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 방식이 정상인의 척수운동신경원 흥분성과 뇌파 변화에 미치는 영향
Spinal Motor Neuron and Electroencephalogram Changes after Different Kinesio Taping Method Therapy in normal Peopl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11, 2013년, pp.791 - 799  

배세현 (청암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기도 (한국국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경윤 (동신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하는 방식에 따라 나타나는 척수운동신경원의 흥분성과 뇌파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건강한 성인 16명을 대상으로 비복근의 테이핑 적용 방식에 따라 실험군 I(n=8); 근육 주행방향, 실험군 II(n=8); 근육 횡 방향으로 구분하여 2주간 실시하였다. 척수운동신경원 흥분성 측정을 위해 경골신경에 자극을 주어 H 반사를 획득하였으며, 뇌파는 ${\beta}$-SMR를 측정하기 위해 C3, Cz, C4에 활성전극을 붙여 테이핑 적용 전, 즉시, 1주일 후, 2주일 후에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I의 척수 운동신경원의 변화는 실험군 II보다 ${\alpha}$-운동신경원의 활성도가 감소하였고 지속 시간도 길었다(p<.05). 뇌파는 실험군I의 ${\beta}$-SMR 활성도가 실험군 II 보다 증가하고 지속시간도 길었다(p<.05). 근육 주행방향에 따른 적용 방식은 횡 방향 보다 ${\beta}$-SMR 뇌파를 더 활성화 시키며, 척수운동신경원의 활성도 감소를 지속적으로 유발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o evaluate the spinal motor neuron and electroencephalogram effects of applying different kinesio taping method therapy in normal people. The study was performed on 16 healthy adults. We divide two group; group I(n=8); Tape along muscle, group II(n=8); Tape across muscle. Two different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테이프를 비복근의 주행방향과 횡 방향으로 적용하여 척수운동신경원의 흥분성과 대뇌 피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근육 주행방향 테이핑은 H 반사 진폭을 2주 동안 감소시켰고 β-SMR 뇌파는 1주 동안 상승시켰다.
  • 이에 본 연구는 테이핑을 근육의 주행방향, 근육의 횡 방향으로 부착하여 적용 방식에 따라 근육에 작용하는 척수운동신경원의 활성도 변화와 그에 따른 뇌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테이핑을 근육의 주행방향과 횡 방향을 따라 적용하여 말초의 구심성 감각 자극이 척수 운동신경원과 뇌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기 위해 비침습적(non-invasive) 방법으로 측정 가능한 H-반사를 통해 α-운동신경원 변화를 알아보며,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EG)를 사용하여 정량적 뇌파분석 방법(quantitative EEG analysis)을 통해 뇌파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테이프를 비복근의 주행방향과 횡 방향으로 적용하여 척수운동신경원의 흥분성과 대뇌 피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연구한 결과는? 본 연구는 테이프를 비복근의 주행방향과 횡 방향으로 적용하여 척수운동신경원의 흥분성과 대뇌 피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근육 주행방향 테이핑은 H 반사 진폭을 2주 동안 감소시켰고 β-SMR 뇌파는 1주 동안 상승시켰다. 횡 방향 적용은 H 반사 진폭 감소와 β-SMR 뇌파 상승을 일시적으로 나타냈다. 또한, β-SMR 뇌파가 외부자극으로 발생하여 유지되는 기간이 길수록 척수운동신경원의 활성도가 지속적으로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차후 연구에는 환자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H 반사와 뇌파의 변화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키네시오 테이핑의 일반적인 효과는? 탄력성 테이프는 국내에서 키네시오 테이핑요법으로 불리면서 통증 경감 치료목적으로 사용되며 현재는 환자뿐만 아니라 손상 예방 목적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3]. 이러한 키네시오 테이핑의 일반적인 효과는 과긴장하는 협력근 또는 길항근의 억제, 저긴장 근육의 촉진, 고유수용성감각 증진, 관절 정렬의 최적화, 통증 감소 그리고 과민성 신경조직의 부하감소 등이 있다[3-6].
테이핑이란? 테이핑은 재활분야나 스포츠영역에서 근육이나 관절 주변에 적용하여 근육의 긴장을 조절하여 통증을 감소시키거나, 손상의 예방이나 재발 방지를 위해 물리치료사들에게 자주 사용되어왔다[1]. 테이핑은 접착력을 가진 테이프를 환부 근육이나 그 주변 근육에 부착하여 근 긴장도를 조절하여 일상적인 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치료법으로 1920년대 유럽과 미국의 정골요법에서 이용된 것을 시작으로 1970년 Kenzo Kase라는 일본인에 의해 탄력성 테이프로 보완하여 지금까지 널리 이용되고 있다[1][2]. 탄력성 테이프는 국내에서 키네시오 테이핑요법으로 불리면서 통증 경감 치료목적으로 사용되며 현재는 환자뿐만 아니라 손상 예방 목적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 M. Alexander, M. McMullan, and P. J. Harrison, "What is the effect of taping along or across a muscle on motoneurone excitability? A study using triceps surae," Manual Therapy, Vol.13, No.1, pp.57-62, 2008. 

