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의 결핵감염관리 현황
Status of Tuberculosis Infection Control in Hospital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0 no.4, 2013년, pp.359 - 371  

이나영 (중앙대학교 병원 감염관리실) ,  김경희 (중앙대학교 적십자 간호대학) ,  강희선 (중앙대학교 적십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tatus of tuberculosis (TB) infection control in hospitals. Method: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in whic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survey 77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2 to September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전국병원감염감시체계 하에 의료관련 감염발생시 700병상 미만, 700병상이상 900병상 미만, 900병상 이상과 같이 병상수의 규모에 따라 분류가 이루어지고 있고, 지역 간에 의료자원의 불평등 문제가 있음(Lee, 2005)을 고려해볼 때, 결핵 감염관리 측면에서도 병원 규모나 지역 간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의 결핵감염관리 현황을 미국질병관리본부에서 결핵감염관리를 위한 3가지 기본요건으로 제시한 조직관리적, 환경적, 호흡기 보호구 통제의 영역별로 병상수와 지역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여 추후 의료기관의 결핵감염관리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의 결핵감염관리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결핵감염관리의 조직관리적, 환경적, 호흡기 보호구 통제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결핵환자의 내원현황을 파악하는 의료기관은 많지 않았다.
  •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의 결핵감염관리 현황을 조직관리적, 환경적, 호흡기 보호구 통제 차원에서 조사하였다. 결핵감염관리의 조직관리적 통제 측면에서 살펴보면, 결핵환자 내원 현황을 파악하고 있는 의료기관은 총 27개(35.
  •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의 결핵감염관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의료기관의 결핵감염관리(조직관리적 통제, 환경적 통제, 호흡기 보호구 통제 영역)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핵감염 관리를 위해 미국 질병관리본부에서 제시한 기본 요건은 무엇인가? 결핵감염 관리를 위해 미국 질병관리본부에서는 결핵의 위험요인 사정․ 조기발견․ 지침 개정 등의 조직관리적 통제, 음압 병실이나 공기의 배기시설 등의 환경적 통제, 호흡기 보호구의 통제를 결핵감염관리를 위한 3가지 기본 요건으로 제시하였다(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05).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의료기관의 결핵감염관리를 위하여 전염성 결핵환자의 조기발견, 전염성 결핵환자의 격리, 외래에서의 결핵관리,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직원들에 대한 결핵감염 예방 대책을 제시하고 있다(KCDC, 2011).
조직관리적 통제 측면에서 국내 의료기관의 내원결핵환자 모니터링이 강화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의 결핵감염관리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결핵감염관리의 조직관리적, 환경적, 호흡기 보호구 통제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결핵환자의 내원현황을 파악하는 의료기관은 많지 않았다. 그리고 호흡기 외래 등 외래부서에 1인 음압격리실이 설치되지 않은 의료기관이 있으며, 특히 서울과 경기 이외의 지역과 700병상 미만의 의료기관에 낮았다.
의료기관에서 환자가 결핵에 감염되는 경로의 예는 무엇인가? 또한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환자들 역시 의료기관에서의 결핵감염에서 안전하지 못하다. 결핵균에 오염된 기관지내시경의 사용으로 의료기관에서 환자가 결핵에 감염되었으며(Larson et al., 2003), 외래에 내원한 환자가 결핵에 감염된 의료진에 의해 감염되기도 하였다(Bock, Sotir, Parrott, & Blumberg, 1999). 이처럼 의료기관에서 의료진과 환자 모두 결핵 감염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결핵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예방법들을 마련하고 이를 준수하는 것이 중요시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ock, N. N., Sotir, M. J., Parrott, P. L., & Blumberg, H. M. (1999). Nosocomial tuberculosis exposure in an outpatient setting: evaluation of patients exposed to healthcare providers with tuberculosis.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0, 421-425.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2005). Guidelines for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 health-care settings, 2005. Retrieved June 10, 2013, from http://www.cdc.gov/mmwr/preview/mmwrhtml/rr5417a1.htm 

  3. da Costa. P. A., Trajman, A., Mello, F. C., Goudinho, S., Silva, M. A., Garret, D., et al. (2009). Administrative measures for preventing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fection among healthcare workers in a teaching hospital in Rio de Janeiro, Brazil.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72, 57-64. http://dx.doi.org/10.1016/j.jhin.2009.01.016 

  4. Fuss, E. P., Israel, E., Baruch, N., & Roghmann, M. C. (2000). Improved tuberculosis infection control practices in Maryland acute care hospital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8, 133-137. 

