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운동프로그램 중재가 돌림근띠 복원술 환자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ercise Program Intervention on Muscle Activity in Rotator Cuff Repair Patient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5 no.2, 2013년, pp.56 - 63  

강정일 (세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문영준 (세한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박승규 (세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준희 (세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양대중 (세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최현 (세한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정대근 (세한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용남 (남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권혜민 (서남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how an effective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influences the activity of shoulder muscles, and to help the clinical application of a rehabilitation program, for prevention and relief of pain, adhesion, and joint stiffness of patients who und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돌림근띠 근 활성도의 변화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돌림근띠 복원술 후 통증, 유착 그리고 빠른 석회화의 진행으로 관절강직에 따른 근육 손실에 주된 근육의 약화를 보였던 가시위근, 가시아래근, 앞톱니근, 중간 어깨세모근을 토대로, 복원술 후 고정하는 기간 동안에 지속적 어깨관절 수동운동프로그램을 중재한 집단과, 지속적 어깨관절 수동운동프로그램 중재와 점진적 저항 운동을 통한 환측 손가락 쥐기 운동프로그램을 중재한 집단 및 지속적 어깨관절 수동운동프로그램 중재와 건측 어깨 교차훈련 운동프로그램 중재한 집단들의 근 활성도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오른쪽이 우성인 왼쪽 돌림근띠 가시위근 힘줄 2도 파열 손상 병변을 진단받고, 돌림근띠 복원술 후 일반적 물리치료를 받는 남성 환자를 대상으로, 세 가지 유형의 운동프로그램 중재에 따라 가시위근, 가시아래근, 앞톱니근, 중간 어깨세모근 등의 %MVIC값에 따른 근 활성도의 변인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변인들에 따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차훈련 효과란 무엇인가? 이렇듯 돌림근띠 복원술 후 관리에 있어서 유착 및 강직을 최소화하기 위한 재활로는 수동적 운동범위와 물리치료적 중재가 중요한 구성 중에 하나이다.10 이런 물리치료적 운동방법 중에는 많은 중재방법들이 있는데 그 중 교차훈련 효과(cross training effect)는 한쪽 사지에 근력훈련을 했을 때 훈련하지 않은 그에 상응하는 반대쪽 사지에서 근 활성도 증가가 일어나는 현상을 말하며,11 교차훈련의 중재방법은 한쪽에서의 운동 활동이 반대쪽 사지(contralateral limb)의 동종근육(homologous muscle)의 수행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은 방산(irradiation) 또는 생리적 과흐름(overflow)을 이용한 것이다.
돌림근띠 파열의 수술 후 예후는 어떠한가? 2 돌림근띠 파열의 가장 주된 증상은 통증이며, 이러한 증상으로 어깨의 중압감과 미동으로 인해 임상적으로 능동 및 수동운동 범위가 둘 다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수술 후 예후에도 영향을 미친다.3 예후로는 파열 크기에 따라 작은 크기의 파열에서는 어깨의 약간의 움츠림이나 통증 정도가 있으나, 큰 크기의 파열은 어깨의 통증이나 장애에서 크기가 작은 파열에 비해 더 심각하다.4 돌림근띠 파열로 인한 관절경 수술은 찢어진 힘줄을 해부학적 구조에 초점을 맞춰 관련 조직들을 본래의 자리로 복원 시키면서 힘줄의 긴장성을 낮추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관절경 수술의 장점은 무엇인가? 4 돌림근띠 파열로 인한 관절경 수술은 찢어진 힘줄을 해부학적 구조에 초점을 맞춰 관련 조직들을 본래의 자리로 복원 시키면서 힘줄의 긴장성을 낮추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5 관절경 수술의 장점으로는 절개부위가 작아 연부조직 손상이 적으며, 어깨세모근을 분리하지 않고 어깨관절의 점검, 내부관절의 병변을 해결할 수 있고, 적은 통증과 빠른 재활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Williams GR Jr, Rockwood CA Jr, Bigliani LU et al. Rotator cuff tears: why do we repair them? J Bone Joint Surg Am. 2004;86-A(12):2764-76. 

  2. Escamilla RF, Andrews JR. Shoulder muscle recruitment patterns and related biomechanics during upper extremity sports. Sports Med. 2009;39(7):569-90. 

  3. Parsons BO, Gruson KI, Chen DD et al. Does slower rehabilitation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lead to long-term stiffness? J Shoulder Elbow Surg. 2010;19(7):1034-9. 

  4. Yamaguchi K, Ditsios K, Middleton WD et al. The demographic and morphological features of rotator cuff disease. A comparison of asymptomatic and symptomatic shoulders. J Bone Joint Surg Am. 2006;88(8):1699-704. 

  5. Waltrip RL, Zheng N, Dugas JR et al. Rotator cuff repair. A biomechanical comparison of three techniques. Am J Sports Med. 2003;31(4):493-7. 

  6. Gartsman GM. All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s. Orthop Clin North Am. 2001;32(3):501-10. 

  7. Shima N, Ishida K, Katayama K et al. Cross education of muscular strength during unilateral resistance training and detraining. Eur J Appl Physiol. 2002;86(4):287-94. 

  8. Koo SS, Burkhart SS. Rehabilitation following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Clin Sports Med. 2010;29(2):203-11. 

  9. Farthing JP, Krentz JR, Magnus CR. Strength training the free limb attenuates strength loss during unilateral immobilization. J Appl Physiol. 2009;106(3):830-6. 

