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종합병원 신규간호사의 실무적응 경험 유형
A Study on Type of Clinical Experience of Adaptation of New Nursing Staffs in a General Hospital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4, 2014년, pp.443 - 454  

김윤정 (배재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신규간호사의 실무적응에 대한 주관성을 유형을 파악하고자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종합병원 신규간호사 40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고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진술문은 자신의 의견에 따라 +4점(가장 긍정하는 진술문)에서부터 0(중립) -4(가장 부정하는 진술문)을 선택하여 9점 척도상에 강제 분포하도록 하였다. 자료 분석은 PC QUANL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분석결과 eigenvalue 1.0이상을 가진 값을 가지고 5가지 유형이 나타났으며 변량은 62.38%이었다. : (1) 새로운 업무 부담형, (2) 흥미, 책임감형, (3) 상황개선형, (4) 지식, 기술 부족형, 그리고 (5) 과도한 업무 부담형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 차이점으로 보았을 때 종합병원 신규간호사의 실무적응유형을 볼 수 있었으며, 이 연구 결과 효과적인 교육과 개별화된 임상실무전략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signed to know subjective structure about clinical experience of adaptation of new nursing staffs in a general hospital and using Q-methodology. Using Q-methodology, 40 new nursing staffs sorted working a general hospital through personal interview. The statement positions on the sort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능력을 1년 이내의 신규간호사가 갖추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규간호사의 실무적응 유형을 파악하여 신규간호사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신규간호사들의 실무적응의 이해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실무적응유형을 이해하기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하여 신규간호사들의 실무적응유형을 파악하여 신규간호사들의 긍정적인 직업관과 조직관 및 업무능률 향상을 위한전략에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규간호사가 겪는 어려움은 무엇이 있는가? 현대 사회는 변화된 인구구조와 의료기술의 발달로 질병 양상이 다양해졌으며, 건강관리서비스를 받는 대상자들의 요구사항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더불어 건강관리서비스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간호사들은 높은 수준의 간호교육과 전문적인 훈련이 필요하게 되었으나 급변하는 건강관리환경은 전문적인 간호 관련 지식과 기술이 부족한 신규간호사에게는 복잡한 업무를 처리하고 인간 관계를 형성해나가는 과정에서 지식, 기술 및 경험의 부족과 역할갈등, 직업적인 책임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문제에 부딪히게 된다. 그러므로 신규간호사에게는 간호 서비스의 대상인 인간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상황에 따라 전문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정확한 지식, 기술 및 태도가 필요하다[1].
신규간호사의 특징은 무엇인가? 신규간호사는 Benner(1984)의 기술습득 모형에 따르면 초보자와 상급초보자 단계에 속한다. 이들은 상황에 대한 사전 경험의 부족으로 전체적인 맥락 파악이 어려워 간호활동의 우선순위를 정하거나 다른 임상 양상들간의 중요성을 구별하는 임상적 판단 등을 하게 될 경우 도움을 필요로 한다[2]. 아울러, 졸업 후 첫 1년의 기간 동안 자율성, 독립적인 의사결정, 업무수행에 대한 책임이 요구되는 반면, 간호에 대하여 품고 있던 기대와 가치에 대해 혼란과 갈등을 격기 쉬워 이러한 기대 충족과 적응이 잘 이우러지지 않으면 불만과 빠른 이직을 초래할 수 있다[3].
신규간호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더불어 건강관리서비스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간호사들은 높은 수준의 간호교육과 전문적인 훈련이 필요하게 되었으나 급변하는 건강관리환경은 전문적인 간호 관련 지식과 기술이 부족한 신규간호사에게는 복잡한 업무를 처리하고 인간 관계를 형성해나가는 과정에서 지식, 기술 및 경험의 부족과 역할갈등, 직업적인 책임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문제에 부딪히게 된다. 그러므로 신규간호사에게는 간호 서비스의 대상인 인간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상황에 따라 전문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정확한 지식, 기술 및 태도가 필요하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 S. Chu, The Lived experience of newly employed nurses: A Phenomenolgoy study,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Vol. 12, No. 2, pp.17-25, 2000. 

  2. Benner, P., From novice to expert. Addison Wesley, California, pp. 13-36, 1984. 

  3. Pfaff, J., Factor related to job satisfaction, dissatisfaction of registered nurse inn long-term care facilities, Nursing Management, 18(8), pp.51-55. 1987. 

  4. S. Y. Hwang, E. J. Lee, D. M. Na, G. S. Lee, F. S. Sun, & D. S. Lee, The clinical experiences of newly qualified nurses, Journal of Korea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8, No. 2, pp. 261-271, 2000. 

  5. D. Y. Kang, Y. H. Kim, J. H. Kim, H. J. Oh, J. H. Yun, Stressor of newly employed nurses,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Vol. 29, No. 1, pp. 45-62, 1996. 

  6. H. K. Kim, Q-Methodology, Communicationbooks: Seoul, 2008. 

  7. H. M. Son, M. H. Koh, C. M. Kim, & J. H. Moon, The clinical experiences of adaptation as a new nursing staff. Journal of Korea Academy of Nursing, Vol. 31, No. 6, pp. 988-997, 2001. 

  8. D, P. Kim, M. J. Kim, The change of characteristics in clinical decision making in novice critical care nurses, The J Korean Nurs Adm Acad Society, Vol. 7, No. 2, pp. 301-314, 2001. 

  9. J. Y. Bai, M. J. Suh, A study on work stress perceived by clinical nurses, The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 Acad Society, Vol. 19, No. 3, pp. 259-272, 1989. 

  10. S. S. Hwang,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ve social support and stress type, level of clinical nurse, The J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Acad Society, Vol. 4, No. 2, pp. 119-131, 1995. 

  11. M. S. Moon, Nursing students' initial clinical experience, The J Korean Acad Society of Nurs Educ, Vol. 4, No. 1, pp. 15-27, 1998. 

  12. E. J. Park, Y. H. Kim, A Grounded Theory-Based Approcach to Practice Adaptation Process of Hemodialysis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9, No. 1, pp. 128-137, 2013. 

  13. J. S. Kim, J. J. Sun, H. S. Kim,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Qualitative Research, Voo. 10, No. 1, pp. 63-76, 2009. 

  14. K. S. Seo, Clinical Work Experience of Korean Nurses in U. S. hospials, Ewha University, PhD. Seoul, 2013 

  15. J. H. Park, I. S. Chun, The lived experience of newly employed nurses: Phenomenological study, Vol. 9, No. 2, pp. 99-110,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