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기반 전문심장소생술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on the Knowledge and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1, 2013년, pp.5819 - 5826  

신승화 (안동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권말숙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  권상민 (계명대학교 평생교육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미국심장협회 ACLS provider course의 시뮬레이션기반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D대학 졸업학년 간호학생 22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뮬레이션기반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을 받은 후 교육 전보다 간호학생의 지식 및 수행능력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졌다. 결론: 시뮬레이션기반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은 간호학생의 지식 및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검증하였으므로 간호학생 대상의 표준화된 응급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에 다양한 학습방법을 적용한 후 비교분석하는 후속연구와 지식 및 수행능력 지속성 연구와 같은 종적연구를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on the knowledge and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Method: The subjects were 22 nursing students, who ungraduated D university.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AHA ACLS provider course의 시뮬레이션 기반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실험연구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미국심장 협회 ACLS provider course를 적용하고 그 시뮬레이션기반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기반 전문심장소생술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실험설계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기반 전문심장소생술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기반 전문심장소생술 교육인 미국심장협회(AHA) 전문심장소생술(ACLS) 교육과정을 국내에서 최초로 간호학생에게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간호학생의 응급상황에서의 대처능력과 전문심장소생술 수행능력 향상에 효율적인 교육방법 임을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2. 시뮬레이션기반 전문심장소생술교육을 받은후 교육 전보다 간호학생의 수행능력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 가설 1. 시뮬레이션기반 전문심장소생술교육을 받은후 교육 전보다 간호학생의 지식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뮬레이션기반 전문심장소생술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시뮬레이션기반 전문심장소생술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둘째, 시뮬레이션기반 전문심장소생술교육이 간호학생의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간호사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임상에서 심정지 환자를 처음 목격하는 사람이 대부분 간호사이고 최초 심정지 리듬의 인식 또는 환자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세동이 필요한 리듬을 인지하는 것은 간호사의 중요한 역할이다. 그러나 제세동은 의사가 수행해야 한다는 고정된 인식과 환자에게 손상을 입힐 것 같은 두려움 또는 자신감 부족, 그리고 제세동 시행에 대한 의사결정능력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해 간호사가 직접 제세동을 시행하는 것이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간호사가 직접 제세동을 시행하는 것이 어려웠던 이유는? 임상에서 심정지 환자를 처음 목격하는 사람이 대부분 간호사이고 최초 심정지 리듬의 인식 또는 환자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세동이 필요한 리듬을 인지하는 것은 간호사의 중요한 역할이다. 그러나 제세동은 의사가 수행해야 한다는 고정된 인식과 환자에게 손상을 입힐 것 같은 두려움 또는 자신감 부족, 그리고 제세동 시행에 대한 의사결정능력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해 간호사가 직접 제세동을 시행하는 것이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제세동은 전통적으로 의사가 수행하여 왔으나 초기 제세동이 중요해지면서 외국의 경우, 병원에서 최초 심폐소생술 수행자인 간호사의 제세동 수행이 권고되고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T. Dwyer, L. M. Williams, W. K. Mummery, Nurse-initiated defibrillation?. Nursing in Critical care, 12(6), pp. 270-277, 2007. DOI: http://dx.doi.org/10.1111/j.1478-5153.2007.00236.x 

  2. M. Makinen, L. Niemi-Murola, M. Kaila, M. Castren, Nurses' attitudes towards resuscitation and national resuscitation guidelines: Nurses hesitate to start CPR-D. Resuscitation, 80, pp. 1399-1404, 2009. DOI: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09.08.025 

  3. B. S. Abella,, J. P. Alvarado, H. Myklebust, D. P. Edelson, A. Barry, N. O'Hearn, T. L. Vanden Hoek, L. B. Becker, Qualit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uring in-hospital cardiac arrest.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3(3), pp. 305-310, 2005. DOI: http://dx.doi.org/10.1001/jama.293.3.305 

  4. M. S. Kwon,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BLS programs using a simulators. Capacity-Building of the Daegu Science University, 2009.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Medical Center,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public CPR guidelines, 2011. 

  6.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CLS Committee. 2012 KACPR-AHA ACLS Program Administration Manual and Quality Assurance Guidance book, 2012. 

  7. R. Hamilton. Nurses' knowledge and skill retention follow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Adv Nurs, 51(3), pp. 288-297, 2005. DOI: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5.03491.x 

  8. C. F. Medley, C. Horne, Using simulation technology for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4(1), pp. 31-34, 2005. 

