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정보 이해능력(Health Literacy)에 대한 개념분석

Health Literacy: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9 no.4, 2013년, pp.558 - 570  

김성은 (대동대학교 간호과) ,  오진아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  이윤미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ese days, the concept of health literacy becomes important because it is essential to have a clear grasp of patients' basic ability to understand health-care information. Therefore, we intended to discover attribute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health literacy through contextual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Rodgers (2000)의 진화론적 개념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개념을 분석한 것이며 본 연구에서 밝혀진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속성은 정보 추구, 정보 이해, 정보 활용이었다.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선행요인과 결과를 포함하여 분석된 각 속성을 중심으로 세 가지 주제로 분류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자들은 각 논문마다 분석한 내용은 상세히 기록하고 이를 다시 점검하면서 개념과 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속성의 집합이 다르게 표현되어 개념을 보다 잘 정의하는데 도움이 되는 대체용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개념의 중요한 속성을 일부 포함하고 있거나 비슷하지만 그 개념과 동일하지는 않은 관련개념에 대해 서술하여, 개념을 둘러싸고 있는 개념의 네트워크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밝혔다.
  • 본 연구는 건강정보 이해능력이라는 개념의 속성과 맥락적 근거를 확인하기 위하여 첫 번째 단계로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유사한 표현을 확인하고 논문 검색을 시행하였다. 국내에서는 2000년 이후에야 의학을 중심으로 ‘건강정보 이해능력’ 관련 개념이 대두되었다는 것을 근거로(Kim et al.
  • 본 연구는 건강정보 이해능력이라는 맥락에서 그 개념적인 속성을 고찰한 개념분석 연구이다.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정보 추구, 정보 이해, 정보 이용이라는 속성이 밝혀졌으며, 개념 분석을 통해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건강상태, 건강신념, 사회 경제적 상태, 건강정보의 질이라는 선행요인과 자가건강관리 향상, 상호작용 향상, 그리고 사회적 비용 절감이라는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속성을 더 자세히 설명할 수 있었다.
  • 선행요인(Antecedents)은 개념이 발생하기 이전에 일어나는 어떤 일이나 사건으로서(Rodgers, 2000), 이전에 이 개념과 관련된 현상이 무엇이었는지 확인되는 것이다(De Gagné & Oh, 2012). 본 연구에서는 선행요인을 밝히기 위하여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변화나 차이를 가져오는 현상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을 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질문으로는 “건강정보 이해능력 변화와 관련되어 이전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건강정보 이해능력 변화가 일어나기 위해 무엇이 선행되어야 하는가?”였으며, 밝혀진 선행요인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대한 국내 문헌을 고찰하고, 문헌 속에 나타난 그 속성과 선행요인 및 결과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개념을 맥락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실무자들 간에는 의사소통의 원활함을 제공하고, 이론과 지식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 본 연구자들은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고찰 범위를 건강 분야가 포함된 다학제적인 범위로 확대하여 시행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인문사회 분야의 논문까지 확대하지는 못하였으며 국내연구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관련된 모든 논문을 완전히 포함했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 따라서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진화론적인 방법으로 개념분석을 시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다룬 국내 연구를 Rodgers (2000)의 진화론적 개념분석 방법으로 건강정보 이해 능력에 대한 복잡하고 애매모호한 의미를 밝혀내고 유사 개념들간의 차이점을 파악하여 그 속성을 분명하게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정보를 이해하는 영역은 크게 두가지로 나뉘는데 각각의 세부사항은 어떠합니까? 건강정보를 이해하는 영역은 크게 용어영역(Iinguistic domain)과 수리ㆍ이해영역 (Functional domain)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용어영역은 언어와 관련하여 글을 읽고 무엇을 말하는지, 그 뜻은 무엇인지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으로 주로 안내문, 검사 예약표, 동의서, 교육자료 등을 제대로 읽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아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수리ㆍ이해영역은 분석하고 적용하는 능력으로 처방에 따른 수행을 결정한다든지, 복약 시간을 계산하고 복용량을 올바르게 결정하는 것이나 검사 수치의 판독과 같은 것이다(Lee & Kang, 2008).
정보 이해란 무엇입니까? 정보 이해(Information understanding)는 건강정보를 스스로 읽고 이해하여 받아들이는 과정을 말한다. 건강정보를 이해하는 영역은 크게 용어영역(Iinguistic domain)과 수리ㆍ이해영역 (Functional domain)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건강에 대한 인식과 관심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습니까? 건강에 대한 인식과 관심은 질병을 관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식습관, 운동, 사회활동 등의 일상생활 전반에서 자신의 건강을 향상시키고자 여러 가지 방법을 모색하는 것으로 변화되고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신문기사, TV, 인터넷, 병원이나 기관에서 실시하는 강좌 등 적극적으로 건강지식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탐구를 계속하고 있다(Lee, Byoun, & Lim,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ndrus, M. R., & Roth, M. T. (2002). Health literacy: A review. Pharmacotherapy, 22(3), 282-302. http://dx.doi.org/10.1592/phco.22.5.282.33191 

  2. Billek-Sawhney B., & Reicherter, E. A. (2005). Literacy and the older adult: Educational considerations for health professionals. Topics in Geriatric Rehabilitation, 21(4), 275-281. 

