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문화 콘텐츠 변화 양상 분석
Analysis of Changing Aspect of Korean Cultural Contents in Japanese Textbook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11, 2013년, pp.492 - 501  

박소영 (한국학중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본 학생들이 필수로 이수하는 과목 중 한국문화에 관한 내용이 가장 많이 언급되는 초등학교 6학년 '사회'와 중학교 '지리'교과서를 대상으로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30여 년간의 한국문화에 관한 서술변화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교과서별 한국문화 콘텐츠를 기본적 요소, 독창적 요소, 시대반영적 요소로 분류하고 각각의 요소를 전통과 현대, 표층과 심층으로 재분류하여 각 유형별 등장양상을 살펴보았다. 일본 교과서에는 한복, 김치, 온돌, 고층아파트, 식사예절과 같은 의 식 주를 비롯하여, 수도 서울의 모습과 같은 표층적 기본적 문화요소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시기와 상관없이 항상 등장하고 있는 내용은 한국의 의 식 주 문화와 같은 기본적 문화요소가 대부분이다. 시대반영적 요소인 서울올림픽, 한일월드컵, 한류 등도 해당 시기 교과서에 충실히 서술되고 있다. 한국문화 콘텐츠는 2010년대로 올수록 내용과 범위가 확대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들 콘텐츠의 표현방법도 최근 교과서로 올수록 보다 구체적인 설명 및 시각자료들이 제시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to track down on changes in the way Korean culture was covered in Japanese textbooks over the past three decades since the 1980s by reviewing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e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geology' textbooks for middle school, which are two compulsory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표 4]를 토대로 한국문화 콘텐츠의 서술량 변화와 시기별 서술내용, 사진 및 삽화의 제시방법의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겠다. 대표적 사례로 기본적 요소인 한복, 주거, 식문화와 독창적 요소로는 일본으로의 문화전달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본 교과서의 한국문화 콘텐츠에 대한 지형도를 파악했다는 점에서의 의미를 두기로 하고, 일본 사회의 담론과의 상관관계, 다른 국가와의 비교 고찰에 대해서는 향후의 연구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 이 절에서는 Ⅱ장의 2절에서 고찰한 시기별 한국문화 콘텐츠 등장 현황을 토대로 이들 콘텐츠를 설명하는 방법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표 4]를 토대로 한국문화 콘텐츠의 서술량 변화와 시기별 서술내용, 사진 및 삽화의 제시방법의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겠다.
  • 이 절에서는 시대별로 일본 교과서가 한국문화의 어떤 요소에 관심을 갖고 서술하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일차적으로 초·중학교 교과서의 한국문화 서술내용과 함께 게재된 사진 및 삽화 등의 세부내용들을 살펴보겠다.
  • [표 4]는 한국문화 콘텐츠가 일본 교과서에 등장하는 시기와 비중을 정리한 것이다. 이를 토대로 일본 교과서에 나타나는 한국문화 콘텐츠의 등장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던 일본 초등학교 ‘사회’ 분석을 시도한다는 점과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30여 년간의 한국 문화에 관한 서술 변화를 고찰한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 이에 이 글에서는 일본의 모든 학생들이 필수로 학습하는 초등학교 6학년 ‘사회’ 교과서와 중학교 ‘지리’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문화 콘텐츠의 등장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와 같이 일본 교과서에서 한국문화에 관한 서술 변화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일본교과서에 나타난 한국문화에 관한 서술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일본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문화 콘텐츠의 변화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 일차적으로 초·중학교 교과서의 한국문화 서술내용과 함께 게재된 사진 및 삽화 등의 세부내용들을 살펴보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본의 우월감이 해방 이후에도 계속 잔존해 있던 가운데 한국에 대한 인식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한 시기는? 일본이 우리나라를 식민지화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한국에 대한 멸시관과 일본의 우월감이 해방 이후에도 계속 잔존해 있던 가운데 한국에 대한 인식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중반 이후이다. 이 시기 부터 한국 제품이 일본시장에 유입되고 양국 간의 인적·물적 상호교류와 교역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위성방송과 같은 매체를 통해 정보의 상호침투가 시작되었다[1].
일본의 한국에 대한 인식 변화가 생긴 이유는? 일본이 우리나라를 식민지화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한국에 대한 멸시관과 일본의 우월감이 해방 이후에도 계속 잔존해 있던 가운데 한국에 대한 인식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중반 이후이다. 이 시기 부터 한국 제품이 일본시장에 유입되고 양국 간의 인적·물적 상호교류와 교역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위성방송과 같은 매체를 통해 정보의 상호침투가 시작되었다[1]. 또한, 1988년 서울올림픽의 성공적 개최, 비약적으로 증대되는 민간차원에서의 한일교류, 무역대국으로의 진입과 한국경제에 대한 높은 평가, 한국기업의 높은 인지도 등으로 인해 일본 내에서의 한국에 대한 인식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일본의 1970년대까지의 교과서에 한국에 대한 언급으로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인식 변화는 일본 교과서의 한국관련 서술을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1970년대까지의 교과서에는 한국이 농업국가로 언급될 뿐 한국 문화에 관한 언급은 전혀 없다. 이후 1980년대 중반까지의 교과서에도 한국 문화에 관한 특기할 만한 서술은 거의 없었다가 1990년 대부터는 한글, 온돌 등 한국 전통문화의 독창성을 인정하는 구체적인 언급이 이루이지기 시작하였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鄭大均, "?後日本人の韓??", 일본학, 제33집, pp.7-27, 2011. 

