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로마 흡입법이 간호대학생의 시험불안, 스트레스 및 혈중 코티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roma Inhalation Method on Test Anxiety, Stress Response and Serum Cortisol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0 no.4, 2013년, pp.410 - 418  

고예정 (김천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정명순 (강원관광대학교 간호학과) ,  박경숙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therapy on test anxiety, stress and serum cortisol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pre posttest randomized design with a pre-survey, a 5-day experimental treatment (2012.11.17-21) and a post survey. Partici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2년 11월 17일부터 11월 21일까지 간호대학 생을(실험군 31명, 대조군 34명)을 대상으로 하여 아로마 흡입법이 시험불안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아로마 흡입법을 시행한 실험군이 흡입법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험불안과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 점수가 낮아졌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혈중 코티졸은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보완대체요법 중 아로마테라피는 식물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사용하여 흡입법, 마사지법과 같이 다양하게 사용되어 불안, 우울 및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나타나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험을 앞두고 있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안과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적인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흡입법을 적용하여 시험 전 불안, 스트레스 및 혈중 코티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 대학생에게 아로마 흡입법이 시험 불안, 스트레스 및 혈중 코티졸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험을 앞두고 있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안과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인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흡입법을 적용하여 실험처치 전 후의 시험 불안, 스트레스 및 혈중 코티졸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간호 대학생을 위한 간호 중재의 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아로마 흡입법을 실시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험불안 점수가 낮을 것이다.
  • · 가설 1: 아로마 흡입법을 실시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시험불안 점수가 낮을 것이다.
  • · 가설 2: 아로마 흡입법을 실시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스트레스 점수가 낮을 것이다.
  • · 가설 3: 아로마 흡입법을 실시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혈중 코티졸 수치가 낮을 것이다.
  • · 제1부가설 검증 “아로마 흡입법을 실시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신체적 스트레스 점수가 낮을 것이다.
  • · 제2부가설 검증 “아로마 흡입법을 실시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심리적 스트레스 점수가 낮을 것이다.
  • ● 제2가설 검증 “아로마 흡입법을 실시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스트레스 점수가 낮을 것이다.
  • ● 제3가설 검증 “아로마 흡입법을 실시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혈중 코티졸 수치가 낮을 것이다.
  • 부가설 2-1: 아로마 흡입법을 실시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신체적 스트레스 점수가 낮을 것이다.
  • 부가설 2-2: 아로마 흡입법을 실시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심리적 스트레스 점수가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로마테라피란 무엇인가? 아로마테라피는 식물의 꽃, 줄기, 잎, 열매 등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이용하여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하는 것으로 에센셜 오일은 후각과 피부, 폐 및 순환계를 거쳐서 뇌의 번연계로 화학적 메시지를 보내어 생리적, 심리적 효과가 나타 나게 된다. 아로마테라피는 향기흡입, 마사지, 피부도포, 방향법, 좌욕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 될 수 있는데 특히, 아로마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향기흡입법은 호흡을 통해 전신으로 퍼지게 되어 흡인 후 5분 이내에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화학성분이 혈액에서 검출되게 되기 시작하고 20분 내에 최대 수준을 나타내서 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그효과가 우수하다.
아로마 흡입요법에 사용되는 있는 에센셜 오일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아로마 흡입요법에 사용되는 있는 에센셜 오일 에는 라벤더, 로즈우드, 페퍼민트, 메이창, 주니퍼, 마조람, 버가못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단독으로 사용될 때 보다 2∼3가지의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할 때 효과가 더 증가된다. 이 중 본 연구에서 사용한 라벤더(Lavender) 오일은 자연적인 진정작용으로 서양에서부터 오랫동안 사용된 에센셜 오일로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검증되어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 되고 있으며 불면, 우울, 불안, 스트레스의 완화에 대한 효과가 입증되었으며(Worwood, 1996), 로즈우드(Rosewood)는 진정, 수렴, 항염작용, 방부의 효능이 있어 생기를 돋우는 특성으로 전반적인 균형을 유지시키며 메이창(Maychang)은 항우울, 혈압강하, 강장, 구풍, 항우울, 살균, 살충, 수렴, 소독작용이 있으며 심리적으로 기분을 좋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Tisserand &Balacs, 2000).
아로마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향기흡입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아로마테라피는 식물의 꽃, 줄기, 잎, 열매 등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이용하여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하는 것으로 에센셜 오일은 후각과 피부, 폐 및 순환계를 거쳐서 뇌의 번연계로 화학적 메시지를 보내어 생리적, 심리적 효과가 나타 나게 된다. 아로마테라피는 향기흡입, 마사지, 피부도포, 방향법, 좌욕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 될 수 있는데 특히, 아로마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향기흡입법은 호흡을 통해 전신으로 퍼지게 되어 흡인 후 5분 이내에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화학성분이 혈액에서 검출되게 되기 시작하고 20분 내에 최대 수준을 나타내서 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그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이 방법은 간단하고 어느 곳 에서나 쉽게 적용할 수 있어 가장 많이 사용 되는 안전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Worwood,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ll, M. L. (1991). Learning a complex nursing skill: student anxiety and the effect of preclinical skill evalu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0, 222-226. 