  2. F. Garcia-Muro, A. L. Rodriguez-Fernandez, and A. Herrero-de-Lucas, "Treatment of myofascial pain in the shoulder with Kinesio taping. A case report," Manual Therapy, Vol.15, No.3, pp.292-295, 2010. 

  3. 박정태, 키네시오 테이핑요법이 요부 및 슬관절 근력과 근피로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8. 

  4. D. Morrissey, "Proprioceptive shoulder taping," J Bodyw Mov Ther, Vol.4, No.3, pp.189-194, 2000. 

  5. 김명기, 스포츠 테이핑과 마사지, 금광 도서출판사, p.23, 1993. 

  6. 장영환, 김형동, "근피자극과 키네시오 테이핑이 점프 시 발목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2013춘계종합학술대회, 제11권, 제1호, pp.385-386, 2013. 

  7. I. M. Korr, "Proprioceptors and somatic dysfunctio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Osteopathic Association, Vol.74, No.7, pp.638-650, 1975. 

  8. S. Pokett, "Spinal cord synaptic plasticity and chronic pain," Anesth Anag, Vol.80, No.1, pp.173-179, 1995. 

  9. C. J. Woolf, "Somatic pain--pathogenesis and prevention,"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Vol.75, No.2, pp.169-176, 1995. 

  10. 김종순, 김난수, 이현옥, "근육 횡방향 테이핑에 의한 ${\alpha}$ -운동 신경원 흥분 변화", 대한물리의학회지, 제5권, 제4호, pp.527-534, 2010. 

  11. S. Tobin and G. Robinson, "The effect of McConnell's vastus lateralis inhibition taping technique on vastus lateralis and vastus medialis obliquus activity," Physiother, Vol.86, No.4, pp.173-183, 2000. 

  12. C. M. Alexander, S. Stynes, and A. Thomas, "Does tape facilitate or inhibit the lower fibres of trapezius?," Man Ther, Vol.8, No.1, pp.37-41, 2003. 

  13. K. Macgregor, S. Gerlach, R. Mellor, and P. W. Hodges, "Cutaneous stimulation from patella tape causes a differential increase in vasti muscle activity in people with patellofemoral pain," J Orthop Res, Vol.23, No.2, pp.351-358, 2005. 

  14. C. T. Leonard, The neuroscience of human movement St. Louis, Mosby, 1998. 

  15. G. Scaglioni, A. Ferri, A. E. Minetti, A. Martin, J. Van Hoecke, P. Capodaglio, A. Sartorio, and M. V. Narici, "Plantar flexor activation capacity and H reflex in older adults: adaptations to strength training," J Appl Physiol, Vol.92, No.6, pp.2292-2302, 2002. 

  16. E. Niedermeyer, F. L. da Silva, Electroencephalography: basic principles, clinical applications, and related fields: Lippincott Williams & Wilins, 2004. 

