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교통수요관리방안의 추진을 위한 교통수단선택 계층별 수단선택특성 및 대중교통으로의 전환의식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Mode Choice and Mode Transfer to Public Transit by Mode-Choice Class for the Effective Transportation Demand Management Implement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3 no.6, 2013년, pp.2493 - 2501  

황정훈 (영남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대도시를 중심으로 승용차 이용을 억제하고 대중교통의 수단분담률을 제고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통수요관리방안이 추진되어 왔으나 승용차 통행량의 감소와 같은 정책적인 효과는 충분하다고 볼 수 없다. 이러한 원인의 하나로 대중교통 서비스의 향상을 통해 승용차로부터의 수단전환을 유도하는 정책들이 대중교통의 수단적 효용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있었으나 모든 승용차 이용자에게 대중교통으로 전환할 정도는 아니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통수단선택 계층에 따라 교통수요관리 방안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불특정 다수의 통행에서 승용차의 이용빈도를 기준으로 교통수단선택 계층(승용차 의존층, 승용차 선택층, 대중교통 선택층, 대중교통 의존층)을 분류하고 각 계층별로 수단선택 영향요인에 대한 인식 및 교통환경의 변화에 대한 통행행태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승용차의 의존도가 높을수록 편리함이나 쾌적함과 같은 정성적 요인을 더 중요시 인식하고 있으며, 주차규제나 통행시간 및 비용의 증가와 같은 교통수요관리기법에 대해서는 승용차의 의존도가 낮을수록 대중교통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또한 주차규제 정책 추진시 주변 도로의 주차단속이 병행되어야 하며,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는 방법으로는 주차요금과 같이 승용차 이용시 선택적으로 발생되는 비용보다 연료비 인상과 같이 상시적인 비용부담이 가중될 수 있는 방법이 보다 효과적이라는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schemes of transportation demand management(TDM) to discourage the use of cars and enhance public transit performance have been implemented in large cities. Nevertheless, policy effects in reducing car have not been satisfactory. Car-dependent travelers who tend to keep driving cars regard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교통수요관리방안의 정책적인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들이 효용극대화이론에 기초한 수단선택모형을 이용하여 총량적인 정책 효과를 분석한 것과 달리 승용차의 이용빈도에 따른 계층별로 통행행태나 교통환경의 변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통수요관리방안의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있다.
  •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 변화에 따른 교통행태 변화로서 주된 목적까지 교통혼잡 및 통행규제 등으로 소요시간이 현재와 비교해 어느 정도 증가하면 대중교통을 이용하겠는지를 질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승용차와 대중교통을 대상으로 불특정 다수의 통행에서 승용차의 이용빈도에 따라 수단선택 영향요인이나 대중교통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통행시간이나 비용, 주차규제 등 교통환경의 변화에 대한 통행행태에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승용차를 이용하여 통행할 경우 목적지에서 10부제나 5부제(요일제)와 같이 승용차에 대한 부제운행을 시행하고 있다면 어떻게 하겠는가를 질문하였다. 그 결과 대중교통 선택층은 73.
  • 교통수단선택 계층별 대중교통 서비스 항목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는 교통수요관리정책에 있어 승용차에 대한 효용의 억제와 더불어 지속적인 대중교통 서비스의 제고를 통해 대중교통수단으로의 전환을 도모한다는 측면에서 각 계층별로 대중교통 서비스 항목에 대한 현재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계층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정책추진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행자의 잠재적 특성이 반영될 수 있는 불특정 다수의 통행에서 승용차의 이용빈도를 이용하여 교통수단 선택 계층을 분류하고 각 계층별로 교통수단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인식과 대중교통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대중교통으로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승용차 이용억제 정책요소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승용차 이용을 억제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촉진시킴으로서 교통수요를 관리하고자 하는 교통수요관리방안의 효과적인 추진에 기초가 되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상의 기존 연구로부터 본 연구의 차이점은 기존의 연구가 승용차를 이용하는 통행자들은 승용차가 가지는 수단적 특성 외에 승용차에 대한 심리적 요소(상징성, 우월감, 자율성 등)가 있음을 나타내거나 이를 발전시켜 심리적인 요소를 정량화하여 잠재변수로서 기존의 수단선택모형에 반영하여 잠재변수의 효용성을 제시하는데 그쳤다면, 본 연구는 승용차 이용자들에 국한하지 않고 전체 통행자를 승용차와 대중교통에 대한 의존도에 따라 계층을 구분하고자 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통행자의 심리적 특성으로부터 승용차에 대한 의존도를 파악하여 교통수단선택 계층을 분리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불특성 다수의 통행에서 교통수단의 선택결과를 이용함으로서 통행자의 심리적 특성과 실질적으로 특정 교통수단에 대한 의존도가 다를 수 있음을 배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단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수단특성으로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 통행비용, 편리함과 쾌적함을 고려하고, 이에 대해 교통수단선택 계층별로 수단선택에 있어 무엇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행자의 잠재적 특성이 반영될 수 있는 불특정 다수의 통행에서 승용차의 이용빈도를 이용하여 교통수단 선택 계층을 분류하고 각 계층별로 교통수단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인식과 대중교통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대중교통으로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한 승용차 이용억제 정책요소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승용차 이용을 억제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촉진시킴으로서 교통수요를 관리하고자 하는 교통수요관리방안의 효과적인 추진에 기초가 되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주차비 증가에 따른 교통행태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1시간마다 주차요금이 어느 정도이면 대중교통을 이용할 것인지를 질문하였다. 대중교통 선택층은 3,000원에서 5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승용차 선택층이란? 승용차 의존층은 거의 모든 통행에서 승용차를 이용하는 계층이며, 승용차 선택층은 대부분의 통행에서 승용차를 선택하나 가끔은 대중교통을 선택하는 계층이며, 대중교통 선택층은 승용차 선택층과 반대의 개념이다. 또한 대중교통 의존층은 승용차의 선택이 제약되거나 개인적인 특성에 의해 거의 모든 통행에서 대중교통을 선택하는 계층을 의미한다.
승용차 의존층이란? 승용차 의존층은 거의 모든 통행에서 승용차를 이용하는 계층이며, 승용차 선택층은 대부분의 통행에서 승용차를 선택하나 가끔은 대중교통을 선택하는 계층이며, 대중교통 선택층은 승용차 선택층과 반대의 개념이다. 또한 대중교통 의존층은 승용차의 선택이 제약되거나 개인적인 특성에 의해 거의 모든 통행에서 대중교통을 선택하는 계층을 의미한다.
PTD란? 승용차 의존층은 거의 모든 통행에서 승용차를 이용하는 계층이며, 승용차 선택층은 대부분의 통행에서 승용차를 선택하나 가끔은 대중교통을 선택하는 계층이며, 대중교통 선택층은 승용차 선택층과 반대의 개념이다. 또한 대중교통 의존층은 승용차의 선택이 제약되거나 개인적인 특성에 의해 거의 모든 통행에서 대중교통을 선택하는 계층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ae, Y. K., Jung, J. H. and Kim, H. J. (2010). "Latent class analysis for mode choice behavio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8, No. 3, pp. 99-107 (in Korean). 

