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두청국장분말, 약콩청국장분말, 그리고 흑미, 흑임자, 다시마와 같은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분말의 일반성분과 영양소 및 항산화 물질을 분석 비교하여 향후 알츠하이머성 치매관리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블랙푸드가 첨가된 청국장분말의 in vivo 실험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두와 약콩청국장에 비해서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에서 수분함량이 높았으며, 유리당sucrose, fructose, glucose, maltose 함량이 높았다. 또한 수용성과 조단백질 함량은 P<0.05 수준에서 약콩청국장과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에서 높았다. 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대두청국장에 비해서 약콩청국장과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에서 높았다. 무기질 함량은 대두청국장이 가장 높았으나 약콩청국장에서는 Zn, Cr, Mn이,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에서는 Fe의 함량이 높았다. Isoflavone 중 diadzein 함량은 약콩청국장에서 가장 높았으나, genistein과 anthocyanin 함량은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에서 가장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및 영양적 특성에서 대두청국장에 비해서 블랙푸드로 만든 청국장분말이 유리당과 뇌조직의 구성과 기능에 필요한 수용성 및 단백질 함량과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항산화력으로 보고되고 있는 diadzein, genistein 그리고 anthocyanin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향후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원인 및 치료기전으로 보고되고 있는 산화적 스트레스조절에 대한 in vivo 실험에 블랙푸드청국장분말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alysis of nutrition and antioxidants of soybean Chungkukjang powder (SCP), Yak-Kong Chungkukjang powder (YCP) and Yak-Kong Chungkukjang powder added black foods (YCBP) for the management of Alzheimer's disease. The water content of YCBP was higher th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두청국장분말, 약콩청국장분말, 그리고 흑미, 흑임자, 다시마와 같은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분말의 일반성분과 영양소 및 항산화 물질을 분석・비교하여 향후 알츠하이머성 치매관리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블랙푸드가 첨가된 청국장분말의 in vivo 실험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두와 약콩청국장에 비해서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에서 수분함량이 높았으며, 유리당 중 sucrose, fructose, glucose, maltose 함량이 높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두청국장, 약콩청국장 그리고 흑미, 흑임자, 다시마와 같은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분말의 영양소 및 항산화물질을 분석·비교하여 산화적 손상에 의한 알츠하이머성 노인 치매관리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하여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분말을 동물 및 임상연구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4)NS: not significa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국장은 어떤 효능이 있는가? 또한 대두가 가지고 있는 항산화 물질 이외에 caffeic acid와 ferulic acid와 같은 유리 phenolic acid 등과 비타민 B1과 비타민 K2와 같은 영양소 함량이 청국장에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이러한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이나 기능이 대두보다 뛰어나 동맥경화, 심장병, 당뇨병, 노인성 치매, 유방암이나 대장암 등 만성퇴행성질환이나 노화에 대하여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발표되었다(8,12).
대두 속에 있는 항산화 물질은 어떤 것이 있는가? Phytochemicals 함유식품 중에서 두류는 필수아미노산과 필수지방산, 식이섬유와 올리고당, 칼슘, 철분, 아연, 그리고 비타민 E와 같은 주요 영양성분 공급원으로서 식사의 영양균형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식품이다(7). 또한 대두 속의 chlorogenic acid, iso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isoflavones, phenolic acids, tocopherols, phytic acids, 아미노산, peptides, aromatic amines와 같은 함질소 화합물, 인지질, saponins 등의 항산화 물질에 대한 기능성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8). 특히 생체 내 유해한 활성산소를 제거하는데 탁월한 항산화력을 보이는 genistein은 유방암과 생식기암에 대한 항암효과를 보였다(8,9).
폐경 후 여성에게 6개월동안 대두의 isoflavone을 섭취시킨 결과 어떤 효과를 얻을 수 있었는가? 특히 생체 내 유해한 활성산소를 제거하는데 탁월한 항산화력을 보이는 genistein은 유방암과 생식기암에 대한 항암효과를 보였다(8,9). 이외에도 Soy and Postmenopausal Health in Aging(SPOHIA) 연구에서 폐경 후 여성에게 6개월 동안 대두의 isoflavone을 섭취시킨 결과 위약군에 비해서 인지기능이 증가되었다(9). 그리고 한방에서는 해독능력이 탁월하며 노인성 치매예방 및 신장에 좋다고 알려진 쥐눈이콩(Rhynchosia Molubilis) 혹은 약콩(Yak-Kong)으로 불리는 검은콩의 검은색소인 anthocyanin은 genistein에 비해 항산화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Kong ES, Park SH, Shin DJ, Hur YR, Han OS, Huh NY. 2004. The classification of higher risk dementia types through the test of apolipoprotein E polymorphism among healthy rural population. Korean J Research Gerontology 13: 5-22. 