  17. 이동국, "신경전도검사의 기초기술",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지, 제1권, 제2호, pp.202-209, 1999. 

  18. M. K. Sohn, K. H. Cho, and S. L. Hwang, "Spasticity and Electrophysiologic Changes after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on Gastrocnemius," Ann Rehabil Med, Vol.35, pp.599-604, 2011. 

  19. T. M. Sokhadze, R. L. Cannon, and D. L. Trudeau, "EEG biofeedback as a treatment for substance use disorders: review, rating of efficac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Appl Psychophysiol Biofeedback, Vol.33, No.1, pp.1-28, 2008. 

  20. H. P. Landolt, J. V. Retey, K. Tonz, J. M. Gottselig, R. Khatami, I. Buckelmuller, and P. Achermann, "Caffeine attenuates waking and sleep electroencephalographic markers of sleep homeostasis in humans," Neuropsychopharmacology, Vol.29, No.10, pp.1933-1939, 2004. 

  21. J. Leanderson, S. Ekstam, and C. Salomonsson, "Taping of the ankle the effect on postural sway during perturbation, before and after a training session," Knee Surq Sports Traumatol Arthrosc, Vol.4, No.1, pp.53-56, 1996. 

  22. G. Balint and B. Szebenyi, "Non-pharmacological therapies in osteoarthritis," Baillieres Clin Rheumatol, Vol.11, No.4, pp.795-815, 1997. 

  23. G. L. Shelton, "Conservative management of patellofemoral dysfunction," Primary Care, Vol.19, No.2, pp.331-350, 1992. 

  24. 이성원, 전신밸런스 테이핑이 폐기능, 근력, 순발력, 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25. 이민선, 육동원, "키네시오 테이핑 요법 적용이 무릎 굴곡, 신전 시 근력 및 근 지구력 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체육연구논문집, 제7권, 제1호, pp.107-121, 2000. 

  26. 김연정, 채원식, 이민형, "등속성 운동 시 스포츠 테이핑이 하지 근육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43권, 제5호, pp.369-375, 2004. 

  27. 이효성, 이용식, 김현태, "하지의 테이핑 적용이 운동 후반부의 족관절 및 슬관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41권, 제5호, pp.721-732, 2002. 

  28. S. O'Leary, M. Carroll, R. Mellor, A. Scott, and B. Vicenzino, "The effect of soft tissue deloading tape on thoracic spine pressure pain thresholds in asymptomatic subjects," Manual Therapy, Vol.7, No.3, pp.150-153, 2002. 

  29. S. G. Hardy, T. B. Spalding, H. Liu, T. G. Nick, R. H. Pearson, A. V. Hayes, and D. S. Stokic, "The effect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on spinal motor neuron excitability in people without known neuromuscular diseases: the roles of stimulus intensity and location," Physical Therapy, Vol.82, No.4, pp.354-363, 2002. 

  30. 안소윤, 김종순, "테이핑에 의한 ${\alpha}$ -운동 신경원 흥분도 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6 호, pp.167-174, 2008. 

  31. M. Smith, V. Sparkes, M. Busse, and S. Enright, "Upper and lower trapezius muscle activity in subjects with subacromial impingement symptoms: is there imbalance and can taping change it?," Phys Ther Sport, Vol.10, No.2, pp.45-50, 2009. 

  32. T. Egner, T. F. Zech, and J. H. Gruzelier,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the spectral topography of the electroencephalogram," Clin Neurophysiol, Vol.115, No.11, pp.2452-2460, 2004. 

  33. T. Egner and J. H. Gruzelier, "Learned self-regulation of EEG frequency components affects attention and event-related brain potentials in humans," Neuroreport, Vol.12, No.18, pp.4155-4159, 2001. 

  34. J. R. Jenner and J. A. Stephens, "Cutaneous reflex responses and their central nervous pathways studied in man," The Journal of Physiology, Vol.333, pp.405-419, 1982. 

  35. 장창용, 뇌파 조절을 통한 집중력 훈련이 테니스 경기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