  2. Ellaway, A., Macintyre, S., Hiscock, R. and Kearns, A. (2003). "In driving seat: Psychosocial benefits from private motor transport compared to public transport."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F, Vol. 6, pp. 217-231. 

  3. Hwang, K. Y., Kim, I. K. and Lee, Y. C. (1998). "Parameter estimation and validation of a multinomial logit model for the prediction of mode shift as a result of TDM schemes in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16, No. 4, pp. 53-63 (in Korean). 

  4. Jung, D. Y., Yun. J. H., Park, S. W. and Kim, J. Y. (2011). "The strategies of transport demand management to decrease the geenhous gases in transportation par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9, No. 1, pp. 29-38 (in Korean). 

  5. Johansson M. V., Heldt T. and Johansson P. (2006). "The effects of attitudes and personality traits on mode choic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Vol. 40, pp. 507-525. 

  6. Kim, J. H., Jung, J. H and Sohn, K. M. (2010). "combined RP/SP model with latent variabl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8, No. 4, pp. 119-128 (in Korean). 

  7. Lee, B. S. and Lee, E. S. (1996). "The impacts of the traffic demand management policies across the different income classes in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14, No. 1, pp. 7-27 (in Korean). 

  8. Lee, H. K. and Kim, J. H. (2005). "Travel behavior change and air quality improvement by integrating TDM measures: Forcusing on BRT(Bus Rapid Transit) and road pricing measure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Korea Planners Association, Vol. 40, No. 4, pp. 175-185 (in Korean). 

  9. Oh, J. H. (2005). "Analyzing the effects of transport demand management measures using the concept of compensating variation."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5, No. 3D, pp. 429-437 (in Korean). 

  10. Sohn, K. M. and Yun, J. Y. (2009). "Separation of car-dependent commuters from normal-choice riders in mode-choice analysis." Transportation, Vol. 36, pp. 423-436. 

  11. Steg, L. (2005). "Car use: Lust and must. instrumental, symbolic and affective motives for car us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Vol. 39, pp. 147-162. 

  12. Yeo, K. D., Kim, G. H. and Lee, S. W. (2011). "Development of modified ratio of pairwise comparison for determining weighting in AHP."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Korea Research Institute, Vol. 71, pp. 25-4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