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산 황금콩, 약콩 및 흑태의 일반성분과 기능성 성분 분석
Functional and Chemical Composition of Hwanggumkong, Yakong and Huktae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1 no.6 = no.90, 2005년, pp.844 - 849  

김민정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김강성'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산 대두 품종 황금콩, 약콩, 흑태에 대하여 일반 성분, 지방산조성, 아미노산. isoflavone, 대두올리고당. phytic acid 함량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 10.9-$12.5\%$, 조단백질 36.5-$41.1\%$, 조지방 15.8-$20.8\%$회분 5.4-$5.6\%$의 범위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지방질의 지방산은 시료 콩 모두에서 linoleic acid이 가장 많았으며, oleic acid, palmitic acid 순으로 이들 세 지방산이 $80\%$이상을 차지하였다. 콩의 주요 아미노산인 Iysine 함량은 황금콩(56.5 mg/g protein)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그 다음 흑태가 55.2 mg/g protein였고, 약콩은 48.2 mg/g protein을 함유하였다. 콩에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은 methionine인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cysteine, histidine 순으로 적게 나타났다. 시료의 isoflavone 함량($\mu$g/g soybean)은, 약콩(2491.4), 황금콩(2176.8) 그리고 흑태(1893.5)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올리고당 함량은 12.2-$16.1\%$로 약콩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대두의 phytic acid 함량도 황금콩 $2.63\%$, 약콩 $2.12\%$, 흑태 $2.80\%$로 품종간에 큰 차이를 나태내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emical composition of isoflavone, oligosaccharide and phytic acid content of three Korean soybeans, Hwanggumkong, Yakkong and Huktae cultivars, were examined. Moisture, crude fat, crude protein and ash content of soybean seeds were all in the ranges of 10.9-$12.5\%$, 15.8-$20.8...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시료를 분쇄하여 건조시킨 0.1 g을 정확히 칭량하여 0.1% acetic acid를 포함한 70% ethanol 수용액 0.5 mL을 가하여 교반한 후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하여 추출하였다. 이것을 원심분리(12, 500 rpm, 5 min) 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membrane filter(0.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콩 중에서 옛부터 약리 효과가 탁월하다고 알려진 껍질이 검은색의 콩인 약콩 과 흑태의 일반성분을 일반 메주콩인 황금콩과 비교하였으며, 또 생리활성 물질 중 isoflavone, oligosaccharides, phytic acid의 함량을 평가해 보았다.
  • 8×42 cm)에서 중성지방질은 chloroform, 당 지방질은 acetone, 인지방질은 methanol로 용출하였다. 분획한 지 방질 을 methylation 하여 gas chromatography (HP5890, Hewlett Packard, USA)를 사용하여 capillary column인 fused silica column(Supelcowax-10, 30 m×0.2 mm, Supelco, USA)으로 분리한 후 FID detector로 검출하였고,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였다.
  • 아미노산 조성은 60-70 mesh가 되도록 분쇄한 콩 분말을 6N-HCl로 가수분해시켜 AccQ-Tag(1993) 방법으로 유도체화시킨 다음 아미노산을 HPLC로 분석하였다. 이때 columne Nova-Pak C18 column(3.
  • 5 mL을 가하여 교반한 후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하여 추출하였다. 이것을 원심분리(12, 500 rpm, 5 min) 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membrane filter(0.45 ㎛, Whatman, Germany)로 여과하여 HPLC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JASCO사의 HPLC system을 이용하였으며 columne ODS계열의 YMC303 (4.6×250 mm)을 사용하였고, 이동상으로 0.1% acetic acid 를 함유한 water 와 0.1% acetic acid 를 함유한 acetonitrile을 사용하여 linear gradient 방법으로 분리하였다. UV detector 254 nm에서 측정하였고 flow rate는 1.
  • 6×250 mm, Kromasil, Sweden)을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acetonitrile과 water를 70:30비로 혼합한 단일 용매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속은 2.
  • 조지방 함량은 Soxhlet 추출법, 회분은 직접 회화법으로 측정하였다. 탄수화물 함량은 100에서 수분함량, 조단백 함량, 조지방 함량, 회분 함량을 뺀 값을 사용하였다. 각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얻은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 사용한 콩은 2002년 9월에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에서 수확된 콩을 제공받아 사용하였으며, 국내산 약콩과 흑태는 군자농업협동조합에서 제공받아 4℃ 냉장보관하여 사용하였다.
  • 45 ㎛, Whatman, Germany)로 여 과하여 HPLC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분석 조건은 JASCO 사의HPLC system을 이용하였으며 columne KR100-10NH2(4.6×250 mm, Kromasil, Sweden)을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acetonitrile과 water를 70:30비로 혼합한 단일 용매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0 mL/min 이었다. 표준물질은 daidzein 등 12종을 Sigma(USA), Fujicco(Japan) 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3회 반복 측정하였다.

