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 앱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 태도 및 사용의도 영향요인 연구 -성별과 연령집단별 차이 비교-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Attitude toward and Intention to Use Mobile Shopping through Fashion Apps -Comparisons of Gender and Age Group Difference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7 no.7, 2013년, pp.1000 - 1014  

성희원 (경상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s the determinants that influence attitude toward and the intention to use mobile shopping services through fashion applications (apps)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addition, gender and age group differences were examined. Data were collected from subjects who ha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Davis et al.(1989)의 기술수용모형을 기본으로 스마트폰의 패션 관련 어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패션 앱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에 대한 태도 및 사용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영향변수들을 조사하고, 성별, 연령집단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영향변수로는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희성, 지각된 위험, 주관적 규범을 포함하였으며, 패션 앱 속성 및 패션 관여도 또한 모바일 패션 쇼핑의 태도 및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고 본연구에 포함하였다.
  • 먼저 m-commerce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특성으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희성, 지각된 위험을 포함하였다. 모바일 쇼핑 중에서도 패션 제품 구매로 한정하였고, 패션에 대한 관심 정도가 모바일 쇼핑에 대한 태도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패션 앱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으로 한정하고, 패션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을 포함하였다.
  • Ha(2010)는 인터넷 쇼핑몰 위험지각요인으로 품질위험, 배송관련위험, 제품이미지위험, 대금결제위험, 경제적위험, 타인시선우려위험, 치수위험의 7가지 요인으로 추출하였고, Park and Kim(2011)은 거래안전위험, 상품관련위험, 경제적 위험, 신뢰성 위험의 4요인으로, Nam and Lee(2009)는 품질위험, 위조제품위험, 신용거래위험, 사회심리적 위험, 치수 및 어울림위험, 배달위험의 6가지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모바일 쇼핑은 온라인 쇼핑몰에 비해 아직까지 초기단계이며, 모바일 쇼핑을 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 개인 정보 유출이나 모바일 환경에 따른 제약 요소들이 주된 이유임을 감안할 때(DMC Report, 2013), 본 연구에서는 거래시 보안위험과 제품의 품질관련 위험을 중점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모바일 쇼핑 시장이 성장단계로 진입한 것에 비해 아직까지 일반 대중들의 인지도가 낮고 태도가 형성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모바일 패션 쇼핑 태도 및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응답자는 온라인 조사기관의 패널로 스마트폰 패션관련 앱의 사용경험은 있으나 패션앱의 유형이나 사용빈도, 모바일 쇼핑 경험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모바일 패션 쇼핑 활성화를 위해 패션 앱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 사용의도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패션 앱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에 대한 태도 및 사용의도를 조사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변수들을 예측변수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 영향변수로는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희성, 지각된 위험, 주관적 규범을 포함하였으며, 패션 앱 속성 및 패션 관여도 또한 모바일 패션 쇼핑의 태도 및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고 본연구에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모바일시장 진입을 준비하는 패션브랜드나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게 잠재사용자를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모바일 쇼핑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새로운 유통채널로 부상하고 있는 모바일 시장에 대응하고자 패션 앱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이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예측변수를 추출하고, 모바일 쇼핑에 대한 태도와 사용의도를 형성하는데 어떠한 요인이 가장 효과적이며, 성별이나 연령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모바일 패션 쇼핑 활성화를 위해 패션 앱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 사용의도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패션 앱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에 대한 태도 및 사용의도를 조사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변수들을 예측변수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먼저 m-commerce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특성으로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희성, 지각된 위험을 포함하였다.
  • 또한 패션 앱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으로 한정하고, 패션 애플리케이션의 속성을 포함하였다. 연구모형 [Fig. 1]과 같이 4개의 사용자 지각 특성변수와 패션 관여도, 패션 앱 속성 요소가 모바일 쇼핑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지각된 위험만 부(−)의 관계를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커머스는 무엇인가? 모바일 커머스(mobile commerce)는 전자상거래의 한 유형으로, 사용자가 이동 전화기나 단말기로 무선 통신망을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뱅킹, 티켓팅, 제품 구매 등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상거래를 의미한다(An & Kim, 2011; Ko et al., 2009).
모바일 커머스는 어떠한 장점이 있는가? 모바일 커머스 시장의 급격한 성장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대중화를 1차적 원인으로 꼽을 수 있으며 통신업체 간의 경쟁과열로 무제한 데이터 이용요금제의 확산이 이를 가속화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온라인 쇼핑 시장에 비해 모바일 커머스는 시간이나 공간의 제약에서 더 자유로우며, 여유시간을 활용 하여 순간적인 접속이 가능하며, 모바일만의 할인 혜택이나 간편한 결제방식 등의 장점이있다. 이는 모바일쇼핑의 주된 이용시간이 취침전시간인 것으로도 알 수 있다(DMC Report, 2013).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실시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쇼핑경험에서 주로 이용하는 구매품목은 어떻게 조사되었는가? 9%로 증가하여 불과 1년 6개월 만에 모바일 쇼핑 경험자가 3배 이상 증가함을알수있다(Korea Internet Security Agency, 2012, 2013). 주로 이용하는 구매품목으로 2011년도에는 영화· 공연등 예약/예매(51.1%), 의류 · 신발 · 악세서리(41.4%), 소셜 커머스 등의 쿠폰(32.4%), 도서 · 잡지(32%) 순이었 으나, 2012년에는 의류 · 신발 · 악세서리(58.3%)의 비중이 높아졌고, 영화 · 공연 등 예약/예매(45.1%), 소셜 커머스 등의 쿠폰(30.5%), 화장품(30.2%) 순으로 나타나 온라인 시장과 마찬가지로 모바일 시장에서 패션 품목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 D. C., & Kim, S. H. (2011). Factors influencing mobile commerce adoption in Korea: The gender gap. Advertising Research, 88(Spring), 7-36. 