  3. Cutilli, C. C. (2005). Do your patients understand? Determining your patients' health literacy skills. Orthopedic Nursing, 24(5), 372-377. http://dx.doi.org/10.1097/00006416-200509000-00015 

  4. De Gagne, J. C., & Oh, J. (2012). Health promotion education in a virtual world: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81-93. http://dx.doi.org/10.5977/JKABSNE.2012.18.1.081 

  5. Federman, A. D., Sano, M., Wolf, M. S., Siu, A. L., & Halm, E. A. (2009). Health literacy and cognitive performance in older adults.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7(8), 1475-1480. http://dx.doi.org/10.111/j.1532-5415.2009.02347 

  6. Ju, H. J., Oh, H. W., Kim, J. Y., & Lee, H. S. (2012). A cross-sectional study on oral health literacy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mong adults: Verbal oral health litera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6(2), 97-100. 

  7. Kang, S. J. (2011). Development of Korean health literacy instrument for adul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8. Kim, J. E. (2011). Measuring the level of health literacy and influence factors: Targeting the visitors of a university hospital's outpatient clinic.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1), 27-34. 

  9. Kim, S. H. (2010). Older adults' self-reporte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and utilizing health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4), 1281-1292. 

  10. Kim, S. H., & Lee, E. J. (2008). The influence of functional literacy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2), 195-203. 

  11. Kim, S. S., Kim, S. H., & Lee, S. Y. (2005), Health literacy: Development of a Korean health literacy assessment t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4), 215-227. 

  12. Kim, Y. H., Lee, M. K., Lee, S. J., Cho, M. S., & Hwang, M. S. (2011). Medication status and adherence of the elderly under home care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3), 290-301. 

  13. Lee, B. K., Byoun, W. J., & Lim, J. L. (2010). The influence of individual's e-health literacy on doctor-patient communication.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27(3), 89-125. 

  14. Lee, S. H., Chang, K. H., Han, H. S., Park, B. K., & Kim, S. S. (2012). The relationship of health literacy of female married migrants in Busan with their attitudes toward health. Korean Association of Women's Studies, 22(1), 165-200. 

  15. Lee, S. N., & Park, M. H. (2010). A study on health literacy, medication knowledge, and medication misuse of rural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2), 485-497. 

  16. Lee, T. W., & Kang, S. J. (2008). Health literacy in the Korean elderly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4), 847-863. 

  17. Li, C. Y., Lee, O. C., Shin, G. S., & Li, X. W. (2009). Health literacy and health status of Korean-Chinese elderly living in Yanbian, Chin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3), 386-392. http://dx.doi.org/10.4040/jkan.2009.39.3.386 

  18. Mancuso, J. M. (2008). Health literacy: A concept/dimensional analysis. Nursing and Health Sciences, 10, 248?255. 

  19. Nutbeam, D. (2000). Health literacy as a public goal: A challenge for contemporary health education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into the 21st century.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5(3), 259-267. http://dx.doi.org/10.1093/heapro/15.3.259 

  20. Oh, D. N., & Lee, J. Y. (2012). Depression health literacy and help-seeking intention of the aged receiving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3(3), 276-285. 

  21. Park, J. Y., & June, K. J. (2011). Influencing factors on functional health literacy among the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1), 75-85. 

  22. Rodgers, B. L. (2000). Concept analysis: An evolutionary view. In Rodgers B. L., & Knafl K. A. (2nd Ed.),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aching, and applications. Philadelphia, PA: Saunders. 

  23. Schloman, B. F. (2004). Health literacy: A key ingredient for managing personal health. Online Journal of Issues on Nursing, 9(2), 14-21. 

  24. Son, Y. J., Kim, S. D., Jang, H. J., Yun, Y. R., Kim, H. M., Park, J. I., & Kim, S. H. (2012). Factors influencing health literacy in community-dwelling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Health Promotion, 12(2), 100-108. 

  25. Son, Y. J., & Lee, Y. M. (2012). Development and effects of health literacy enhancement program to improve self care adherence in low-income elderly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1), 215-230. 

  26. Son, Y. J., & Song, E. K. (2012). Impact of health literacy on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adherence to self-care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9(1), 6-15. 

  27. Sorensen, K., Van den Broucke, S., Brand, H., Doyle, G., Pelikan, J., & Slonszka, Z. (2012). Health literacy and public health: A systematic review and integration of definitions and models. BMC Public Health, 12(80), 1-13. http://dx.doi.org/10.1186/1471-2458-12-80 

  28. Walker, L. O., & Avant, C. A. (2005).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9. Williams, M., Baker, D., Parker, R., & Nurss, J. (1998) Relationship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to patients' knowledge of their chronic disease: A study of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5(2), 166-172. http://dx.doi.org/10.1001/archinte.158.2.166 

  30. Wolf, M. S., Gazmararian, J. A., & Baker, D. W. (2007). Health literacy and health risk behaviors among older adult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2(1), 1946-1952. http://dx.doi.org/10.1016/j.amepre.2006.08.024 

  31. Zarcadoolas, C., Pleasant, A., & Greer, D. S. (2005). Understanding health literacy: An expanded model.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0(2), 195-203. http://dx.doi.org/10.1093/heapro/dah6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