  2. Kim JS, Jeong IS, Kim YJ, Hwang SK, Choi BC. 2003. Screening for high risk population of dementia and development of the preventive program using Web. J Korean Acad Nurs 33: 236-245. 

  3. Mecocci P, MacGarvey U, Kaufman AE, Koontz D, Shoffner JM, Wallace DC, Beal MF. 1993. Oxidative damage to mitochondrial DNA shows marked age-dependent increases in human brain. Ann Neur 34: 609-616. 

  4. Coyle JT, Puttfarcken P. 1993. Oxidative stress, glutamates, an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Science 262: 689-695. 

  5. Marcus DI, Strafaci JA, Freedman ML. 2006. Differential neuronal expression of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in Alzheimer's disease. Med Sci Monit 12: 8-14. 

  6. Tarkowski E, Ringqvist A, Blennow K, Wallin A, Wennmalm A. 2000. Intrathecal release of nitric oxide in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dementia. Dement Geriatr Cogn Disord 11: 322-326. 

  7. Park TG. 2004. The media and phytochemicals. Symposium of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Seoul, Korea. December 16. p 47-54. 

  8. Kim SH, Yang JL, Song YS. 1999. Physiological functions of Chongkukjang. Food Industry and Nutrition 4(2): 40-46. 

  9. Oh JG. 2003. The news of Korean Society: Soybean milk. J Korean Soybean Society 196: 2-7. 

  10. Bae EA, Moom GS. 1997.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soybea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203-208. 

  11. Lee JO, Ha SD, Kim AJ, Yuh CS, Bang IS, Park SH. 2005. Industrial application and physiological functions of Chongkukjang. Food Science and Industry 38(2): 69-78. 

  12. Roghani M, Vaez Mahdavi MR, Jalali-Nadoushan MR, Baluchnejadmojarad T, Naderi G, Roghani-Dehkordi F, Taghi Joghataei M, Kord M. 2013. Chronic administration of daidzein, a soybean isoflavone, improves endothelial dysfunction and attenuates oxidative stres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Phytother Res 27: 112-117. 

  13. Rao Q, Labuza TP. 2012. Effect of moisture content on select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wo commercial hen egg white powers. Food Chem 132: 373-384. 

  14.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210-219. 

  15. Nelson N. 1994. A photometric adaptation of the somogyi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glucose. J Biol Chem 153:375-380. 

  16. Palmer JK, Brandes WB. 1974. Determination of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by liquid chromatography. J Agric Food Chem 22: 709-712. 

  17. Lowry OH, Rosebrough NJ, Fair AL, Randal R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18. Folch J, Lees M, Sloane 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e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19. Yun SI, Choi WJ, Choi YD, Lee SH, Yoo SH, Lee EH, Ro HM. 2003.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soils of Shihwa tidal freshwater marshes. Korean J Ecol 26: 65-70. 

  20. Lee MH, Park YH, Oh HS, Kwak TS. 2002. Isoflavone content in soybean and its processed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365-369. 

  21. So EH, Kuh JH, Park KY, Lee YH. 2001. Varietal difference of isoflavone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in soybean. Korean J Breed 33: 35-39. 