  2. Ban, J. H. (2013, July 17). Smartphone shopping, unstoppable growth.. Internet will be overtaken soon. Money Today. Retrieved August 5, 2013, from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3071714424427150&outlink1 

  3. Cho, E. H. (2013, June 12). Mobile shopping as a major distribution channel. Apparel News. Retrieved August 5, 2013, from http//www.apparelnews.co.kr/naver/view.php\?iid46949 

  4. Choi, H. R. (2004). An empirical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use intention of mobile internet under the mobile characteristics. Korea Industrial Economics Association, 17(4), 1399-1420. 

  5. Chung, Y. H. (2013, May 29). 2030 Women's power... The rapid growth of mobile shopping. Hankooki.com. Retrieved August 5, 2013, from http//economy.hankooki.com/lpage/industry/201305/e20130529173550120180.htm 

  6. Davis, F. D., Bagozzi, R. P., & Warshaw, P. R. (1989).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Management Science, 35(8), 982-1003. 

  7. Davis, F. D., Bagozzi, R. P., & Warshaw, P. R. (1992).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to use computers in the workplac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2(14), 1111-1132. 

  8. DMC Report. (2013). A research of mobile shopping usage status. Digieco. Retrieved August 5, 2013, from http://www.digieco.co.kr/KTFront/report/report_issue_trend_view.action?board_seq7728&board_idissue_trend 

  9. Ha, J. K. (2010). Risk perception and risk reduction behaviors of fashion product consumers in internet shopping mall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9(4), 675-685. 

  10. Kang, E. M., & Park, E. J. (2003). Impact factors on consumer satisfaction in apparel buy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1), 29-39. 

  11. Kim, J. H., Ma, Y. J., & Park, J. H. (2009). Are US consumers ready to adopt mobile technology for fashion goods: An integrated theoretical approach.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3(2), 215-230. 