데이터처리

  • 탄수화물 함량은 100에서 수분함량, 조단백 함량, 조지방 함량, 회분 함량을 뺀 값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얻은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 9×150 mm, Millipore, USA), 검출기는 fluorescence detecto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실험은 2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 이동상은 acetonitrile과 water를 70:30비로 혼합한 단일 용매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속은 2.0 mL/min으로 조절하였고, injection volumee 20 μL였으며, RI 930 detector (Jasco, Japan)로 분석하였으며 3회 반복 측정결과에서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이론/모형

  • Phytic acid 의 함량 측정을 위한 시료의 제조는 Hartland와 Oberlass(1997) 에 의한 이온교환수지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phytic acid 함량은 Latta와 Ersknin(1990)에 의한 비색법으로 3회 반복 측정하였다.
  • 이소플라본은 Wang G 등(1990)의 방법을 개선하여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시료를 분쇄하여 건조시킨 0.
  • 일반성분 분석은 AOAC법(2000)에 의하여 수분은 상압가열건조법, 조단백 함량은 micro-Kjeldahl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질소계수 6.25를 사용하여 환산하였다. 조지방 함량은 Soxhlet 추출법, 회분은 직접 회화법으로 측정하였다.
  • 25를 사용하여 환산하였다. 조지방 함량은 Soxhlet 추출법, 회분은 직접 회화법으로 측정하였다. 탄수화물 함량은 100에서 수분함량, 조단백 함량, 조지방 함량, 회분 함량을 뺀 값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derson RL, Wolf WJ. 1995. Compositional changes in trypsin inhibitors, phytic acid, saponins and isoflavones related to soybean J Nutr 25:581-588 

  2. AOAC. 2000. The Scientific Association Dedicated to Analytical Excellence. Washington DC. U.S.A. pp 17-24 

  3. Chang KC, Chang DC, Phatac L. 1989. Effect of germination on oligosaccharides and nonstarch polysaccharides in navy and pintobeans. J Food Sci 54:1615-1619 

  4. Egounlety M, Aworh OC. 2003. Effect of soaking, dehuling, cooking and fermentation with Rhizopus oligosporus on the oligosaccharides, trypsin inhibitor, phytic acid and tannins of soybean, cowpea and groundbean. J Food Engineering 249-254 

  5. Hartland BF, Oberleas DC. 1977. A modified method for phytate analyses using an ion-exchange procedure. Application to textured vegetable protein. Cereal Chem 54:827-832 

  6. Hawrylewicz EJ, Zapata JJ, Blair WH. 1995. Soy and experimental cancer: Animal studies. J Nutr 125: 698-708 

  7. Kennedy AR. 1995. The evidence for soybean products as cancer preventive agents. J Nutr 125:733-743 

  8. Kim JS. 1996. Current research trends on bioactive function of soybean. Korean Soybean Digest 13:17-24 

  9. Kim KS, Kim MJ, Park JS, Sohn HS, Kwon DY. 2003. Compositions of functional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n soybeans. Food Sci Biotechnol 12:157-160 