  22. Park YE, Cho JH, Cho HM, Yi JY, Seo HW, Choung MG. 2009. A new potato cultivar "Hongyoung", with red skin and flesh color, and high concentrations of anthocyanins. Korean J Breed Sci 41: 502-506. 

  23. Fuleki T, Francis FJ. 1968. Quantitative methods for anthocyanins. 2. Determination of total anthocyanin and degradation index for cranberry juice. J Food Sci 33: 78-82. 

  24. Kim JS, Yoo SM, Choe JS, Park HJ, Hong SP, Chang CM. 1998.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chonggugjang produced in different regions. Agric Chem Biotechnol 41: 377-383. 

  25. Jung YK, Lee YK, No HK, Kim SD. 2006. Effect of sea tangle on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bukjang. Korean J Food Preserv 13: 95-101. 

  26. Jang JO. 2007. Quality properties of madeleine added with black bean chungkukjang flou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840-845. 

  27. Lee KA.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stella with Chungkukjang.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244-249. 

  28. Hong JY, Kim EJ, Shin SR, Kim TW, Lee IJ, Yoon KY.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eonggukjang containing Korean red ginseng and Rubus coreanum. Korean J Food Preserv 15: 872-877. 

  29. Sa JH, Shin IC, Jeong KJ, Shim TH, Oh HS, Kim YJ, Cheung EH, Kim GG, Choi DS. 2003. Antioi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from different organs of small black soybean (Yak-Kong) grown in the area of Jungsun.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309-315. 

  30. Yoo SM, Chang CM. 1999. Study on the processing adaptability of soybean cultivars for Korean traditional chungkukjang preparation.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91-98. 

  31. Coward L, Barnes NC, Setchell KDR, Barnes S. 2003. Genistein, daidzein, and their $\beta$ -glucoside conjugates: antitumor isoflavones in soybean foods from American and Asian diets. J Agric Food Chem 41: 1961-1967. 

  32. Hur HG, Lay JO Jr, Berger RD, Freeman JP, Rafii F. 2000. Isolation of human intestinal bacteria metabolizing the natural isoflavone glycosides daidzin and genistin. Arch Microbiol 174: 422-428. 

  33. Lim AK, Jung MJ, Kim DW, Hong JH, Jung HK, Kim KS, Kim YH, Kim DI. 2009. An extrapolation concentration decision effect antihyperlipidemic of aglycone isoflavone from biotransferation soybean on the fed high-fat diet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167-1173. 

  34. Choi YB, Sohn HS. 1998. Isoflavone content in Korean fermented and unfermented soybea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745-750. 

  35. Kwak CS, Kim MY, Kim SA, Lee MS. 2006. Cytotoxicity of human cancer cells and antitumorigenesis of Chungkookjang, a fermented soybean product, in DMBA-treated rats. Korean J Nutr 39: 347-356. 

  36. Gaur A. 2010. Ameliorating effects of genestein: Study on mice liver glutathione and lipid peroxidation after irradiation. Int J Radiat Res 7: 187-199. 

  37. Song Y, Yu GP, Dou C, Wu H, Gong Z. 2013. Anti-oxidant activity of anthocyanins of black soybean in vitro. Adv Mater Res 634-638: 1423-1428. 

  38. Tsuda T, Shiga K, Ohshima K, Kawakishi S, Osawa T. 1996.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the active oxygen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anthocyanin pigments isolated from Phaseolus vulgaris L. Biochem Pharmacol 52: 1033-1039. 

  39. Choung MG, Baek IY, Kang ST, Han WY, Shin DC, Moon HP, Kang KH. 2001. Isolation and determination of anthocyanins in seed coats of black soybean (Glycine max (L.) Merr.). J Agric Food Chem 49: 5848-5851. 

  40. Kim SH, Kwon TW, Lee YS, Choung MG, Moon GS. 2005. A major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in black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3-77. 

  41. Son JH, Choung MG, Choi HJ, Jang UB, Son GM, Byun MW, Choi C. 2001. Physiological effect of Korean black soybean pig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764-7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