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양구군 해안분지의 지하수 사용과 전망
Groundwater Use and Its Perspective in Haean Basin, Yanggu County of Gangwon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5 no.2, 2013년, pp.179 - 189  

이진용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  한지원 (영진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원도 양구군 해안분지는 접경지대에 위치하며 지질학적 차별침식에 의해 형성된 특이지형이다. 최근 안보관광, 고랭지 작물특화 및 고원습지 등으로 일반인의 관심을 받고 있다. 한국전쟁 후 급격한 인구감소가 있었으나 2007년 이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연평균기온$+0.016^{\circ}C$/년 그리고 연강수량은 +10.41 mm/년의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강수 증가량의 대부분은 6~8월 우기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안분지의 지하수 관정 수 및 이용량이 최근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거의 대부분 논농사 및 고랭지 작물재배용이다.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라 향후 기온이 더욱 상승하면 고랭지 작물재배가 어려워지고 또 여름 집중강우가 증가한다면 지하수함양 및 물관리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그러므로 해안분지의 지속가능한 지하수개발량에 대한 평가와 물의존적 농업형태에 대한 변화(작물전환)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aean basin is a unique geographical feature formed by differential erosion and it borders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Recently the basin has become an interest of civilians due to security tour, highland vegetables and wetland. After the civil war, the population decreased but it has incre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9), 향후 기후변화가 가져올 수자원의 변화는 매우 중요한 지역적 이슈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해안분지 지역의 향후 물 사용과 관련한 농업의 전망과 함의를 제공한다.
  • 이울러 폐쇄적인 분지지형으로 인해 기후변화와 관련한 생태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안분지의 인구, 지질, 기후 및 지하수 사용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인구는 1984년 이후 감소하였으나 2007년부터 고랭지 작물 특화사업 이후 점진적 증가양상을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해안분지의 인문사회학적 변화 그리고 지하수 및 기후변화와 관련한 물사용 전망을 위하여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우선 해안분지(해안면)의 인구 및 가구수에 대한 정보는 강원정보통계 사이트(GSI, 2013)에서 취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특이지형으로 알려진 강원도 양구군 해안분지에 대하여 인구, 토지의 이용을 비롯한 인문사회 및 자연적 변화와 더불어 이 지역 용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하수의 이용·개발량의 변동을 평가하였다. 아울러 우리나라 기후변화정보센터(Climate Change Information Center, 2013)에서 제공하는 이 지역의 향후(~2100년까지) 기온 및 강수량 변동예측 자료를 통해 지하수 물수지의 변화가능성을 예측하였다. 본 지역은 현재 고랭지 채소재배 및 논농사가 주산업으로 물 의존성이 매우 높은 곳이므로(Lee, 2009; Yun et al.

가설 설정

  • 3. (a) Daily precipitation and air temperature and (b) air wind and humidity measured at 12:00 in the center of the basin. (continu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의 해안분지는 어디에 위치하는가? 연구지역인 해안분지는 서울에서 북동방향으로 약 120 km 떨어진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에 위치한다(Fig. 1).
양구군 해안분지의 지질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해안분지의 지질은 크게 선캠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류와 쥬라기의 대보화강암, 그리고 하천 인접 극히 일부 지역에 발견되는 제4기 충적층으로 구성된다(Fig. 2b; Won et al.
양구군 해안분지의 연평균기온과 강수량은 어떻게 되는가? 한편 분지 중앙에 위치한 해안면 사무소의 기상청 자동관측망(AWS)의 2012년 기상자료에 따르면(낮 12시 측정기준; Fig. 3), 연평균기온은 11.6℃, 연중 최고온도는 31.7℃(8월) 그리고 최저온도는 -14.8℃(12월)로 연중 기온차 46.5℃로 매우 크다. 또 연강수량은 1,389 mm이며 이중 62%가 7~9월에 집중되어 나타나며 특히 하루에 수십 mm 이상의 폭우가 내리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Lee, 2009). 해안분지의 풍속은 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rnell, NW (2004). Climate change and global water resources: SRES emissions and socio-economic scenarios, Global Environmental Change, 14(1), pp. 31-52. 

  2. Barnett, J and Adger, WN (2007). Climate change, human security and violent conflict, Political Geography, 26(6), pp. 639-655. 

  3. Choi, G, Lee, B, Kang, S and Tenhunen, J (2010). Variations of summertime temperature lapse rate within a mountainous basin in the Republic of Korea-a case study of Punch Bowl, Yanggu in 2009,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6(4), pp. 339-354. [Korean Literature] 

  4. Choi, HJ and Heo, K (2009). Flora monitoring of Yongnup, an Alpine Wetland, in Mt. Daeam, Korea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3(2), pp. 93-104. [Korean Literature] 

  5. Choi, HM and Lee, JY (2010). Groundwater level distribution and rainfall response characteristics in Haean Basin of Yanggu,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5(6), pp. 1-8. [Korean Literature] 

  6. Climate Change Information Center (CCIC) (2013). http://www.climate.go.kr/. 

  7. Eckhardt, K and Ulbrich, U (2003). Potential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groundwater recharge and streamflow in a central European low mountain range, Journal of Hydrology, 284(1-4), pp. 244-252. 

