim, 2011). 1990년부터 2010년 사이에 발표된 논문을 체계적으로 고찰한 연구(Ibrah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J. M., Jeong, E. K., Yoo, T. W., Huh, B. Y., & Kim, C. H. (1992). A quick measurement of stress in outpatient clinic sett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Family Medicine, 13 , 809-819. 

  2. Ceyhan, A., Ceyhan, E., & Kurty, Y. (2009). Investigation of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Euras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5, 75-90. 

  3. Cho, M. J., & Kim, K. H. (1993).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2, 381-399. 

  4. Chung, S. K., & Kim, C. G. (2010). Influences of depression, stress, and self-efficacy on the addiction of cell phone use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22, 41-50. 

  5. Cohen, S., & Hoberman, H.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99-125. 

  6. Gonalez, O., Berry, J., Mcknighty-Eliy, I., Strine, T., Edwards, V., Lu, H., et al. (2010). Current depression among adults-United States, 2006 and 2008.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MMWR). 59, 1229-1235. 

  7. Ha, J. Y. (2010). Drinking problems,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22, 182-189. 

  8. Han, K. S. (2005). Self 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ymptoms of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585-592. 

  9. Hefner, J., & Eisenberg, D. (2009).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9, 491-499. 

  10. Ibrahim, A. K., Kelly, S. J., Adams, C. E., & Glazwbrook, C. (2012).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of depression prevalence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Epub 2012 Dec 20. http://dx.doi.org/10.1016/j.jpsychires.2012.11.015 

  11. Jun, E. M., Ham, O. K., & Lee, Y. A. (2010).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health behavior and biological factors among 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 1951-1963. 

  12. Jun, S. H. (2012). Testing the buffering effect of social network service's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A study in gender difference. Studies on Korean Youth, 23 (4), 5-25. 

  13. Jung, H. M., & Lee, J. W. (2007). Factors affecting problem drink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9, 85-97. 

  14. Kang, S. H. (2012).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uicide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15. Kendler, K. S., Myers, J., & Prescott, C. A. (2005). Sex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risk for major depression: A longitudinal study of opposite-sex twin pair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2 , 250-256. 

  16. Kim, J. K., Song, H. S., & Yeon, M. Y. (2009). The preliminary study of sleep patterns, circadian typology and depression level in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4, 617-632. 

  17. Kim, K. N., Park, J. Y., Shin, T. S., Jun, K. J., Choi, E. Y., Kim, H. J., et al. (1998). Degree of stress and stress-related factors by the Korean version of the BEPSI.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19, 559-570. 

  18. Kim, M. K. (2011). Relationship on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emotion and social adaptation. Studies on Korean Youth, 18, 101-129. 

  19. Kim, U. C., Tsuda, A., Park, Y. S., Kim, E. Y., & Horiuchi, S. (2009). Comparative analysis of stress symptoms and management among Korean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networks and self-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16, 139-164. 

  20. Kim, Y. S. (1995).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adults with mental disor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1. Lee, E. H. (2004). Life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college students: Testing for moderating effects of coping style with structural equation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9, 25-52. 

  22. Lyubomirsky, S., Kasri, F., & Zehm, K. (2003). Dysphoric rumination impairs concentration on academic task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7 , 309-330. 

  23. Moon, T. Y., & Park, S. H.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 to stressor and stress-coping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0, 913-925. 

  24. Park, H. J., & Jang, I. S. (2010). Stress, depression, coping style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 (1), 14-23. 

  25. Park, J. A., & Cho, M. H. (2011).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sport participa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35 (1), 17-28. 

  26. Park, J. W. (1985).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7. Park, K. H. (2008). Developmen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stimate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8, 779-788. 

  28. Seo, M., Choi, B. Y., & Jo, H. I. (2006). The effect of life stress,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on mental health. Journal of Korean Counseling, 7, 271-288. 

  29. Stice, E., Rohde, P., Gau, J., & Ochner, C. (2011). Relation of depression to perceived social support: Results from a randomized adolescent depression prevention trial.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9, 361-366. 

  30. Wichianson, J. R., Bughi, S. A., Unger, J. B., Spruijt-Metz, D., & Nguyen-Rodriguez, S. T. (2009). Perceived stress, coping and night-eating in college students. Stress and Health, 25, 235-2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