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간-종속적 공변량이 포함된 이분형 반복측정자료의 GEE를 이용한 분석에서 결측 체계에 따른 회귀계수 추정방법 비교
Comparison of GEE Estimation Methods for Repeated Binary Data with Time-Varying Covariates on Different Missing Mechanisms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6 no.5, 2013년, pp.697 - 712  

박보람 (국립암센터 바이오메트릭연구과) ,  정인경 (연세대학교 의학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시점 자료 연구에서 일반화추정방정식은 가상관행렬을 잘못 가정하더라도 모수의 일치추정량을 도출하므로 많이 이용된다. 하지만, 결측 체계가 완전임의결측이 아닌 경우에는 편의추정량을 제공하고, 시간-종속적 공변량이 포함된 경우에는 가상관행렬에 따라 회귀계수 추정값이 다르게 도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결측 체계가 임의결측인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중 방법과 다중대체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종속적 공변량이 포함된 이분형 반복측정자료를 GEE를 이용하여 분석할 때 다양한 결측 체계에서 일반화추정방정식 방법, 가중 방법, 다중대체 방법의 회귀계수 추정에 대한 로버스트성과 정확성을 모의실험을 통하여 비교해 보았다. 세 가지 방법 모두에서 시간-종속적 공변량의 회귀계수가 시간-독립적 공변량의 회귀계수에 비해 가상관행렬에 따라 추정값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다른 두 방법에 비해 다중대체 방법이 가상관행렬의 형태에 대해 더 로버스트하고 편의도 작은 추정치를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analyzing repeated binary data, th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GEE) approach produces consistent estimates for regression parameters even if an incorrect working correlation matrix is used. However, time-varying covariates experience larger changes in coefficients than time-invariant cov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후)반응 변수의">반응변수의 다양한 상관구조와 여러 가지 결측체계에서의 일반화추정방정식 방법(GEE), 가중 방법(WGEE), 다중대체 방법(MI)의 로버스트성(robustness)을 살펴보고자 한다. 후)다중대체(Rubin,">다중대체 (Rubin, 1987)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모의실험을 통하여 자료의 상관구조, 결측 체계를 변화시키면서 세 가지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시간-독립적 공변량과 시간-종속적 공변량 추정값이 가상관행렬에 따라 어떤 양상으로 변화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후)도출될 수">도출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화추정방정식 방법, 가중 방법, 다중대체 방법을 이용하여 GEE 분석에서 시간-독립적 공변량과 시간-종속적 공변량의 추정값이 가상관행렬에 따라 어떤 양상으로 변화하는지 연구하였다. 새로 개발한 항발작제(anti-epileptic drug; AED)의 효능을 살펴보기 위해 수집한 총 89명의 간질환자 자료 (Faught 등, 1996)를 2절에서 소개한 세 가지 방법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모든 환자는 약을 복용하기 전 필요한