  2. 박소영, "일본 지리교과서에 서술된 한국의 변화상 -한국의 변모와 한국에 대한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제6회 세계한국학대회 발표논문집, 2012. 

  3. 박소영, "일본의 한국관련 교육과정.교과서 정책과 대응 방안", 연구보고 KU-CR-03-04 주변국가의 한국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정책 연구, pp.87-147, 2003. 

  4. ?科書レポ?ト編集委員?, ?科書レポ?ト2005, 出版勞連, 2005. 

  5. ?科書レポ?ト編集委員?, ?科書レポ?ト2006, 出版勞連, 2006. 

  6. ?科書レポ?ト編集委員?, ?科書レポ?ト2011, 出版勞連, 2011. 

  7. ?科書レポ?ト編集委員?, ?科書レポ?ト2012, 出版勞連, 2012. 

  8. 박병섭,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와 독도문제", 독도연구, 제11호, pp.7-24, 2011. 

  9. 이하나, 조철기, "한일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영토 교육 내용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7권, 제3호, pp.332-347, 2012. 

  10. 이진우,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지리교과서 비교분석",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1. 양원택, "한일 고등학교 세계지리 교과서 내용 비교 분석: 국제이해교육 관련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2권, 제2호, pp.75-92, 1996. 

  12. 심광택, "시민성 교육 관점에서의 한국.중국.일본.호주의 중학교 지리 교육과정, 교과서 살펴 보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제20권, 제2호, pp.53-68, 2012. 

  13. 李長烈, "日本의 中等地理敎科書에 나타난 韓國觀", 관대논문집, 제10권, pp.455-467, 1982. 

  14. 손용택, "일본의 고등학교 지리교과서에 비친 한국", 지리학연구, 제31권, pp.1-18, 1997. 

  15. 조철기, "일본 고등학교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관련 담론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제43권, 제4호, pp.655-679, 2008. 

  16. 서은숙, "한국 문화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417-427, 2009. 

  17.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18. Carrl R. Ember.Melvin Ember, 양영균 역, 문화 인류학, 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2012 

  19.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20. 김기덕, "콘텐츠의 개념과 인문콘텐츠", 인문콘텐츠, 제1권, pp.5-27, 2003. 

  21. 出野怜, "海外出版の日本語?科書にみる日本文化", 龍谷大學大學院國際文化?究論集8, pp.67- 84, 2011. 

  22. 日比裕, 小學社會6下, 大阪書籍, p.48, 1992. 

  23. 伊東光晴 外, 小學社會6下, ?育出版, p.42, 2002. 

  24. 北俊夫 外, 新しい社會6下, 東京書籍, p.53, 2011. 

  25. 佐藤久 外, 中學生の地理, 帝國書院, p.62, 1997. 

  26. 佐佐木毅 外, 新編新しい社會6下, 東京書籍, p.40, 2005. 

  27. 中村和? 外, 中學生の地理, 帝國書院, p.115, 2012. 

  28. 佐藤久 外, 中學生の地理, 帝國書院, p.60, 1997. 

  29. 中村和? 外, 中學生の地理, 帝國書院, p.115, 2012. 

  30. 佐?木毅 外, 新編新しい社會6下, 東京書籍, p.40, 2005. 

  31. 有田和正 外, 小學社會6下, ?育出版, p.41, 2011. 

  32. 五味文彦 外, 新しい地理, 東京書籍, p.99, 2012. 

  33. 中村和? 外, 中學生の地理, 帝國書院, p.115, 2012. 

  34. 谷?大二 外, 中學生の地理, 帝國書院, p.320, 1993. 

  35. 中村和? 外, 中學生の地理, 帝國書院, p.199, 2002. 

  36. 佐?木毅 外, 新編新しい社會6下, 東京書籍, p.32, 2005. 

  37. 有田和正 外, 小學社會6下, ?育出版, p.38, 2011. 

  38. http://www.mext.go.jp/component/a_menu/educ ation/micro_detail/__icsFiles/afieldfile/2009/06/1 6/1234931_003.pdf 

  39. http://www.mext.go.jp/component/a_menu/educ ation/micro_detail/__icsFiles/afieldfile/2011/01/0 5/1234912_003.pdf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