  2. Buckle, J. (1998). Clinical aromatherapy and touch: complementary therapies for nursing practice. Critical Care Nurse, 18(5), 54-61. 

  3. Cha, J. H., Kim, M. J., Kim, H. S., & Kim, Y. I. (2010). Effects of aromatherapy in blending oil of basil, lavender, rosemary, and rose on headache, anxiety and serum cortisol level in the middle-aged women. Journal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2, 133-139. 

  4. Cho, S. C. (1989). Assessment of test anxiet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 668-677. 

  5. Cho, S. C., Jung, Y., Hong, K. E., Shin, M. S., & Seong, Y. H. (2001). Relationship between test-anxiety, depression, trait anxiety and state anxiety. Journal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12(2), 225-236. 

  6. Choi, I. S. (2006).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method on the preoperative anxiety of abdominal surgical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7. Choi, W. H., & Moon, E. S. (2004). The differences of test anxiety as a function of perfectionists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8(1), 23-35. 

  8. Cohen, J. (199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2nd ed). New Jersey : Lawrence Erlbaum. 

  9. Grossi, G., Perski, A., Ekstedt, M., Johanson, T., Lindstrom, M., & Holm, K. (2005). The morning salivary cortisol response in burnout.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9, 103-111. 

  10. Han, S. H., Hur, M. H., & Kang, J. Y. (2002). Effects of aromatherapy on the stress response of college women with dysmenorrhea during menstru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317-326. 

  11. Hwang, J. H. (2006). The effects of the inhalation method using essential oils on blood pressure and stress responses of cl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1123-1134. 

  12. Jang, T. S. (2000). A study on anti-stress effect of aroma essential oils by inhal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6, 227-238. 

  13. Kim, K. W., & Cho, Y. H. (2011).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career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among freshmen. Korean Journal of Youth Syudies, 18(4), 197-218. 

  14. Kim, O. J., Kim, K. H., & Park, K. S. (2007). The effect of aroma inhalation on stress, anxiety and sleep pattern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Clinical Nursing Research, 13(2), 99-111. 

  15. Ko, Y. J. (2012). Effects of lavender fragrance inhalation method on sleep, depression and stress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8, 74-80. 

  16. Lee, E. H. (2004). Life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college students: testing for moderating effects of coping style with structural equation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9(1), 25-52. 

  17. Lee, H. S. (2008).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on nursing students stress response and anxiety before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 112-119. 

  18. Lee, I. S. (2006). Effects of lavender fragrance on depression and anxiety of nursing students intending to take the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 87-94. 

  19. Lee, I. S., & Lee, K. J. (2006). Effects of lavender fragrance on speech anxiety and public speech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9, 174-182. 

  20. Lee, M. K. (2008).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narratives about their educational experience-focusing on the college students" signification of their experience on the college preparation and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31, 79-102. 

  21. Oh, Y. H., & Jung, H. M. (2002). The effects of inhalation method using essential oils on the preoperative anxiety of hysterectomy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5, 18-26. 

  22. Park, J. S., & Kim, J. H. (2009). Effect of aroma oil inhalation on the anxiety of colonoscopy pati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1, 85-91. 

  23. Park, M. K., & Lee, E. S. (2004). The effect of aroma inhalation method on stress respons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344-351. 

  24. Seo, J. Y. (2009). The effects of aromatherapy on stress and stress responses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357-365. 

  25. Spielberger, C. D. (1980). Test anxiety inventory. Preliminary Professional Manual.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26. Spielberger, C. D., Gonzalez, H. P., Taylor, C. J., Anton, W. D., Algaze, B., & Ross, G. R. (1978). Preliminary, manual for the tes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liforni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27. Timmins, F., & Kaliszer, M. (2002). Aspects of nurse education programmes that frequently cause stress to nursing students-fact-finding sample survey. Nurse Education Today, 22, 203-211. 

  28. Tisserand, R., & Balacs, T. (2000). Essential oil safety: A guide for health professionals.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29. Worwood, V. A. (1996). The fragrant mind: aromatherapy for personality, mind, mood and emotion. Pub Group West. 

  30. Yu, E. Y. (2009). Relationships between stress-coping schemes and mental health for health department and non-health department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9(12), 718-7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