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중교통전용지구의 조성목적에 따른 계획요소별 중요도 평가
Weights of Attributes in Creating Transit Mall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2 no.2, 2014년, pp.130 - 138  

박종일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연구본부) ,  장수은 (서울대학교 환경계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대중교통전용지구의 조성목적에 따른 계획요소별 중요도 평가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전용지구의 조성목적은 교통수요관리형과 지역활성화추진형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계획요소를 토지이용, 도시설계, 교통, 사회문화 특성으로 분류하고 이를 4As(Attraction, Amenity, Accessibility, Activity)라 명명하였다.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 기법을 통해 각 조성목적별로 계획요소의 중요도를 평가한 결과, 교통수요관리형은 교통(52.7%), 토지이용(25.6%), 도시설계(13.7%), 사회문화(8.0%) 순으로, 지역활성화추진형은 토지이용(36.1%), 교통(30.6%), 도시 설계(17.7%), 사회문화(15.6%) 순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조성목적별로 세부계획요소의 중요도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중교통전용지구의 조성목적을 구분할 필요가 있음을 뒷받침하며, 다양한 계획요소의 반영을 위해서는 교통부문 단독계획이 아닌 타 계획과의 연계가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또한 승용차 접근성이 배제요인이 아닌 선택요인이라는 것과 사회문화적 특성에 대한 고려도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ssessed the weights of attributes in creating transit malls. The aim of the creation was classified as travel demand management and urban revitalization. The attributes were grouped into four aspects, or 4As: attraction, amenity, accessibility, and activity. These dimensions represen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중교통중심 도시개발은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고밀도·복합적 도시공간구조를 구축하여 통행발생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여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데 목적을 둔다.
  • 대중교통전용지구의 계획요소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반면 TOD의 계획요소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또한, 대중교통전용지구는 TOD 구현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볼 수 있으므로본 연구에서는 TOD의 계획요소에 대한 고찰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중교통전용지구의 계획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현재의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과 관련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보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대중교통전용지구를 조성목적에 따라 교통수요관리형과 지역활성화추진형으로 구분하고 계획요소를 도출한다.
  • 본 연구의 첫 번째 의의는 대중교통전용지구의 조성 목적을 교통수요관리형과 지역활성화추진형으로 구분하고 조성목적에 따른 계획요소의 중요도 차이를 확인한 것이다. 둘째, TOD의 3Ds나 5Ds와 대별되는 개념으로 대중교통전용지구의 계획요소를 4As로 제시하였다.
  • 지역활성화추진형은 기존 도시에서는 지역상권 활성화를, 신도시에서는 중심상업지역의 체계적인 조성이 주요 목표가 된다. 이러한 구분을 통해 교통수요관리형과 지역활성화추진형의 조성목적을 명확히 하고 계획요소의 상대적 중요도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전용지구를 교통수요관리형과 지역활성화추진형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교통수요관리형은 교통수요 저감, 대중교통 이용 제고 등과 같은 교통관리 측면의 효과를 주요 목적으로 하는 대중교통전용지구로 정의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중교통중심 도시개발의 목적은 무엇인가? 1990년대 이후 국내외 학계에서 대중교통중심 도시 개발(Transit Oriented Development : TOD)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확대되어 왔다. 대중교통중심 도시개발은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고밀도․복합적 도시공간구조를 구축하여 통행발생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여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데 목적을 둔다.
대중교통전용지구란 무엇인가? 정부는 대중교통중심 도시개발의 일환으로 대중교통전용지구의 조성을 유도하고 있다. 대중교통전용지구란 승용차를 포함한 일반 차량의 전용지구 내 진입을 억제하고 버스와 노면전차와 같은 대중교통수단만 통과하도록 하는 지구(MLTM, 2011a)로서,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폭을 축소하여 대중교통수단이 이용하는 차로 이외의 공간은 친환경적이며 쾌적한 보행로를 조성하여 대중 교통 이용과 보행통행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지정하는 지구(MLTM, 2011b)를 말한다.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이 반드시 해당 지역의 활성화로 연결되지는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이 반드시 해당 지역의 활성화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현행 대중교통전용지구의 조성목적은 근본적으로 교통수요관리에 있어, 도심 재생이나 지역 활성화로 연결되기도 하나 때로는 이와 상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대구 중앙로 대중교통전용지구의 사례에서도 이러한 특성이 나타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ervero R., Kockelman K. (1997), Travel Demand and the 3Ds; Density, Divesity, and Design, Transportation Research: D, 2(3), 119-219. 

  2. Cho K. M., Cho Y. T. (2011), Analysis of Planning Factors for Transit-Oriented Development, J.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4(3), 307-325. 

  3. Ewing R., Cervero R. (2010), Travel and the Built Environment -A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6(3), 265-294 

  4. Han S. J., Park J. S., Jung Y. J. (2005), Prioritization of ASEAN Highway Development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J. Korean Soc. Transp., 23(1),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55-66. 

  5. Ko J. H., Yi C. (2012), Introducing Transit Malls in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44-46. 

  6.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a), 2nd Public Transport Master Plan(2012-2016), Gyeonggi-do, Korea. 

  7.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b), Design and Operation Guideline of Transit Mall, Gyeonggi-do, Korea. 

  8. Oh E. Y., Jeong B. H. (201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Major Factors to Apply TOD using Structureal Equation Modeling (SEM), J.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5(4), 31-56. 

  9. Park S. H., Park E. G., Cho N. G., Lee W. G., Lee J. H. (2008), Integrative Approaches of Urban Planning and Transportation Planning towards Transit-oriented Urban Structur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10. Ryu Y. G., Lee S. Y. (2010), A Study on the Appraisal and Early Settlement of Joongang-ro Transit Mall, Daegu Gyeongbuk Development Institute, 37-85. 

  11. Seo M. H., Kim S. Y. (2011),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ing Elements of urban Form and Travel Behavior Characteristics -Focus on Planning Policy for the Green City by Size and Locations-, J. Korea Planners Association, 46(4), 223-244. 

  12. Shim A. R., Kang J. M. (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asure for Transit Mall Plan Element by Applying the District Unit Plan Design Elements of Environment maintenance-type in Existing Commercial Area, 2013 Spring Conferenc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335-342. 

  13. Sung H. G., Park J. H., Kim D. J. (2007), Impact Analyses of Transit-Oriented Development and Revising Current Transportation and Urban Planning Laws for its Application in Korea, Korea Transportation Institut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