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평가두려움과 시험불안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ear of Evaluation, Test Anxiety, and Social Anxiety among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7, 2017년, pp.56 - 66  

조옥희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  황경혜 (수원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임종미 (공주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시험불안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일개 대학교의 간호학과 학생 383명으로 2015년 6월부터 7월까지 평가에 대한 두려움, 시험불안 및 사회불안에 대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및 시험불안이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들 변수는 간호대학생의 사회불안을 30% 예측 설명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사회불안은 경제상태, 간호학 전공만족도, 학업스트레스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r=.45, p<.001),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r=.29, p<.001) 및 시험불안(r=.29, p<.001)과 정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시험불안이 사회불안의 영향요인임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간호대학생 대상의 사회불안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해 볼 것을 제안한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사회불안을 사전에 스크리닝하여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ear of evaluation and test anxiety on social anxiety among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were 383 nursing students in a university and survey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evaluation fear, test anxiety and s...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시험불안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의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수를 파악하여 그 중요성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일개 대학의 간호대학 신입생을 편의표집하여 조사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해석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평가두려움, 시험불안과 사회불안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 사회불안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평가두려움과 시험불안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평가두려움이 시험불안과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 신입생의 사회불안은 경제상태, 간호학 전공만족도, 학업스트레스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및 시험불안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시험불안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사회불안 중재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로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최근 사회불안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로 대학생을 중심으로 연구되었으며, 간호대학생의 사회불안과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시험불안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사회불안 중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험불안이란 무엇인가? 시험불안은 시험 상황에서 극심한 고통과 불안을 경험하는 심리적 상태로 스트레스와 불안의 정도에 따라 학습결손과 시험 수행을 해칠 수 있다[10]. 시험불안이 낮은 학생은 학습에 도전감을 느끼며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지만, 시험불안이 높은 학생은 걱정과 두려움으로 능률을 상실하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다[11].
간호대학생의 사회불안은 어떤 요인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결과,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및 시험불안이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들 변수는 간호대학생의 사회불안을 30% 예측 설명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사회불안은 경제상태, 간호학 전공만족도, 학업스트레스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r=.45, p
간호대학생의 사회불안은 경제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경제상태가 중이나 하인 경우가 사회불안이 더 높았는데, 이는 이란의 간호대학생의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다[21]. 선행연구에서 간호대학생 중에서 경제상태가 하인 경우가 학업스트레스와 우울 정도가 높았으며[38] 사회불안이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매개변수임을 보고된 것을 고려할 때[39], 경제상태가 낮은 경우에 대학생활과 학업의 병행에 대한 스트레스는 높아지는 반면에 학업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느라 친구와의 사회적 관계를 즐길 여유가 없어 우울 성향이 증가될 수 있고 사회적 상황에 대한 불안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간호학 전공만족도가 중이나 하인 경우가 사회불안이 높았는데, 타 연구에서는 간호학과 진학동기에 따른 차이는 존재하나 전공만족도에 따른 차이가 없어[40] 본 결과와 달랐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한국간호교육평가원, 2017년도 상반기 간호교육 인증평가 대학용 편람, 한국간호교육평가원, 2017. 

  2. J. W. Weels, R. G. Heimberg, and T. L. Rodebaugh, "The Fear of Positive Evaluation Scale: Assessing a Proposed Cognitive Component of Social Anxiety,"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Vol.22, No.1, pp.44-55, 2008. 

  3. J. W. Weeks, T. A. Jakatdar, and R. G. Heimberg, "Comparing and Contrasting Fears of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 as Facets of Social Anxiet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29, No.1, pp.68-94, 2010. 

  4. 이정윤, 최정훈, "한국판 사회공포증 척도(K-SAD, K-FNE)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제16권, 제2호, pp.251-264, 1997. 

  5. F. Sharif and S. Masoumi, "A Qualitative Study of Nursing Student Experiences of Clinical Practice," BioMed Central Nursing, Vol.4, No.6, pp.1-7, 2005. 

  6. 한가희, 대학생의 부정적/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7. 전영주, 박기환,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의 관계: 긍정적인 사회적 상황에 대한 해석편향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제11권, 제2호, pp.59-73, 2011. 

  8. C. G. Campbell, K. L. Bierman, and P. C. Molenaar, "Individual Day-to-Day Process of Social Anxiety in Vulnerable College Students,"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Vol.20, No.1, pp.1-15, 2016. 

  9. 홍영근, 문지혜, 조현재, "한국판-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II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0권, 제1호, pp.117-134, 2011. 

