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역할극을 활용한 가족간호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과 가족간호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amily Nursing Practicum Using Role Play on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Ability, and Family Nursing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9 no.4, 2013년, pp.656 - 662  

박은옥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family nursing practicum using role play on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ability, and family nursing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Methods: Role play training was provided to nursing students who took a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가족간호 실습에서 역할극을 활용하고 감성지능, 의사소통, 가족간호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데에 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함으로써 향후 간호교육방법의 개선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무엇인가? 간호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학생들이 임상현장과 지역사회 등 여러 간호현장에서 요구되는 간호실무수행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실무수행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간호교육과정은 다른 전공분야와 달리 실습교육의 비중이 상당히 큰 편이다.
감성지능이란 무엇인가? 대상가족과 신뢰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공감적 의사소통능력이 필요하다. 감성지능은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하며, 감성을 활용하는 것으로(Wong & Law, 2002), 대상자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치료적 관계형성에 중요한 요소로(Choi, 2010), 간호 실무에 필수적이다(Benson, Ploeg, & Brown, 2010). 감성지능은 간호수행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고(Codier, Kooker, & Shoultz, 2008),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문제해결능력이 좋으며, 인지된 스트레스는 적었다(Barriball, Fitzpatrick, & Roberts, 2011).
Emotional Intelligence Scale의 한국어판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감성지능은 Law, Wong, & Song (2004)이 Wong & Law 가 개발한 감성지능도구에 대해 구성타당도와 준거타당도를 검토하여 타당하다고 평가한 Emotional Intelligence Scale의 한국어판을 이용하였다(Fukuda, Saklofske, Tamaoka, & Lim, 2012). 이 측정도구는 16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자기 감성 이해, 타인 감성 이해, 감성 조절 및 감성 활용 4개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하위 구성요소를 측정하기 위해 4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문항에 대해 ‘전혀 그렇지 않다’(1점), ‘그렇지 않다’, ‘그저 그렇다’, ‘그런 편이다’, ‘매우 그렇다’ (5점) 등 5점 Likert 척도로 이루어졌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감정지능이 높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rriball, L., Fitzpatrick, J., & Roberts, J. (2011). Emotional intelligence: Its relationship to stress, coping, well­being and professional performance in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31(8), 855-860. doi: 10.1016/j.nedt.2010.12.023 

  2. Benson, G., Ploeg, J., & Brown, B. (2010). A cross­sectional study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30(1), 49-53. doi: 10.1016/j.nedt.2009.06.006 

  3. Bocchino, A., Medialdea, M., Lepiani, I., Duenas, M., Gilart, E., & Vela, A. (2013). Classroom strategies improving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in nursing students. Edulearn13 Proceedings, 3993-3993. 

  4. Chant, S., Jenkinson, T., Randle, J., & Russell, G. (2002). Communication skiils: some problems in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1(1), 12-21. 

  5. Choi, J. (2010). Relationship between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6. Choi, S. J., Kwon, M. S., Kim, S. H., Kim, H. M., Jung, Y. S., & Jo, G. Y. (2013). Effects of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nursing competence, communication skills,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health assessme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1), 97-105. doi: 10.5977/jkasne.2013.19.1.97 

  7. Codier, E., Kooker, B. M., & Shoultz, J. (2008). Measur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linical staff nurses: an approach for improving the clinical care environment.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32(1), 8-14. doi:10.1097/01.NAQ.0000305942.38816.3b 

  8. Crofts, J. F., Ellis, D., Winter, C., Donald, P., Hunt, L. P., & Draycott, T. J. (2008). Patient-actor perception of care: A comparison of obstetric emergency training using manikins and patient actors.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17, 20-24. doi:10.1136/qshc.2006.021873 

  9.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doi : 10.3758/BRM.41.4.1149 

  10. Fellowes, D., Wilkinson, S., & Moore, P. (2004).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woking with cancer patients, their families and/or carer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 

  11. Fukuda, E., Saklofske, D. H., Tamaoka, K., & Lim, H. (2012).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Wong and Law's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Assessment, 19(1), 3-7. doi: 10.1177/1073191111428863 

  12. Hur, G-H. (2003).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47(6). 380-426. 

  13. Jung, H.­J., & Cho Chung, H.­I. (2012). Effects of self­esteem, emotional intelligenence and social support on college adjustment in first year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cademy of Psychiatry and Mental Health Nursing, 21(3), 188-196. 

  14. Kim, M. W. (2006). Development of objectives in nursing clinical education based on the nursing core competenc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2), 380-402. 

  15. Kim, Y. H., & Lee, Y. M. 2012). Relationship of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after practice evaluation of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using role pla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 147-155. doi: 10.5762/KAIS.2012.13.1.147 

  16. Kwon, I. S. (2002). An analysis of research o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5), 706-715. 

  17. Law, K. S., Wong, C.­S., & Song, L. J. (2004). The construct and criterion validity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its potential utility for management stu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9(3), 483-496. doi: 10.1037/0021-9010.89.3.483 

  18. Makoul, G. (2001)). Essential elements of communication in medical encounters: The Kalamazoo consensus statement. Academic Medicine, 76(4), 390-393. doi:10.1097/00001888-200104000-00021 

  19. Mullan, B. A., & Kothe, E. J. (2010). Evaluating a nursing communication skills training cours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rated ability, satisfaction, and actual performance. Nurse education in practice, 10(6), 374-378. doi:10.1016/j.nepr.2010.05.007 

  20. Nelis, D., Quoidbach, J., Mikolajczak, M., & Hansenne, M. (2009). Increasing emotional intelligence:(How) is it possib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7(1), 36-41. doi: 10.1016/j.paid.2009.01.046 

  21. O'Shea, E. R., Pagano, M., Campbell, S. H., & Caso, G. (2013). A descriptive analysis of nursing student communication behaviors.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22. Parry, R. (2008). Are interventions to enhance communication performance in allied health professional effective, and how should they be delivered? Direct and indirect evidence. Patient Edudcation and Counseling, 73(2), 186-195. 

  23. Son, J. T., Park, M., Kim, H.­R., Lee, W.­S., & Oh, K. (2007). Analysis of RN­BSN Students' Clinical Nursing Competen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5), 655-664. 

  24. Song, E. J. (2006). The effects of a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n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student nurses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3(3), 467-473. 

  25. Wong, C.­S., & Law, K. S.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 243-274. doi: 10.1016/S1048-9843(02)00099-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