  10. Kim YH. 2003. Biological activities of soyasaponins and their genetic and environmental variations in soybean. Korean J Crop Sci 48: 9-57 

  11. Klein BP, Perry AK, Adair N. 1995. Incorporating soy proteins into barked products for use in clinical studies. J Nutr 125: 666-674 

  12. Kuo TM, Van Middlesworth JF, Wolf WJ. 1988. Content of raffinose, oligosaccharides and sucrose in various plant seeds. J Agric Food Chem 36:32-36 

  13. Kwoon HJ. 1999. Bioactive compound of soybean and their activity in angiogenesis regulation. Korean Soybean Digest 16:63-68 

  14. Latta M, Eskin M. 1990. A simple and rapid colorimetric method for phytate determination. J.Agric Food Chem 28:1313-1315 

  15. Lee YB, Lee HJ, Kim CH, Lee SB, Sohn HS. 2005. Soy isoflavones and soyasaponins: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s. Agric Chem Biotechnol 48:49-57 

  16. Lee YB, Lee HJ, Kim KS, Lee JY, Nam SY, Cheon SH, Sohn HS. 2004. Evaluation of the preventive effect of isoflavone extract on bone loss in ovariectomized rats. Biosci Biotechnol Biochem 68:1040-1045 

  17. Messina MJ, Persky V, Setchell KD, Barnes S. 1994. Soy intake and cancer risk: a review of th in vitro and in vivo data. Nutr Cancer 21:113-131 

  18. Naim M, Gestetner BI, Kirson Y, Bondi A. 1976. Antioxidative and antihemolytic activities of soybean isoflavones. J Agric Food Chem 24:1174-1177 

  19. Peterson G, Barnes S. 1991. Genistein inhibition of the growth of human cancer cell independence from estrogen receptors and the multidrug resistance gene. Biochem Biophys Res Comm 179:661-667 

  20. Ryoo SH, Kim SR, Kim KT, Kim SS. 2004. Isoflavone, phytic acid and oligosaccharide contents of domestic and imported soybean cultivars in Korea. Korean J Food Nutr 17:229-235 

  21. Setchell KR, Cassidy A. 1999. Dietary isoflavone: biological effects and relevance to human health. J Nutr 129:758s-767s 

  22. Shon HS, Lee YS, Shin HC, Chung HK. 2000. Does soybean isoflavone have adverse effects on human? Korean Soybean Digest 17:9-19 

  23. Sirtori CR. 2001. Risks and benefits of soy phytoestrogens in cardiovascular diseases, cancer, climacteric symptoms and osteoporosis. Drug Saf 24:665-682 

  24. Sirtori CR, Lovati MR, Manzoni C, Monetti M, Pazzucconi F, Gatti E. 1995. Soy and cholesterol reduction : Clinical experience. J Nutr 125: 598-605 

  25. Wada K, Watabe J, Mizutani J, Tomoda M, Suzuki H, Saitoh Y. 1992. Effects of soybean oligosaccharide containing beverages on human fecal flora and metabolites. Nippon Nogeikagaku Kaishi 66: 127-135 

  26. Wang G, Kuan SS, Francis OJ, Ware GM Carman AS. 1990. A simplified HPL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ytoestrogens in soybean and its processed products. J Agric Food Chem 38:185-190 

  27. Wang H, Murphy PA. 1994. Isoflavone composition of American and Japanese soybean in Iowa effects of variety, crop year and location. J Agri Food Chem 42:1674-1677 

  28. Waters AccQ-Tag Amino Acid Analysis System. 1993. Operator's Manual, Philadelphia, PA. U.S.A 

  29. Williams CM, Maunder K. 1992. Effect of dietary fatty acid composition on inosito-, choline- and ethanolamine-phospholipids of mammary tissue and erythrocytes in the rat. Br J Nutr 68:183-1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