  12. Kim, M. J. (2009). The study of the effects of factors on the attitude and the using intention of mobile fashion shopping: Focused on 20's-30's femal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7(4), 709-722. 

  13. Kim, N. R. (2013, July 18). [Investigation] Mobile Commerce. Digital Times. Retrieved August 5, 2013, from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3071802011831789001 

  14. Ko, E. J., Kim, K. H., & Kim, S. S. (2009).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mobile fashion shopping mall: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br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7), 1164-1179. 

  15. Korea Internet Security Agency. (2012). A survey of smartphone usage status in 2011. KISA. Retrieved May 4, 2012, from http://www.kisa.or.kr 

  16. Korea Internet Security Agency. (2013). A survey of smartphone usage status in 2012. KISA. Retrieved August 5, 2013, from http://www.kisa.or.kr 

  17. Kumar, A., & Mukherjee, A. (2013). Shop while you talk: Determinants of purchase intentions through a mobile device. International Journal of Mobile Marketing, 8(1), 23-37. 

  18. Lee, H. S., Ahn, K. H., & Ha, Y. W. (2010). 소비자행동: 마케팅 전략적 접근 (제5판) [Consumer behavior: Marketing strategy approach (5th ed.)]. Paju: Bobmusa. 

  19. Lee, J. H., & Im, J. E. (2008). The effect of perceived justice on postcomplaint behavior in the internet open market: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shion invol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9), 1427-1237. 

  20. Lee, J. S. (2013, May 29). Dominate '4 trillion' market of mobile shopping. Is the social commerce that smile first? Sports Seoul. Retrieved August 5, 2013, from http://news.sportsseoul.com/read/economy/1189499.htm 

  21. Lee, M. Y. (2005). The effects of internet apparel store attributes and shopping values on consumer's internet apparel purchasing behavior.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4(1), 155-165. 

  22. Lim, K. R. (2011, January 3). 패션은 지금 앱 개발 열풍 [Fashion is in the grip of app development fever]. Apparel News. Retrieved August 5, 2013, from http://www.apparelnews.co.kr 

  23. Morris, M. G., & Venkatesh, V. (2000). Age differences in technology adoption decisions: Implications for a changing work force. Personnel Psychology, 53(2), 375-403. 

  24. Nam, E. H., & Lee, J. H. (2009). The effects of perceived risks on purchase decision behavior among internet fashion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1), 1707-1718. 

  25. Nysveen, H., Pedersen, P. E., & Thorbjornsen, H. (2005). Explaining intention to use mobile chat services: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22(5), 247-256. 

  26. Park, H. E., & Yoh, E. (2011). Effect of internet clothing soho mall attributes on attitude toward site and revisit intention: Focusing on the difference by on-and off-line clothing shopping depend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3(2), 234-241. 

  27. Park, H. S., & Kim, H. S. (2011). The effect of benefits and online shopping risks on channel selection for luxury fashion ite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1), 13-25. 

  28. Park, S. Y., & Park, E. J. (2010). Effects of consumer innovativeness, shopping mall attributes, and satisfaction on eloyalty for fashion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5), 765-774. 

  29. Seong, T. J. (2012).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Well-defined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SPSS/AMOS]. Seoul: Hakjisa. 

  30. Shin, H. S. (2010).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innovat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subjective norm and intention to use mobile internet.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9(3), 209-236. 

  31. Song, S. J., & Hwang. J. S. (2007). The effect of online wordof-mouth on fashion involvement and internet purchase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3), 410-419. 

  32. Venkatesh, V., Morris, M. G., & Ackerman, P. L. (2000). A longitudinal field investigation of gender differences in individual technology adoption decision-making proc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 83(1), 33-60. 

  33. Venkatesh, V., Morris, M. G., Davis, G. B., & Davis, F. D. (2003).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27(3), 425-478. 

  34. Yang, K. (2010). Determinants of US consumer mobile shopping services adoption: implications for designing mobile shopping services.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27(3), 262-2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