  5. Jo, K. (2008). Incidence of tuberculosis among health care workers at a private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6. Jo, K. W., Hong, Y., Park, J. S., Bae, I. G, Eom, J. S., Lee, S. R., et al. (2013). Prevalence of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among health care workers in south Korea: A multicenter study.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75(1), 18-24. http://dx.doi.org/10.4046/trd.2013.75.1.18 

  7. Kilinc, O., Ucan, E. S., Cakan, A., Ellidokuz, H., Ozol, D., Sayiner, A., et al. (2002). Risk of tuberculosis among healthcare workers: Can tuberculosis be considered as an occupational disease? Respiratory Medicine, 96, 506-510. 

  8. Kim, E., Choi, B., Kang, S., & Lee, H. (2005). Evaluation of infectious disease in health care workers, focusing on management control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ystem. Seoul: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9. Kim, K., Jo, Y., Chun, J., Cho, E., & Eun, C. (2002).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outcomes in primary treatment for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Inje Medical Journal, 23, 529-537. 

  10. Kim, S. J. (2009). Emergency nurses's perception and performance on the tuberculosis infection contr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11. Kim, S., & Kang, J. (2010). Emergency nurses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tuberculosis infection control measur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 351-361. 

  12. Kim, Y. (2005). Study on operational stratagy for hospital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Wonju.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2011). Korean guidelines of Tuberculosis, 2011. Retrieved October 10, 2012, from http://tbfree.cdc.go.kr/tbfree/guide.do?page11&id4110 

  1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2012). Annual report on the notified tuberculosis patients in Korea, 2011. Retrieved October 10, 2012, from http://tbfree.cdc.go.kr/tbfree/cmm/BoardView.do?boardTypeREPORT&no97&id4500 

  15.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1). Guidelin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1. Retrieved October 10, 2012, from https://www.koiha.or.kr/home/index.act 

  16. Laniado-Laborin, R., & Cabrales-Vargas, N. (2006). Tuberculosis in healthcare workers at a general hospital in Mexico.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7, 449-452. 

  17. Larson, J. L., Lambert, L., Stricof, R. L., Driscoll, J., McGarry, M. A., & Ridzon, R. (2003). Potential nosocomial exposure to mycobacterium tuberculosis from a bronchoscope.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4, 825-830. 

  18. Lee, Y. J. (2005). Region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health care resources. Social Welfare Policy, 22, 255-279. 

  19. Luksamijarulkul, P., Supapvanit, C., Loosereewanich, P., & Aiumlaor, P. (2004). Risk assessment towards tuberculosis among hospital personnel: Administrative control, risk exposure, use of protective barriers and microbial air quality. Southeast Asian Journal of Tropical Medicine and Public Health, 35, 1005-1011. 

  20.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2). Medical Law. Retrieved June 10, 2013, from http://www.law.go.kr/lsSc.do?menuId0&subMenu1&querydmlfyqjq#liBgcolor6 

  21. Park, B. (2007). Relationship between self care (health promoting behavior, self efficacy, drug compliance) and fatigue in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2. Pavelchak, N., Cummings, K., Stricof, R., Marshall, E., Oxtoby, M., & London, M., (2001). Negative-pressure monitoring of tuberculosis isolation rooms within New York state hospitals.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2, 518-519. 

  23. Pavelchak, N., DePersis, R. P., London, M., Stricof, R., Oxtoby, M., DiFerdinando, G. Jr., et al. (2000). Identification of factors that disrupt negative air pressurization of respiratory isolation rooms.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1, 191-195. 

  24. Robert, J., Affolabi, D., Awokou, F., Nolna, D., Manouan, B. A., Acho, Y. B., et al. (2013). Assessment of organizational measures to prevent nosocomial tuberculosis in health facilities of 4 sub-Saharan countries in 2010.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34, 190-195. http://dx.doi.org/10.1086/669085 

  25. Saravia, S. A., Raynor, P. C., & Streifel, A. J. (2007). A performance assessment of airborne infection isolation room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5, 324-331. 

  26. Sung, M. H., Kim, N. R., & Choi, H. Y. (2007).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of the nurses about the management of nosocomial infec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 5-14. 

  27. Sutton, P. M., Nicas, M., & Harrison, R. J. (2000). Tuberculosis isolation: Comparison of written procedures and actual practices in three California hospitals.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1, 28-32. 

  28. Weber, D. J., Sickbert-Bennett, E. E., Brown, V. M., Brooks, R. H., Kittrell, I. P., Featherstone, B. J., et al. (2007). Compliance with isolation precautions at a university hospital.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8, 358-361. 

  29. Wilson, P. (2007). Is natural ventilation a useful tool to prevent the airborne spread of TB? PLOS Medicine, 4(2), e77.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1). Global tuberculosis control 2011. Retrieved June 10, 2013, from http://www.who.int/tb/publications/global_report/2011/e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