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젖산 생성능이 우수한 김치 유래 젖산균의 분리 및 두유 발효 특성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Producing Bacteria from Kimchi and Their Fermentation Properties of Soymilk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1, 2013년, pp.1872 - 1877  

이란숙 (한국식품연구원) ,  정경희 (한국식품연구원) ,  최웅규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  조장원 (한국식품연구원) ,  김경임 (혜전대학교 호텔조리외식계열) ,  김영찬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기도 일대의 배추김치로부터 젖산 생성능이 우수한 젖산균주 분리 및 두유 발효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먼저 0.01% bromocresol green이 첨가된 MRS 한천 배지에서 clear zone의 size 측정을 통하여 우수한 젖산 생성능을 갖는 균주를 선발 후 탄수화물 이용성 조사 및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으로 L. plantarum Gk04, Ped. pentosaceus Gk07, L. brevis Gk35 및 L. curvatus Gk36이 동정되었으며 특히 99%의 상동성을 갖는 L. curvatus Gk36을 두유발효를 위한 최종균주로 사용하였다. L. curvatus Gk36과 시판 균주 L. actobacillus에 의한 두유 발효 결과 pH는 L. actobacillus에서 유의적으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균수 및 산도 측정 결과 두 균주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L. curvatus Gk36 균주는 두유발효 등 발효제품 제조를 위한 젖산균 균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ctic acid bacteria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lactic acid producing ability from kimchi,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 Among the initial screening of over 150 strains selected from the sample, 27 strains were selected as lactic acid producing bacteria, and 4 strains were finally sele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유의 영양학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로부터 젖산 발효도와 성장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분리균주 및 시판균주를 이용하여 두유의 발효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경기도 일대의 배추김치로부터 젖산 생성능이 우수한 젖산균주 분리 및 두유 발효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먼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에서 젖산균의 역할은 무엇인가? 젖산균은 오랫동안 산업적으로 이용되어 온 중요한 균주중 하나로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인간의 장내에서 정상균총을 형성하는 그람양성의 구균 또는 간균으로 catalase 음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젖산균은 유가공품과 발효식 품인 김치, 된장, 간장 등에서 풍미를 향상시키고, bacteriocin과 같은 미생물 생육억제물질과 다량의 젖산을 생성하여 식품 내의 부패균 성장을 억제하는 등 식품의 보존성과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6-8). 특히 김치는 배추나 무를 주원료로 마늘, 생강, 고춧가루 등 다양한 향신료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한국 전통의 발효식품으로(9,10), 김치 발효에 관여하는 주발효균인 젖산균은 발효초기에는 Leuconostoc 속이 우세하게 증식하며 발효후기에는 Lactobacillus 속이 왕성하게 증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젖산균이란 무엇인가? 젖산균은 오랫동안 산업적으로 이용되어 온 중요한 균주중 하나로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인간의 장내에서 정상균총을 형성하는 그람양성의 구균 또는 간균으로 catalase 음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젖산균은 유가공품과 발효식 품인 김치, 된장, 간장 등에서 풍미를 향상시키고, bacteriocin과 같은 미생물 생육억제물질과 다량의 젖산을 생성하여 식품 내의 부패균 성장을 억제하는 등 식품의 보존성과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6-8).
L. curvatus의 생육은 배양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 3과 같다. 균체의 생육은 배양 6~15시간에 증가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나 배양 15 시간 이후부터는 증가폭이 둔화되었고, 24시간 이후에는 균의 생장에 변화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Fig. 3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u CC, Hou JW. 2000. Growth of bifidobacteria in soymilk and their survival in the fermented soymilk drink during storage. Int J Food Microbiol 56: 113-121. 

  2. Kano M, Takayanagi T, Harada K, Sawada S, Ishikawa F. 2006. Bioavailability of isoflavones after ingestion of soy beverages in healthy adults. J Nutr 136: 2291-2296. 

  3. Jang JK, Yoon SH. 1997. Preparation of soy yogurt using isolated soybean protein and whey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128-1134. 

  4. Wang YC, Yu RC, Chou CC. 2002. Growth and survival of bifido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during the fermentation and storage of cultured soymilk drinks. Food Microbiol 19: 501-508. 

  5. Wang YC, Yu RC, Chou CC. 2006.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ymilk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a. Food Microbiol 23: 128-135. 

  6. Kim MJ, Kim GR. 2006. In vitro evaluation of cholesterol re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extracted from Kimchi. Korea J Culinary Res 12: 259-268. 

  7. Klaenhammer TR. 1988. Bacteriocins of lactic acid bacteria. Biochimie 70: 337-349. 

  8. Matsumura H, Takeuchi A, Kano Y. 1997. Construction of Escherichia coli-Bifidobacterium logum shuttle vector transforming B. longim 105-A and 108-A. Biosci Biotech Biochem 61: 1211-1212. 

  9. Cheigh HS, Hwang JH. 2000. Antioxidative characteristic of Kimchi.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3): 52-56. 

  10. Park KY, Cheigh HS. 2000.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Bioindustry News 13: 11-17. 

  11. Stamer JR, Stoyla BO, Dunckel BA. 1971. Growth rates and fermentation patterns of lactic acid bacteria associated with sauerkraut fermentation. Milk Food Technol 34: 521-525. 

  12. Felsenstein J. 2002. PHYLIP (phylogeny inference package). version 3.6a. Department of Genetics,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WA, USA. 

  13. AAC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0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Method 02-31. 

  14. Sudirman I, Mathieu F, Michel M, Lefebvre G. 1993. Detection and properties of curvaticin 13, a bacteriocin-like substance produced by Lactobacillus curvatus SB13. Curr Microbiol 27: 35-40. 

  15. Garver KI, Muriana PM. 1994. Purification and partial amino acid sequence of curvaticin FS47, a heat-stable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curvatus FS47. Appl Environ Microb 60: 2191-2195. 

  16. Tichaczek PS, Meyer JN, Nes IF, Vogel RF, Hammes WP. 1992. Characterization of the bacteriocins curvacin A from Lactobacillus curvatus LTH 1174 and sakacin P from Lactobacillus sake LTH673. Syst Appl Microbiol 15: 460-468. 

  17. Ahmadova A, Todorov SD, Hadji-Sfaxi I, Choiset Y, Rabesona H, Messaoudi S, Kuliyev A, de Melo Francoc BDG, Chobert JM, Haertle T. 2013.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Lactobacillus curvatus strain isolated from homemade Azerbaijani cheese. Anaerobe 20: 42-49. 

  18. Kask S, Adamberg K, Orlowski A, Vogensen FK, Moller PL, Ardo Y, Paalme T. 2003. Physiological properties of Lactobacillus paracasei, L. danicus and L. curvatus strains isolated from Estonian semi-hard cheese. Food Res Int 36:1037-1046. 

  19. Mataragas M, Metaxopoulos J, Galiotou M, Drosinos EH. 2003. Influence of pH and temperature on growth and bacteriocin production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L124 and Lactobacillus curvatus L442. Meat Sci 64: 265-271. 

  20. Mital BK, Steinkraus KH, Naylor HB. 1974.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n soymilks. J Food Sci 39: 1018-1022. 

  21. Liu K. 1997. Soybeans: chemistry technology and utilization. Chapman and Hall, New York, NY, USA. p 415-418. 

  22. Donkor ON, Henriksson A, Vasiljevic T, Shah NP. 2005. Probiotic strains as starter cultures improv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in soy yogurt. J Food Sci 70: M375-M381. 

  23. Walstra P, Jenness R. 1984. Dairy chemistry and physic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NY, USA. p 2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