    가설 설정

    • i번째 개체가 t - 1시점에서 관측되었다는 조건하에 t시점에서도 관측될 확률은 λit = P(Rit = 1lRi(t−1) = 1,Dit, Yi) = P(Rit = 1lRi(t−1) = 1,Dit) 식을 만족한다고 가정한다.
    • 반복 측정된 관측값의 결합분포는 구체화하지 않고 yit주변분포를 정의하고 반응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상관행렬을 가정한 후 모수를 추정한다. 이때, 가정하는 본 논문에서는 모든 결측 체계에서 결측률을 5%라고 가정하여 α0 = 3.0으로 지정하고 모의실험을 시행하였다.
    • 상관행렬 Ci은 자기상관(autoregressive; AR(1)) 행렬(ρ = 0.4, 0.6)과 교환가능한(exchangeable) 행렬(ρ = 0.2, 0.4, 0.6)로 총 5가지 형태를 가정하여 살펴보았다.
    • 공변량인 성별, 인종, 약 복용 시작 시점은 균등분포(Uniform distribution)를 따르는 난수 발생을 통하여 생성하고, 나이, 몸무게는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를 따르는 난수 발생을 통하여 생성하였다. 전체 대상자는 위약군 100명, 신약군 100명으로 총 200명이 각각 10주씩 관측된다고 가정한다. 약을 복용하기 시작한 시점 #은 4~6주로 사람마다 약 복용 시작 시점을 다르게 설정하고, 시간-종속적 공변량인 약 복용 여부는 #인 지시변수이다.
    • i번째 개체가 t시점에서 관측되었다면 Rit = 1이고, 그 외에는 Rit = 0으로 정의한다. 첫 번째 시점에서는 항상 관측이 되고, 한 번 결측이 발생하면 그 뒤 시점부터 끝 시점까지 모두 결측이 발생한 것으로 가정한다. 즉, 모든 개체에 대해서 Ri1 = 1이고, 만약 Rit = 0이면 Ri(t+1) = 0임을 의미한다.
    • i번째 개체가 t시점에서 관측되었다면 Rit = 1이고, 그 외에는 Rit = 0으로 정의한다. 첫 번째 시점에서는 항상 관측이 되고, 한 번 결측이 발생하면 그 뒤 시점부터 끝 시점까지 모두 결측이 발생한 것으로 가정한다. 즉, 모든 개체에 대해서 Ri1 = 1이고, 만약 Rit = 0이면 Ri(t+1) = 0임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시점 자료란? 다시점 자료(longitudinal data)는 시간에 따라 같은 개체 내에서 반복 측정된 자료로 관측값들 사이에 종속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관측값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고려하기 위해 일반화추정방정식(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다시점 자료에서 관측값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고려하기 위해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것은? 다시점 자료(longitudinal data)는 시간에 따라 같은 개체 내에서 반복 측정된 자료로 관측값들 사이에 종속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관측값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고려하기 위해 일반화추정방정식(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화추정방정식은 가상관행렬(working correlation matrix)을 잘못 가정하더라도 모수의 일치추정량(consistent estimator)을 구할 수 있다 (Liang과 Zeger, 1986).
일반화추정방정식의 장점은? 이러한 관측값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고려하기 위해 일반화추정방정식(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화추정방정식은 가상관행렬(working correlation matrix)을 잘못 가정하더라도 모수의 일치추정량(consistent estimator)을 구할 수 있다 (Liang과 Zeger, 1986). 하지만, 일반화추정방정식은 결측 체계가 완전임의결측(MCAR)이 아닌 경우에 편의추정량을 제공하고 (Troxel 등, 1997), 시간-종속적 공변량(time-varying covariate)이 포함된 경우에는 가상관행렬에 따라 회귀계수 추정값이 다르게 나올 수 있다 (Liang과 Zeger, 198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eunckens, C., Sotto, C. and Molenberghs, G. (2008). A simulation study comparing weighted estimating equations with multiple imputation based estimating equations for longitudinal binary data, Computational Statistics & Data Analysis, 52, 1533-1548. 

  2. Faught, E., Wilder, B. J., Ramsay, R. E., Reife, R. A., Kramer, L. D., Pledger, G. W. and Karim, R. M. (1996). Topiramate placebo-controlled dose-ranging trial in refractory partial epilepsy using 200-, 400-, and 600-mg daily dosages, Neurology, 46, 1684-1690. 

  3. Fitzmaurice, G. M. (1995). A caveat concerning independence estimation equations with multiple multivariate binary data, Biometrics, 51, 309-317. 

  4. Kim, T. H. (2004). Handling data in GEE with missing response, Sungkyunkwan University. 

  5. Liang, K. Y. and Zeger, S. L. (1986). Longitudinal data analysis using generalized linear models, Biometrika, 73, 13-22. 

  6. Little, R. J. A. and Rubin, D. B. (2002). Statistical Analysis with Missing Data, John Wiley & Sons. 

  7. Pepe, M. S. and Anderson, G. (1994). A cautionary note on inference for marginal regression models with longitudinal data and general correlated response data, Communication in Statistics B, 23, 939-951. 

  8. Preisser, J. S., Lohman, K. K. and Rathouz, P. J. (2002). Performance of weighted estimating equations for longitudinal binary data with drop-outs missing at random, Statistics in Medicine, 21, 3035-3054. 

  9. Robins, J. M., Rotnitzky, A. and Zhao, L. P. (1994). Estimation of regression coefficients when some regressors are not always observed,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189, 846-866. 

  10. Robins, J. M., Rotnitzky, A. and Zhao, L. P. (1995). Analysis of semiparametric regression models for repeated outcomes in the presence of missing data,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90, 106-121. 

  11. Rubin, D. B. (1987). Multiple Imputation for Nonresponse in Surveys, John Wiley & Sons. 

  12. Song, J. W. and An, H. (2009). Handling and Analysis of Missing Data, Statistical Training Institute, Seoul. 

  13. Troxel, A. B., Lipsitz, S. R. and Brennan, T. A. (1997). Weighted estimating equations with nonignorably missing response data, Biometrics, 53, 857-869. 

  14. Wall, M. M., Dai, Y. and Eberly, L. E. (2005). GEE estimation of a misspecified time-varying covariate: An example with the effect of alcoholism treatment on medical utilization, Statistics in Medicine, 24, 925-9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