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을 이용한 조기 로봇보조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arly robot-assisted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program in patient with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5 no.4, 2013년, pp.195 - 203  

이동순 (원광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물리치료실) ,  이경화 (원광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물리치료실) ,  강태우 (원광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물리치료실) ,  조성태 (원광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early Robot-assisted training on gait ability, function and ADL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26 patients with stroke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EG) or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0 최근 로봇을 이용한 훈련의 효과에 대한 연구 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8,11,32,38 본 연구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조기 로봇 보조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가상 현 실을 이용한 조기 로봇보조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 균형능력, 기능적 움직임, 일상생활수행능력에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 18 또한, 본 연구에 적용한 뇌졸중 환자에게 가상현실을 이용한 로봇보조 보행 훈련에 대한 연구도 국내에서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을 이용한 조기 로봇보조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에게 있어 보행 능력과 기능,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에게 가상현실을 접목한 조기 로봇보조 보행 훈련의 중재를 함으로써 보행 능력 및 균형능력, 기능적 움직임의 능력,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보행 능력에 관한 검사는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and Go, TUG)로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피험자의 선정 조건은 무엇인가? 1) 뇌졸중 진단을 받은 3개월 이내의 내과적, 신경학적으로안정이 된 조기재활이 가능한 환자 2) 보조기나 지팡이 등 기타 보장구의 착용유무에 관계없이 10 m 이상 보행이 가능한 환자 3) 하위 운동 신경 병변이 없으며 양 하지에 외상 및 정형외과 적인 문제가 없는 환자 4) 최근 1년 이내에 심장 우회술이나 심장과 관련된 수술을받지 않은 환자 5) 연구자나 검사자가 지시하는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간이-정신상태 검사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에서 24점 이상을 받은 환자.19 6) 관절 가동 범위에 제한이 없고, 마비가 있는 하지의 경직이Modified Ashworth Scale (MAS)로 측정 시 G1+이하인 환자
MMAS는 무엇인가? 운동기능 관련 검사를 위해 Modified Motor Assessment Scale (MMAS)를 사용하였다. MMAS는 Carr & Shepherd에의해 Motor Assessment Scale (MAS)를 수정한 뇌졸중 환자에 대한 운동기능 평가 도구이다.24 타인의 도움 없이 환자 스스로 수행을 하며 각 항목마다 3회 반복하여 수행한 결과 중 가장 높은 점수를 채택하였다.
뇌졸중의 징후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뇌졸중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사망 원인이며 성인 장애의 가장 중요한 원인 질환이다.1 뇌졸중의 징 후로는 근력 약화, 강직, 통증, 그리고 감각기관과 평형성의 손상으로 인한 운동능력의 감소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이 감 소된 운동능력은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위해 필요한 보행, 계단 오르기, 자리에서 일어서기, 그리고 돌기 등과 같은 기본적인 활동의 제한을 초래한다.2  특히 뇌졸중으로 인한 보행 기능의 손상은 환자가 기능적 독립을 달성하는데 큰 장애 요소이며, 환자의 재활에 있어서 보행능력의 획득은 환자의 독립성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로서 치료사와 환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치료의 목표가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Hong KS, Bang OY, Kang DW et al. Stroke statistics in korea: part I. epidemiology and risk factors: a report from the korean stroke society and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J Stroke 2013;15(1):2-20. 

  2. Kim JH.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tatic, dynamic standing balance symmetry and walking function in storke. J Korean Soc Phys Ther. 2012;24(2):73-81. 

  3. Lee MS, Lee JH, Park SG et al. The effect of ankle joint taping applied to patients with hemiplegia on their gait velocity and joint angles. J Korean Soc Phys Ther. 2012;24(2):157-62. 

  4. Suzuki T, Yoshida H, Hashimoto T. Case-control study of risk factors for hip fractures in the japanese elderly by a mediterranean osteoporosis study questionnaire. Bone 1997;21(5):461-7. 

  5. Langhammer B, Stanghelle JK. Co-variation of tests commonly used in stroke rehabilitation. Physiother Res Int. 2006;11(4):228-34. 

  6. Dobkin BH, Bruce H. An overview of treadmill locomotor training with partial body weight support: a neurophysiologically sound approach whose time has come for randomized clinical trials. Neurorehabil Neural Repair. 1999;13(3):157-65. 

  7. Hesse S, Bertelt C, Jahnke MT et al. Treadmill training with partial body weight support compared with physiotherapy in nonambulatory hemiparetic patients. Stroke. 1995;26(6):976-81. 

  8. Britta Husemann, Friedemann Muller, Carmen Krewer et al. Effects of locomotion training with assistance of a robot-driven gait orthosis in hemiparetic patient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Stroke. 2007;38(2):349-54. 

  9. Kosak MC, Reding MJ. Comparison of partial body weightsupported treadmill gait training versus aggressive bracing walking post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0;14(1):13-9. 

