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buchneri의 젖산 생산 특성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Production by Lactobacillus buchneri Isolated from Kimchi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3 no.3, 2015년, pp.286 - 290  

심현수 (강원대학교식품생명공학과) ,  김명동 (강원대학교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국에서 수집한 전통발효 식품으로부터 젖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그 중에서 8점의 Lactobacillus 속 젖산균을 이용하여 젖산생산능을 평가하였다. 자일로스가 50 g/l 첨가된 MRS 배지를 이용하여 호기 또는 혐기배양을 실시한 결과 L. buchneri MBE909로 명명된 균주가 혐기적인 배양조건에서 가장 우수한 젖산생산량을 나타내었다. 혐기적인 조건에서 젖산생산을 위한 L. buchneri MBE909 균주의 최적 배양온도는 37℃이었으며, 초기 자일로스 농도가 50 g/l일때 젖산생산량(22.3 ± 0.3 g/l)이 가장 우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L. buchneri MBE909 균주는 자일로스를 효율적으로 대사하여 젖산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ctic acid is a useful platform chemical for a wide range of food and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pharmaceuticals and cosmetics. Among 313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different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eight Lactobacillus strains effectively utilized xylose as a c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L. buchneri 관련 연구는 신경 전달 물질인 GABA 의 생산[4]과 사료에 균을 직접 첨가하여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것[5]이 주를 이루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서 분리된 L. buchneri 균주를 이용하여 오탄당인 자일로스를 탄소 원으로 이용하여 유용물질인 젖산을 생산하는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L.
  • 본 연구에서는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로부터 젖산 생산 능이 우수한 젖산균을 분리하고 자일로스를 이용한 젖산 생산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SJ, Cayetano RD, Kim TH, Kim JS. 2015. Lactic acid production from hydrolysate of pretreated cellulosic biomass by Lactobacillus rhamnosus. Korean Chem. Eng. Res. 53: 1?5. 

  2. Anzai Y, Kudo Y, Oyaizu H. 1997. The phylogeny of the genera Chryseomonas, Flavimonas, and Pseudomonas supports synonymy of these three genera. Int. J. Syst. Bacteriol. 47: 249?251. 

  3. Cho KH, Cho YK, Hong SS, Lee HS. 1995. Isolation of microorganism with high productivity and cultivation optimization for lactic acid production.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3: 6?11. 

  4. Cho YR, Chang JY, Chang HC. 2007. Production of γ-aminobutyric acid (GABA) by Lactobacillus buchneri isolated from kimchi and its neuroprotective effect on neuronal cells. J. Microbiol. Biotechnol. 17: 104?109. 

  5. Holzer M, Mayrhuber E, Danner H, Braun R. 2003. The role of Lactobacillus buchneri in forage preservation. Trends Biotechnol. 21: 282?287. 

  6. Ilmen M, Koivuranta K, Ruohonen L, Suominen P, Penttila M. 2007. Efficient production of L-lactic acid from xylose by Pichia stipitis. Appl. Environ. Microbiol. 73: 117?123. 

  7. Jang MH, Kim MD. 2011. β-1,4-xylosidase activity of Leuconosto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169?175. 

  8. Kim KA, Kim MG, Jang KL, Jun HK. 2003. Production of L-lactic acid from soluble starch by Enterococcus sp. JA-27. Korean J. Microbial. Biotechnol. 31: 250?256. 

  9. Kim MJ, Oh YA, Kim MH, Kim MK, Kim SD. 1993. Ferment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soaked with L. acidophilus and cleaned materials by ozo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2: 165?174. 

  10. Lee CW, Ko CY, Ha DM. 1992. Microfloral change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isolates.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0: 102?109. 

  11. Lee MK, Park WS, Kang KH. 1996. Selective media for isolation and enume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754?760. 

  12. Park EH, Lee DH, Seo JH, Kim MD. 2011.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lyoxalase I gene from the osmotolerant yeast Candida magnoliae. J. Microbiol. Biotechnol. 21: 277?283. 

  13. Saarela M, Lahteenmaki L, Crittenden R, Salminen S, MattilaSandholm T. 2002. Gut bacteria and health foods-the European perspective. Int. J. Food Microbiol. 78: 99?117. 

  14. Saha BC. 2003. Hemicellulose bioconversion. J. Ind. Microbiol. Biotechnol. 30: 279?291. 

  15. Seo JH, Lee H. 2007. Characteristics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lactic acd bacteria for the potential probiot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681?687. 

  16. So MH, Kim YB. 1995.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sychrotrophi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506?515. 

  17. Tamakawa H, Ikushima S, Yoshida S. 2012. Efficient production of L-lactic acid from xylose by a recombinant Candida utilis strain. J. Biosci. Bioeng. 113: 73?75. 

  18. Tanaka K, Komiyama A, Sonomoto K, Ishizaki A, Hall SJ, Stanbury PF. 2002. Two different pathways for D-xylose metabolism and the effect of xylose concentration on the yield coefficient of L-lactate in mixed-acid fermentation by the lactic acid bacterium Lactococcus lactis IO-1. Appl. Microbiol. Biotechnol. 60: 160?167. 

  19. Taniguchi M, Tokunaga T, Horiuchi K, Hoshino K, Sakai K, Tanaka T. 2004. Production of L-lactic acid from a mixture of xylose and glucose by co-cultiv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Appl. Microbiol. Biotechnol. 66: 160?165. 

  20. Thomas S. 2000. Production of lactic acid from pulp mill solid waste and xylose using Lactobacillus delbrueckii (NRRLB445). Appl. Biochem. Biotechnol. 84-86: 455?468. 

  21. Wang J, Wang Q, Xu Z, Zhang W, Xiang J. 2015. Effect of fermentation conditions on L-lactic acid production from soybean straw hydrolysate. J. Microbiol. Biotechnol. 25: 26?32. 

  22. Yu MH, Im HG, Lm NK, Hwang EY, Choi JH, Lee EJ, et al. 2009. Anti-hypertensive activities of Lactobacillus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428?434. 

  23. Zeng XQ, Pan DD, Guo YX. 2010. The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buchneri P2. J. Appl. Microbiol. 108: 2059?20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