  10. https://www.verywell.com/what-is-test-anxiety-2795368 

  11. 김수미, 사이버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내재적 가치, 시험불안, 교수설계수준, 몰입 및 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2. 이선혜, 김진경, "간호대학생의 국가고시 관련 시험불안,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6권, 제2호, pp.177-185, 2010. 

  13. 김영희, "간호대학생들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자아정체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료분석학회지, 제13권, 제4호, pp.2003-2014, 2011. 

  14. 노윤구, 이영숙. "국가고시를 앞준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633-643, 2016. 

  15. 박순주, 배다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대인불안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0권, pp.305-215, 2015. 

  16. 차경숙, 전원희, 홍성실,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 능력과 사회불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7권, pp.324-333, 2014. 

  17. E. Y. Strahan, "The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Social Skills on Academic Performa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4, No.2, pp.347-366, 2003. 

  18. C. A. Brook and T. Willoughby, "The Social Ties That Bind: Social Anxiety and Academic Achievement Across the University Yea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44, pp.1139-1152, 2015. 

  19. 이숙희, "임상실습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첫 임상실습에 대한 불안,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제15권, 제4호, pp.539-547, 2008. 

  20. R. M. Shepherd, "Volitional Strategies and Social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College Quarterly, Vol.9, No.4, p.4, 2006. 

  21. S. Ghezelbash, F. Rahmani, H. Peyrovi, and M. Imamloo, "Social Anxiety in Nursing Students of Tehran Universities of Medical Scienc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 Medical Education, Vol.4, No.1, pp.85-90, 2015. 

  22. 박서정, 이정애, 오강섭, "한국판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K-FPES) 타당화,"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제29권, 제1호, pp.205-221, 2010. 

  23. D. Watson and R. Friend, "Measurement of Social-Evaluative Anxiet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33, No.4, pp.448-457, 1969. 

  24. M. R. Leary, "A Brief Version of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9, pp.371-375, 1983. 

  25. P. R. Pintrich and E. V. De Groot,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2, No.1, pp.33-40, 1990. 

  2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서울: 학지사, 2013. 

  27. 서연주, 한국판 긍정적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K-FPES)의 타당화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8. S. Shin, "Influence from The Academic Stress by The Achievement Pressure of Their Parents and Adjustment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5, No.11, pp.6756-6766, 2014. 

  29. 김성주, 이영순,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4권, 제3호, pp.1919-1938, 2013. 

  30. C. M. Begley and P. White, "Irish nursing students' changing Self-Esteem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during Their Preregistration Programm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42, No.4, pp.390-401, 2003. 

  31. H. Hoel, S. I. Giga, and M. J. Davidson, "Expectations and Realities of Student Nurses' Experiences of Negative Behaviour and Bullying in Clinical Placement and The Influences of Socialization Processes," Health Services Management Research, Vol.20, No.4, pp.270-278, 2007. 

  32. 박지연, 양난미,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사회적 지지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6권, 제2호, pp.363-388, 2014. 

  33. 김나현, 박지연, 전상은, "사례기반학습법을 적용한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인체생리학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기초간호학회지, 제17권, 제1호, pp.78-87, 2015. 

  34. T. Brewer, "Test-Taking Anxiety among Nursing & General College Students,"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Vol.40, No.11, pp.22-29, 2002. 

  35. M. Ranjita and M. Michelle, "College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Its Relation to Their Anxiety, Time Management, and Leisure Satisfaction," American Journal of Health Studies, Vol.16, No.1, 2000. 

  36. 최연자, "명상요법이 간호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회피, 불안에 미치는 효과," 정신건강간호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33-142, 2010. 

  37. https://socialanxietyinstitute.org/what-is-social-anxiety 

  38. 조옥희, 황경혜, 박혜서,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 우울 및 신체활동의 관계," 근관절건강학회지, 제22권, 제2호, pp.121-129, 2015. 

  39. X. Chen, Z. Wang, J. Gao, and W. Hu, "College Students Social Anxiety Associated with Stress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Hygiene Research, Vol.36, No.2, pp.197-199. 

  40. 황선경, 이윤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불안,"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1권, 제4호, pp.518-527, 2015. 

  41. E. Y. Jang, J. Choi, Y. C. Park, and S. M. Lee, "Satisfaction with Major in Nursing: Predictors, Mediational Role of Identification with Nursing, and Gender Difference in South Korea," Journal of Psychiatry, Vol.18, No.6, pp.1-5, 2015. 

  42. 박병기, 임신일, "시험불안 관련변인의 메타분석," 교육심리연구, 제24권, 제4호, pp.875-894, 2010. 

  43. S. J. Salend, "Teaching Students Not to Sweat The Test," Phi Delta Kappan, Vol.93, No.6, pp.20-25,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