  9. W. F. Bond, L. Spillane, The use of simulation for emergency medicine resident assessment. Academic Emergency Medicine, 9(11), pp. 1295-1299, 2002. DOI: http://dx.doi.org/10.1197/aemj.9.11.1295 

  10. S. B. Issenberg, S. Pringle, R. M. Harden, S. Khogali, M. S. Gordon, Adoption and integration of simulation-based learning technologies into the curriculum of a UK undergraduate education programme. Medical Education, 37(suppl.1), pp. 42-49, 2003. DOI: http://dx.doi.org/10.1046/j.1365-2923.37.s1.10.x 

  11. T. Monhan, Simulation workshop in changi general hospital. Laerdal, pp. 8-9, 2002. 

  12. W. M. Nehring, F. R. Lashley, Human patient simulators in nursing education: International survey.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5, pp. 244-248, 2004. 

  13. T. A. Hoadley, Learning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A comparison study of the effects of low-and high-fidelity simula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0(2), pp. 91-95, 2009. 

  14. H. C. Miotto, B. R. Couto, E. M. Goutart, C. F. Amaral, M. C. Moreira,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course: Live actors do not improve training results compared with conventional manikins. Resuscitation, 76, pp. 244-248, 2008. DOI: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07.07.031 

  15. D. L. Rogers, F. Bhanji, B. R. McKee, Written evaluation is not a predictor for skills performance in an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course. Resuscitation, 81, pp. 453-456, 2010. DOI: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09.12.018 

  16. C. Y. Back, Effects of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simulation-based training on nurses' competence in critical care setting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6. 

  17. http://endic.naver.com (accessed Sep., 10, 2013) 

  18. P. R. Jeffries, A framework for designing, implementating, and evaluating simulations used as teaching strategies in nurs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6, pp. 96-103, 2005. 

  19. J. D. Brannan, A. White, J. L. Bezanson, Simulator effects on cognitive skills and confidence level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7(11), pp. 495-500, 2008. DOI: http://dx.doi.org/10.3928/01484834-20081101-01 

  20. C. Passali, I. Pantazopoulos,,I. Dontas, A. Patsaki, D. Barouxis, G. Troupis, T. Xanthos, Evaluation of nurses' and doctors' knowledge of basic & advanced life support resuscitation guideline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11, pp. 365-369, 2011. DOI: http://dx.doi.org/10.1016/j.nepr.2011.03.010 

  21. S. J. Chang, E. O. Kwon, Y. O. Kwon, H. K Kwon, The effects of simulation training for new graduate critical care nurses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ability of emergency situations at intensive care uni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Adult Nursing, 22(4), pp. 375-383, 2010. 

  22. Y. H. Kim, K. S. Jang, Effect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ardio pulmonary emergency care knowledg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n new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41(2), pp. 245-255, 2011.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1.41.2.245 

  23. A. D. Hendrickse, A. M. Ellis, R. W. Morris, Use of simulation technology in Australian defence force resuscitation training. Journal of the Royal Army Medical Corps, 147(2), pp. 173-178, 2001. DOI: http://dx.doi.org/10.1136/jramc-147-02-11 

  24. L. E. Davis, T. D. Storjohann, J. J. Spiegel, K. M. Beiber, J. F. Barletta, Instructional design and assessment: High-fidelity simulation for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training.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77(3), pp. 1-7, 2013. DOI: http://dx.doi.org/10.5688/ajpe77359 

  25. S. K. Jung, S. D. Shin, G. J. Suh, E. Y. Rue, The effects of CPR training in medical simulation.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Emergency Medicine, 92, 2005. 

  26. K. K. Smith, D. Gilcreast, K. Pierce, Evaluation of staff's retention of ACLS and BLS skills. Resuscitation, 78, pp. 59-65, 2008. DOI: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08.02.007 

  27. D. B. Wayne, J. Butter, V. J. Siddall, M. J. Fudala, L. A., Linquist, J. Feinglass, L. D. Wade, W. C. McGaghie, Simulation-based training of internal medicine residents in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protocols: A randomized trial.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An International Journal, 17(3), pp. 210-216, 2005. DOI: http://dx.doi.org/10.1207/s15328015tlm1703_3 

  28. G. Alinier, W. B. Hunt, R. Gordon, Determining the value of simulation in nurse education: Study design and initial result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4, pp. 200-207, 2004. DOI: http://dx.doi.org/10.1016/S1471-5953(03)00066-0 

  29. J. Nyman, M. Sihvon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kills in Nurses and nursing students. Resuscitation, 47, pp. 179-184, 2000. DOI: http://dx.doi.org/10.1016/S0300-9572(00)0022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