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감도 분석을 통한 철도보강노반 설계 특성 평가
Evaluation of Design Characteristics in the Reinforced Railroad Subgrade Through the Sensitivity Analysis 원문보기

한국토목섬유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12 no.3, 2013년, pp.15 - 22  

김대상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  황성호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  김웅진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  박영곤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  박성용 (Hanwha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compan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상구조의 자갈(연성)에서 콘크리트(강성)로의 변화는 이를 지지하는 철도 노반구조에서도 보다 엄격한 변형 규제에 적합한 신형식 철도보강노반 구조를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용 후 잔류침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대용량 반복하중이 작용하는 철도노반 영구구조물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강성벽 일체형 철도보강노반의 설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발한 설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보강재와 장보강재의 간격, 보강재 강성 등 설계 입력변수 변화에 따른 원호활동, 전도 및 활동파괴에 대한 안전율 및 발생 부재력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하여 철도보강노반에서는 높이의 40%(0.4H)의 짧은 보강재를 연직간격 0.4m로 적용할 수 있으며 보강노반 적용을 위한 원지반 조건 등을 평가할 수 있었다. 또한, 철도보강노반을 구성하는 벽체와 보강재 연결구조의 중요성, 벽체 경계조건에서의 변위 허용구조 적용을 통한 하중 재하 시 발생 최대휨모멘트를 저감시키는 설계상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y changing from ballasted track to concrete slab track, new type railroad subgrade is strongly required to satisfy strict regulations for displacement limitations of concrete slab track. In this study,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new type reinforced 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사회로부터 요구 받고 있는 사회간접자본(Social Overhead Capital, SOC)건설 비용 최소화에 부합하면서도 공용 후 잔류침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철도보강노반의 설계법을 고찰하고, 설계를 신속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개발된 설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설계 안전율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 철도 및 도로 등 반복적으로 동하중을 지속적으로 부담해야 하는 토구조물에서 공용 후 잔류침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개발된 강성벽체 보강재 일체형 철도보강노반의 설계법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동 구조는 최근 철도분야에서 그 적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토공 상 콘크리트궤도에 적합한 구조로써 본 논문에서는 설계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면벽체는 무엇에 의해 설계하는가? 셋째, 전면벽체는 토압과 외부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휨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강도설계법에 의해 설계한다. Fig.
강성벽 보강재 일체형 보강노반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강성벽 보강재 일체형 보강노반은 기존의 옹벽 및 보강토 옹벽의 장점을 결합하여 새롭게 만들어진 기존의 토류 구조물과는 차별화된 설계상의 특징이 있다.
설계 민감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어떠한가? (1) 강성벽체 보강재 일체형 철도보강노반은 휨 및 전단 강성을 갖는 벽체를 뒷채움부와 일체로 결합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구조체의 안전성 및 부재력 계산 시 벽체를 고려한 전체 계에서의 평형조건을 만족하도록 설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고려한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기존 국내 보강토옹벽 시방에서 기준으로 적용하고 있는 보강재 최소길이 0.7H 또는 최소 2.5m이상 보다 짧은 0.4H 또는 2.5m 이하의 보강재 최소길이 적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2웨지형 가변형 활동파괴면 및 벽체하단의 롤러형 힌지 경계조건 가정으로 단보강재의 연직간격 증가 시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은 감소하나, 보강재 설치간격 증가로 인하여 벽체에 발생하는 휨모멘트는 증가하였다. 또한, 보강재 최대 인장력은 경계조건의 영향으로 최하단에서 발생하였으며, 해석 시 고려한 보강재 설계인장강도의 24%수준의 인장력이 발생하였다. (3) 높이 6m 철도보강노반 적용 시 원지반의 점착력이 낮고(10kN/m2 과 20kN/m2이하), 내부마찰각이 25° 이하인 경우, 기준 안전율(1.5)을 만족하지 못하는 결과를 보여 치환 등 원지반 보강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장보강재는 최소 상부 2단은 설치하여야 기준 안전율을 만족하며, 최 하단 1단의 미 배치 시 전도 및 활동 안전율 감소는 크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Associations of RRR (2001), RRR-B design and construction manual, pp. 23. 

  2. Horii, K., Kishida, H., Tateyama, M. and Tatsuoka, F. (1994) "Computerized design method for geosynthetic-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s for railway embankments", Proceeding of Seiken symposium, 11, pp.205-218. 

  3. Korea Railway Network Authority (2011), Railway design standard for roadbed, pp.6-11. 

  4. Kim, D.S., Park, S.Y. and Kim, K.H. (2012), "Effects of Vertical Spacing and Length of Reinforcement on the Behaviors of Reinforced Subgrade with Rigid Wall",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ol.11, No.4, pp.27-35. 

  5. Tatsuoka, F., Tateyama, M. and Murata, O. (1989), "Earth retaining wall with a short geotextile and a rigid facing", Proc. 12 th Int. Conf. on SMFE, Rio de Janeiro, 12(2), pp. 1311-1314. 

  6. Tatsuoka, F., Tateyama M., Uchimura T. and Koseki J. (1997) Geosynthetic-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s as important permanent structures (1996-1997 Mercer Lecture), Geosynthetics International, Vol.4, No.2 pp.81-1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