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how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moral sensitivity affect the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had completed at least a one year (2 semesters) clinical nursing practicum through K University in D Metropolitan City. A total of 188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third grade (n=104) and fourth grade (n=84). The questionnaires were adopted with clinical practice stress, Korean version of moral sensitivity questionnaire (K-MSQ), and the clinical competency. Results: Clinical competen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tient-oriented care (r=.27, p<.001) and the professional responsibility (r=.32, p<.001) of the moral sensitivity (r=.27, p<.001). The attitude of medical personnel experiencing clinical practice stress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linical competency (r=.15, p=.038). The attitude of medical personnel (β=.09, p=.194) experiencing clinical practice stress, patient-oriented care (β=.16, p=.041)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y (β=.23, p=.003) of the moral sensitivity explained 12% of the variance in clinical competency (F=9.17, p<.001). Therefore, the influential factors on clinical competency were two sub-factors of moral sensitivity. Conclusion: Moral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a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지금까지 논문을 살펴 본 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임상실습스트레스와 도덕적 민감성에 대한 각각의 논문은 있으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도덕적 민감성이 임상수행능력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정도와 도덕적 민감성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이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여,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에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188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스트레스,도덕적 민감성, 임상수행능력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도덕적 민감성(환자중심 간호와 전문적 책임)을 입력한 결과 임상실습스트레스(의료진의 태도)만 투입했을 때 보다 설명력이 10.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의 정도를 파악하고 임상실습스트레스와 도덕적 민감성과 임상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임상실습스트레스, 도덕적 민감성, 임상수행능력의 정도를 파악하고,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여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