  10. Colombo G, Wirz M, Dietz V. Driven gait orthosis for improvement of locomotor training in paraplegic patients. Spinal Cord. 2001;39(5):252-5. 

  11. Mayr A, Kofler M, Quirbach E et al. Prospective, blinded, randomized crossover study of gait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using the lokomat gait orthosis.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7;21(4):307-14. 

  12. Lum PS, Burgar CG, Shor PC et al. Robot-assisted movement training compared with conventional therapy techniques for the rehabilitation of upper-limb motor function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2;83(7):952-9. 

  13. Weiss, PL, Rand, D, Katz N et al. Video capture virtual reality as a flexible and effective rehabilitation tool. J Neuroeng Rehabil. 2004;1(1):1-12. 

  14. Weiss PL, Bialik P, Kizony R. Virtual reality provides leisure time opportunities for young adults with physical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Cyberpsychol Behav. 2003;6(3):335-42. 

  15. Merians AS, Jack D, Boian R et al. Virtual reality- augmented rehabilitation for patients following stroke. Phys Ther. 2002;82(9):898-915. 

  16. Yang YR, Tsai MP, Chuan TY et al. Virtual reality-based training improves community ambulation in individuals with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gait & posture. 2008;28(2):201-6. 

  17. Song MS, Kang TW, No HJ et al. Effects of Robot-assist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program on Gait ability in patient with acute spinal cord injury.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12:51(3);347-362. 

  18. Marchal-Crespo L, Reinkensmeyer DJ. Review of control strategies for robotic movement training after neurologic injury. J Neuroeng Rehabil. 2009;16(6):6-20. 

  19. Park JH, Kwon YC. Standardiz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for use in the elderly, part II, diagnostic validit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9;28(3):508-13. 

  20.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21. Liaw LJ. Hsieh CL, Lo SK et al. The relative and absolute reliability of two balance performance measures in chronic stroke patients. Disabil Rehabil. 2008;30(9):656-61. 

  22. Mao HF, Hsueh IP, Tang PF et al.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ree balance measures for stroke patients. Stroke. 2002;33(4):1022-7. 

  23. Berg KO, Wood-Dauphinee SL, Williams JI. The balance scale: reliability assessment with elderly 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 J Rehabil Med. 1995;27(1):27-36. 

  24. Carr JH, Shepherd RB. Investigation of a new motor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 Phys Ther. 1985;65(2):175-80. 

  25. Loewen SC, Anderson BA. Predictors of stroke outcome using objective measurement scales. Stroke. 1990;21(1):78-81. 

  26. Gladstone DJ, Danells CJ, Black SE. The fugl-meyer assessment of motor recovery after stroke: a critical review of its measurement properties.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2;16(3):232-40. 

  27. Granger CV, Albrecht GL, Hamilton BB. Outcome of comprehensive medical rehabilitation: Measurement by pulsesprofile and the barthel Index. Arch phys Med Rehabil. 1979;60(4):145-54. 

  28. Arias M, Smith LN. Early mobilization of acute stroke patients. J Clin Nurs. 2007;16(2):282-8. 

  29. Sung DY, Kim JH, Park JW. The effect of changes in foot cutaneous sensation on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during gait. J Korean Soc Phys Ther. 2012;24(5):306-12. 

  30. Miller EW, Quinn ME, Seddon PG.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and overground ambulation training for two patients with chronic disability secondary to stroke. Phys Ther. 2002;82(1):53-61. 

  31. Brutsch K, Schuler T, Koenig A et al. Influence of virtual reality soccer game on walking performance in robotic assisted gait training for children. J Neuroeng Rehabil. 2010;22(4):7-15. 

  32. Jung KH, Ha HG, Shin HJ et al. Effects of Robot-assisted Gait Therapy on Locomotor Recovery in Stroke Patients. J Korean Acad Rehab Med. 2008;32:(3)258-66. 

  33. An SH, Kim JH, Song CH. The comparison of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PASS : 5 items-3 level) and berg balance scale(BBS : 7 items-3 level) used for patients with stroke.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10;5(1):89-99. 

  34. Brutsch K, Koenig A, Merillat-Koeneke S et al. Virtual reality for enhancement of robot-assisted gait training in children with neurological gait disorders. J Rehabil Med. 2011;43(6):493-9. 

  35. Crosbie JH, Lennon S, Basford JR et al. Virtual reality in stroke rehabilitation: still more virtual than real. Disabil Rehabil 2007;29(14):1139-1146. 

  36. Mehrholz J, Hadrich A, Platz T et al. Electro-mechanical and robot-assisted arm training for improving gener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arm function, and arm muscle strength after strok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2;6:CD006876. 

  37. Kim JJ, Gu S, Lee JJ et al. The effects of virtural reality-based continuous slow exercise on factors for falls in the elderly. J Korean Soc Phys Ther. 2012;24(2):90-7. 

  38. Lee JH, Park SW, Kang JI et al. Effects of virtual reality exercise program on muscle activity and balance abilities in elderly women. J Korean Soc Phys Ther. 2011;23(4):37-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