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1, 2013년, pp.5508 - 5513
This paper seek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WLFP on fertility in Korea using the 1985~2010 Korean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1% Sample data. The results show that except in year 1985(+0.336) WLFP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fertility rates in years 1990, 2000, 2005, 2010. The 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우리나라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의 원인은 무엇인가? | 우리나라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의 원인으로는 정부의 가족계획사업 및 인구정책, 사회경제발전에 따른 여성의 노동시장참여 확대와 육아 및 교육비용 상승, 영아사망률급감, 적은 자녀 선호로의 가치관 변화 등이 거론되고 있다[2]. | |
OECD 국가 대비 우리나라의 2012년 출산률은 어디에 해당하는가? | 우리나라는 2012년 기준 합계출산율 1.30명으로 OECD 국가들과 비교할 때 가장 낮은 수준으로 “초저출산율”(lowest low fertility)에 해당한다[1]. | |
우리나라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의 대응책으로 추진 및 시행된 것은 무엇인가? | 우리나라 저출산 대응정책은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에 의해 추진되고 있으며, 2011년부터 제2차 계획(새로마지 플랜 2011~ 2015)이 시행되고 있다. |
OECD (2011), Factbook(2011)
Ryu, Deokhyeon, "Fertility Decline and Female Labor Supply in Korea", Public Economy, No. 12, 1, pp. 39-74, 2006.
Ahn, Namkee, and Pedro Mira, "A note on the changing relationship between fertility and female employment rates in developed countries.",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15.4: 667-682, 2002. DOI: http://dx.doi.org/10.1007/s001480100078
STATA, STATA 11 base reference manual, 2009.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Statistical Yearbook Unemployment Insurance, 2010.
Lee, Samsik, "Causes of Low Fertility and Future Policy Options in Kore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06. 1., 2006.
KDI, "In-depth Evaluation on Fertility Policy", Unpublished, 2012.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