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 신규간호사의 상급 초보자에서 적임자로 되어가는 경험
A Study on Experience of Transition from New Clinical Nurse to Competent Step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9 no.4, 2013년, pp.594 - 605  

박광옥 (국립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간호학과) ,  김종경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nurses' experience in transition from new graduate nurses to professional clinical nursees in a hospital. Methods: Ten new clinical nurses working in a hospital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phenomen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병원에 1년 이상 재직하고 있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에 의한 심층적이고 포괄적인 자료 수집으로 임상에서 신규간호사에서 적임자 단계로의 이행 경험 현상을 기술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간호사들이 적임자 단계로의 이행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탐색하여 신규간호사 교육적 준비와 적임자 단계로의 육성 전략에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경력 1년 미만인 신규간호사의 이직 비율은 어느정도인가? 신규간호사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하여 많은 병원에서 신규간호사를 위한 오리엔테이션과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이들의 적응을 돕고 있으나, 2009년 자료에 의하면 임상경력 1년 미만인 신규간호사 2,257명이 병원을 떠났으며, 이는 전체 간호사 이직의 35.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Noh et al., 2010).
신규간호사들이 겪는 고충은 무엇인가? 최근 보건의료 환경이 급변하고 간호실무의 전문화가 가속화 되면서 대학을 갓 졸업하고 병원에 입사한 신규간호사들이 실무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을 갖추어 나가고 조직구성원으로 이행하는 과정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신규간호사들은 학교에서 배운 것과 실제 현장에서 간호사의 업무와 역할의 차이로 인하여 현실충격을 경험하며(Cho et al., 2009; Jeong, 2007), 간호업무에 대한 지식과 기술의 부족, 응급상황대처 능력 부족, 타 분야 의료인들과의 갈등으로 스트레스와 피로감을 경험한다(Chu, 2000; Hwang & Lee, 2002; Kim et al., 2000).
신규간호사가 입사 후 1년이 경과할 때까지 적임자 단계로 이행 과정에 대한 면담자료 분석 결과 5개의 핵심 범주는 무엇인가? 신규간호사 10명의 참여자가 졸업 후 병원에 입사하여 일 년이 경과할 때까지 적임자 단계로 이행 과정에 대한 면담자료를 분석하였으며, 5개의 핵심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들은 ‘험난한 여정의 시작’, ‘낯선 환경에서 무능함을 실감함’, ‘살아남기 위해 안간힘을 씀’, ‘자신을 달래고 동료의 이해로 견뎌냄’, ‘홀로 서기의 시작’으로 나타났다. 이 핵심범주의 하위 범주는 각각 2개에서 5개로 총 19개의 하위범주와 의미 있는 진술문은 각각 2개에서 7개로, 총 87개의 의미 있는 진술문이 도출되었다[Table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enner, P. (1984). From novice to expert excellence and power in clinical nursing practice.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84(12), 1479. 

  2. Casey, K., Fink, R., Krugman, M., & Propst, J. (2004). The graduate nurse experienc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4(6), 303-311. 

  3. Cho, Y. A., Kim, K. S., Kim, E. S., Park, H. M., Yoo, M., Lim, E. D. et al. (2009). A Correlational study on ICU nurses' job stress, the way of coping, and the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3), 129-141. 

  4. Chu, M. S. (2000). The lived experience of newly employed nurses: a phenomenological study. Nursing Science, 12(2), 17-25. 

  5. Colaizzi, P.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Vaile & M. King (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6. Eum, Y. R., Im, S. B., Kang, S. Y., Park, K. O., Song, K. J., & Lee, S. H. (2009). 1% Excellent new nurses selected by the hospital. Seoul: Hyunmoonsa. 

  7. Feng, R. F., & Tsai, Y. F. (2012). Socialization of new graduate nurses to practising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1(13-4), 2064-2071. 

  8. Hatler, C., Stoffers, P., & Kelly, L. (2011). Work unit transformation to welcome new graduate nurses: Using nurses' wisdom. Nursing Economics, 29(2), 88-93. 

  9. Hayes, L. J., Orchard, C. A., McGillis Hall, L., Nincic, V., O'Brien-Pallas, L., & Andrews, G. (2006). Career intention of nursing students and new nurse graduat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3(1), 1-15. 

  10. Hwang, S. K., & Lee, H. J. (2002). Discriminating factors of turnover intention among Korean staf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8(3), 381-392. 

  11. Jeong, Y. H. (2007). Comparative study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role conflict between new graduated nurse and experienced nurse in ICU. Unpublished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2. Kim, C. H., Kim, H. S., Jo, H. S., Lee, S. O., Ham, H. M., & Park, M. M. (2000). The effect of preceptorship on the job training of new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2(4), 546-559. 

  13. Kim, S. Y., Kim, J. K., & Park, K. O. (2012). The role expectation of preceptor nurse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2), 33-45. 

  14. Kim, G. E. (2004).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nurse's intension to leave the job. Unpublished master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5. Lincoln, Y. S., & Guba, E. G. (1985). Effective evaluation. (4th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cation. 

  16. Noh, W. J., Song, M. S., Kim, K. N., Eum, O. B., Han, Y. H., Park, S. H., & Hong, J. H., (2010). The business report year of 2009: The annual survey on nursing manpower of the hospital in Korea. Seoul: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17. O'Kane, C. E. (2012). Newly qualified nurses experienc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Nursing in Critical Care, 17(1), 44-51. 

  18. O'Shea, M., & Kelly, B. (2007). The lived experiences of newly qualified nurses on clinical placement during the first six months following registration in the republic of ireland.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8), 1534-1542. 

  19. Ostini, F. (2012). Australian new graduate experiences during their transition program in a rural/regional acute care setting. Contemporary Nurse, 41(2), 242-252. 

  20. Patton, M. Q.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1. Park, J. H., & Jeon, I. S. (2008). The lived experience of newly employed nurses: phenomenological study. Qualitative Research, 9(2), 99-110. 

  22. Park, K. O., Yi, M. S. (2011). Nurses' experience of career ladder program in a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5). 581-592. 

  23. Pauline, C., & Beecroft, F. D. (2008). Turnover intention in new graduate nurses: a multivariate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1), 41-52. 

  24. Sohn, I. S., Kim, H. S., Kwon, J. S., Park, D. L., Han, Y. H., & Han, S. S. (2008).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1), 85-97. 

  25. Son, H. N., Koh, M. H., Kim, C. M., & Moon, J. H. (2001). The clinical experiences of adaptation as a new nursing staff.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6), 988-997. 

  26. Suzuki, E., Itomine, I., Kanoya, Y., Katsuki, T., Horii, S., & Sato, C. (2006). Factors affecting rapid turnover of novice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48(1), 49-61. 

  27. Yoon, S. H. & Kim, B. S. (2006). New graduate nurses' stress, stress coping, adaptation to work, and job satisfaction: Change comparison by persona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3), 491-5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