  10. Neer CS. Shoulder rehabilitation. In: shoulder reconstruction. Philadelphia, Saunders, 1990:487-533. 

  11. Carroll TJ, Herbert RD, Munn J et al. Contralateral effects of unilateral strength training: evidence and possible mechanisms. J Appl Physiol. 2006;101(5):1514-22. 

  12. Lee SY, Gong WT, Park MC et al. A study of shoulder stabilizer muscle exercise using the contraction of the finger flexor muscle. J Phys Ther Sci. 2011;23(1):41-3. 

  13. Taylor NF, Dodd KJ, Damiano DL. Progressive resistance exercise in physical therapy: a summary of systematic reviews. Phys Ther. 2005;85(11):1208-23. 

  14. Inman VT, Saunders JB, Abbott LC. Observations of the function of the shoulder joint 1944. Clin Orthop Relat Res. 1996;(330):3-12. 

  15. Jeong JG, Kim TY, Kim YN et al. Analysis of sEMG median frequency and ultrasound image echodensity of normal skeletal muscle. J Korean Soc Phys Ther. 2006;18(1):83-94. 

  16. Cram JR, Kasman GS, Holtz J. Introduction to surface electromyography. Gaithersburg Maryland, Aspen Publishers, 1998:273-89. 

  17. Murphy CA, McDermott WJ, Petersen RK et al.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the rotator cuff in postoperative shoulder patients during passive rehabilitation exercises. J Shoulder Elbow Surg. 2013;22(1):102-7. 

  18. Koo CH, Lee IH, Park KL et al. The effect of passive joint mobilization and massge on subacute lateral ankle ligament injuroes. J Korean Soc Phys Ther. 2005;17(4):457-67. 

  19. Salter RB. The physiologic basis of continuous passive motion for articular cartilage healing and regeneration. Hand Clin. 1994;10(2):211-9. 

  20. Bennett WF. Addressing glenohumeral stiffness while treating the painful and stiff shoulder arthroscopically. Arthroscopy. 2000;16(2):142-50. 

  21. Bae SS, Kim CY, Hwangbo G et al. The effects of motor control with active movement and passive movement. J Korean Soc Phys Ther. 1999;11(3):13-21. 

  22. Arndt J, Clavert P, Mielcarek P et al. Immediate passive motion versus immobilization after endoscopic supraspinatus tendon repair: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Orthop Traumatol Surg Res. 2012;98(6 Suppl):S131-8. 

  23. Jang HJ, Kim JS, Choi JD et al. The effects of hand grip force on shoulder muscle activity in two arm posture. JKIS. 2012;13(3):1229-37. 

  24. Antony NT, Keir PJ. Effects of posture, movement and hand load on shoulder muscle activity. J Electromyogr Kinesiol. 2010;20(2):191-8. 

  25. Chu M, Hwang BD. Changes of the hand grip strength according to shoulder joint angle. J Korean Soc Phys Ther. 1998;10(2):77-86. 

  26. MacDonell CW, Keir PJ. Interfering effects of the task demands of grip force and mental processing on isometric shoulder strength and muscle activity. Ergonomics. 2005;48(15):1749-69. 

  27. Sharkey NA, Marder RA. The rotator cuff opposes superior translation of the humeral head. Am J Sports Med. 1995;23(3):270-5. 

  28. Reed D, Halaki M, Ginn K. The rotator cuff muscles are activated at low levels during shoulder adduction: an experimental study. J Physiother. 2010;56(4):259-64. 

  29. Roman-Liu D, Tokarski T, Kaminska J. Assessment of the musculoskeletal load of the trapezius and deltoid muscles during hand activity. Int J Occup Saf Ergon. 2001;7(2):179-93. 

  30. Hodder JN, Keir PJ. Targeted gripping reduces shoulder muscle activity and variability. J Electromyogr Kinesiol. 2012;22(2):186-90. 

  31. Munn J, Herbert RD, Gandevia SC. Contralateral effects of unilateral resistance training: a meta-analysis. J Appl Physiol. 2004;96(5):1861-6. 

  32. Adler SS, Beckers D, Buck M. PNF in practice: an illustrated guide. Heidelberg, Springer, 2008:6-7. 

  33. Sherrington C. the integrative action of the nervous system.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47. 

  34. Carr LJ, Harrison LM, Stephens JA. Evidence for bilateral innervation of certain homologous motoneurone pools in man. J Physiol. 1994;475(2):217-27. 

  35. Magnus CR, Barss TS, Lanovaz JL et al. Effects of cross-education on the muscle after a period of unilateral limb immobilization using a shoulder sling and swathe. J Appl Physiol. 2010;109(6):1887-94. 

  36. Choi JH, Park SH. The effect of cross education using serial reaction time. J Korean Soc Phys Ther. 2008;20(4):15-20. 

  37. Choi JH, Lee MY. The effect of cross-education in nondominant arm with normal adult. J Korean Soc Phys Ther. 2011;23(2):31-6. 

  38. Jeong WS, Jeong JY, Kim CK et al. Effect of lower limb muscle activity on balancing through sprinter patterns of PNF. J Korea Contents Assoc. 2011;11(3):281-92. 

  39. Choi JC. The evaluation of overflow and cross training effect after isometric quadriceps training. J Korean Soc Phys Ther. 2000;12(1):9-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