  8. Gangwon-domin Daily (2005). Symposium for upgrading values of Yanggu, center of the country, Dec. 10, 2005. [Korean Literature] 

  9. GIMS (2013). http://www.gims.go.kr/. 

  10. GSI (2013). http://stat.gwd.go.kr/. 

  11. Ham, GB (1993). Joys, sorrows and dreams of peoples in Punchball in northern area of Demilitary Zone, Monthly Mal, 1, pp. 116-119. [Korean Literature] 

  12. Jeon, MS and Kang, JW (2010). Muddy Water Management and Agricultural Dvelopment Measures in the Watershed of Soyang Dam: Focused on Haean-myeon, Yanggu-gun, Research Report, Research Institute for Gangwon, Chuncheon, Korea. [Korean Literature] 

  13. Joo, KH and Park, JK (2011). Discharge patterns of Yongnup, Daeam-san, Journal of Korea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8(4), pp. 271-282. [Korean Literature] 

  14. Jyrkama, MI and Sykes, JF (2007).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spatially varying groundwater recharge in the grand river watershed (Ontario), Journal of Hydrology, 338(3-4), pp. 237-250. 

  15. Kim, H, Lee, JY, Lee, SS, Hyun, Y and Lee, KK (2011). Characterization of vertical temperature distribution in hyporheic zone,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3(2), pp. 265-273. [Korean Literature] 

  16. Kundzewicz, ZW, Mata, LJ, Arnell, NW, Doll, P, Jimenez, B, Miller, K, Oki, T, Sen, Z and Shiklomanov, I (2008). The implications of projected climate change for freshwater resources and their management,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53(1), pp. 3-10. 

  17. Kwon, YS, Lee, HH, Han, U, Kim, WH, Kim, DJ, Kim, DI and Youm, SJ (1990). Terrain analysis of Haean basin in terms of earth scienc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1(3), pp. 236-241. [Korean Literature] 

  18. Lee, JY (2008). A hydrological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turbid water in Soyang River and its mitigation,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3(6), pp. 85-92. [Korean Literature] 

  19. Lee, JY (2009). Importance of hydrogeological and hydrologic studies for Haean basin in Yanggu,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5(4), pp. 405-414. [Korean Literature] 

  20. Lee, JY, Jeon, WH, Park, Y and Lim, HG (2012). Status and prospect of groundwater resources in Pyeongchang, Gangwon-do,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8(5), pp. 435-444. [Korean Literature] 

  21. Lee, JY, Lee, KS, Park, Y, Choi, HM and Jo, YJ (2013). Chemical and isotopic compositions of groundwater and stream water in a heavy agricultural basin of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India (in press). 

  22. Meehl, GA, Washington, WM, Collins, WD and Teng, H (2005). How much more global warming and sea level rise?, Science, 307(5716), pp. 1769-1772. 

  23. Netster Media (2010). Thirsty Gangwondo "emergency"… "The worst drought" in 38 years, August 9, 2010. [Korean Literature] 

  24. News1 (2012). Emergency input of 4,450,000,000 won into Gangwondo drought, June 28, 2012. [Korean Literature] 

  25. Newshankuk (2012). Extreme cold in Korean Peninsular is a paradox of global warming...weather is disaster, Newshankuk Opinion, 29 Dec. 2012. [Korean Literature] 

  26. Park, JK (2003). Characteristics of pH, electric conductivity and water temperature of groundwater in Yongnup, Daeam-san,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8(1), pp. 1-15. [Korean Literature] 

  27. Park, YC, Jo, YJ and Lee, JY (2011). Trends of groundwater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Stations: indication of any change?, Geosciences Journal, 15(1), pp. 105-114. 

  28. Sung, JH, Kang, HS, Park, SH, Cho, CH, Bae, DH and Kim, YO (2012). Projection of extreme precipitation at the end of 21st century over South Korea based on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Atmosphere, 22(2), pp. 221-231. [Korean Literature] 

  29. Won, JK, Lee, MW, Jin, MS and Han, SB (2006). Haean basin in Yanggu, 2006 Detailed Investigation Report on Geology, Mineral and Cultural Heritag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Seoul, Korea, pp. 50-83. [Korean Literature] 

  30. Won, JK, Lee, MW and Woo, JK (1987). Geologic and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Haean basin, Memorial Book of 40th Anniversary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pp. 45-57. [Korean Literature] 

  31. Won, JK, Na, KC and Lee, MW (1988). Geology in northern area of Demilitary Zone, Investigation Report of Resources in North of Demilitary Zone (Geolog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Seoul, Korea, pp. 114-120. [Korean Literature] 

  32. Yun, SW, Jo, YJ and Lee, JY (2009). Comparison of groundwater recharges estimated by waterlevel fluctuation and hydrograph separation in Haean basin of Yanggu,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5(4), pp. 391-404. [Korean Literature] 

  33. Yun, SW, Kim, YS, Kim, DH, Kim, HC, Shin, MC, Park, JY, Kim, H and Lee JY (2013). Comparative study on change in groundwaters of rural and urban areas in Korea: effects of climate change, Proceedings of 2013 EGU, Viennena, Austria, 7-12 April, pp. 377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