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화 추천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사용자 기반 추천 방법과 항목 기반 추천 방법이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이들은 각각 희박성의 문제와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유사도의 개념을 이용해 두 가지 방법을 조합하는 연구가 있으나 계산해야 할 파라메타 수가 많아 현실적으로 희박성의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항목 간 선호도 차이를 이용한 추천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계산해야 할 파라메타 수가 적어 희박성의 문제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또한 파라메타 계산에 사용자들이 평가한 선호도를 반영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은 초기에는 오류가 크지만 빠르게 성능이 안정화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유사도를 이용한 기존의 추천 방법과 비교하여 평균 오류를 0.0538 낮추는 결과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er-based and item-based method have been developed as the solutions of the movie recommendation problem. However, these methods are faced with the sparsity problem and the problem of not reflecting user's rating respectivel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is a research on the combin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희박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들의 선호도 정보를 근거로 항목 간 거리를 구하고, 이를 이용한 추천 방법을 제안 한다.
  • 앞으로 예측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보다 다양한 예측 방법들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좀 더 큰 데이터를 사용한 실험을 통해서 보다 현실적으로 의미 있는 영화 추천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 [6]에서 소개한 방법의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개선한 새로운 선호도를 예측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계산해야 할 파라메타의 개수를 줄이고, 계산된 항들을 결합할 때는 상수 대신 적절한 중요도 지표를 사용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항목 간 선호도 차이를 이용한 영화 추천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계산해야 할 파라 메타 수가 적어 희박성의 문제에서 비교적 자유롭고, 파라메타를 계산할 때 사용자들이 평가한 선호도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가설 설정

  • 이 방식은 데이터가 충분치 않은 상황에 서도 비교적 잘 작동한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이 방법은 항목의 본질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특징들을 사용하면 이것이 선호도와 연관성이 높을 것이라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이를 사용한 항목 간 유사도 지표는 실제로 사용자들의 선호도를 전혀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화 추천 문제에서 혼합 방식을 적용한 예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혼합 방식은 항목에 기반을 둔 방식과 사용자에 기반을 둔 방식을 결합함으로써 두 방식의 장점을 취하려는 새로운 시도이다. 영화 추천 문제에서 혼합 방식을 적용한 예로서 항목 기반 방식인 장르 정보와 사용자 기반 방식인 사용자의 주소 정보를 같이 사용한 예가 있다 [5]. 그러나 같은 장르에 속한 영화들이 비슷한 평을 받을 것이라는 가정은 근거가 약하고, 인구통계학적 분류가 선호도가 비슷한 사람들의 분류라고 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보다 근본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사용자에 기반을 둔 방식이란? 사용자에 기반을 둔 방식은 협업 필터링이라고도 하며, 사용자들 간의 유사도를 미리 조사하여, 목표 사용 자와 유사한 사용자들이 좋게 평가한 항목들을 추천하는 방식이다 [2]. 이 때 사용자들 간의 유사도는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사용해서 구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다 [3].
사용자 기반 추천 방법과 항목 기반 추천 방법의 한계점은? 영화 추천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사용자 기반 추천 방법과 항목 기반 추천 방법이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이들은 각각 희박성의 문제와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유사도의 개념을 이용해 두 가지 방법을 조합하는 연구가 있으나 계산해야 할 파라메타 수가 많아 현실적으로 희박성의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S. H. Jo, "Weight Recommendation Technique Based on Item Quality To Improve Performance of New User Recommendation and Recommendation on The Web," Ph. D. dissertation, Hannam University Graduation School, 2008. 

  2. S. J. Lee and T. R. Jeon, G. D, Baek, S. S. Kim, "A Movie Rating Prediction System of User Propensity Analysis based on Collaborative Filtering and Fuzzy Syste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ol. 19, no. 2, pp. 242-247, 2009. 

  3. Hee-Choon Lee, Seok-Jun Lee, Sun-Ok Kim, "A Study on improvements of prediction accuracy us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collaborative filtering," in Proceeding of The KITS Conference 2009, pp. 349-352, 2009. 

  4. G.Lekakos and G.M.Giaglis, "Improving the Prediction Accuracy of Recommendation Algorithms : Approaches Anchored on Human Factors," Interacting with Computers, vol. 18, pp. 410-431. 2006. 

  5. Kyung-Rog Kim, Jaehee Byeon, Nammee Moon, "Collaborative Filtering Design Using Genre Similarity and Preffered Genre," in Proceeding of The KSCI Conference 2011, vol. 16, no. 4, pp. 161-170, April 2011. 

  6. Hao Ma, Irwin King and Michael R. Lyu, "Effective Missing Data Prediction for Collaborative Filtering," in Proceeding of SIGIR 2007, pp. 39-46, 2007. 

  7. P. Resnick, N. Iacovou, M. Suchak, P. Bergstrom, and J. Riedl, "Grouplens: An open architecture for collaborative filtering of netnews," in Proceeding of ACM Conference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1994. 

  8. J. Wang, A. P. de Vries, and M. J. Reinders, "Unifying user-based and item-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approaches by similarity fusion," in Proceeding of SIGIR, 2006. 

  9. G.-R. Xue, C. Lin, Q. Yang, W. Xi, H.-J. Zeng, Y. Yu, and Z. Chen, "Scalable collaborative filtering using cluster-based smoothing," in Proceeding of SIGIR, 2005. 

  10. T. Hofmann, "Latent semantic models for collaborative filtering," ACM Trans. Inf. Syst., vol. 22, no. 1, pp. 89-115, 2004. 

  11. D. M. Pennock, E. Horvitz, S. Lawrence, and C. L. Giles, "Collaborative filtering by personality diagnosis: A hybrid memory- and model-based approach," in Proceeding of UAI, 2000. 

  12. J. S. Breese, D. Heckerman, and C. Kadie, "Empirical analysis of predictive algorithms for collaborative filtering," in Proceeding of UAI, 1998. 

  13. GroupLens Research. MovieLens Data Sets [Internet]. Available: http://www.grouplens.org/node/7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