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화기계 문제로 내원한 소아에게 한약투여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rbal Medicine to Treat Digestive System Problem on the Children's Growth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27 no.4, 2013년, pp.50 - 56  

고민정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교실) ,  백정한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교실) ,  김세영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herbal medicine in treating digestive system problem on children's growth. Methods We studied 135 children who visited ${\bigcirc}{\bigcirc}$ oriental medical hospital to treat digestive system problem from March 2010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소화기 증상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약을 투여하여 성장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화기계 문제로 내원한 소아의 한약 투여 전후의 성장을 관찰하여 소화기계 치료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에 저자는 ○○한의원에 소화기계 문제로 내원한 3세에서 13세 사이의 본 연구에서는 소화기계 문제로 내원한 소아의 한약 투여 전후의 성장을 관찰하여 소화기계 치료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에 저자는 ○○한의원에 소화기계 문제로 내원한 3세에서 13세 사이의 한약투여를 받은 소아를 대상으로 신장과 체중을 측정 후 통계적 유의성을 관찰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장의 정의는? 성장은 조직의 생성에 의한 개체 크기의 증가로 정의된다. 이는 유전적인 요인 이외에도 영양, 대사, 내분비 질환을 포함하는 급, 만성 질환 및 사회 경제적 요인, 심리적 요인 등의 다양한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성장장애는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가? 이는 유전적인 요인 이외에도 영양, 대사, 내분비 질환을 포함하는 급, 만성 질환 및 사회 경제적 요인, 심리적 요인 등의 다양한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성장장애는 유전적 소질 또는 골격계의 내인적 결함으로 발생하는 일차성 성장장애와 만성질환 또는 내분비질환에 의한 이차성 성장장애로 나눌 수 있다1) . 일반적으로 성장장애라 함은 키에 있어서 역연령에 비하여 키가 3백분위수 미만인 경우, 더 정확하게는 역연령의 –2.
성장은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성장은 조직의 생성에 의한 개체 크기의 증가로 정의된다. 이는 유전적인 요인 이외에도 영양, 대사, 내분비 질환을 포함하는 급, 만성 질환 및 사회 경제적 요인, 심리적 요인 등의 다양한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성장장애는 유전적 소질 또는 골격계의 내인적 결함으로 발생하는 일차성 성장장애와 만성질환 또는 내분비질환에 의한 이차성 성장장애로 나눌 수 있다1)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n Society of Pediatric Endocrinology. Growth. Pediatric endocrinology. 2nd ed. Korea: Kwangmun Press. 2004:36-56. 

  2. An HS. Hongchangwisoagwahak. Seoul: Daehangyogwaseo Publishing Co. 2007;20-1. 

  3. Rosenfield RG. Disorders of growth Hormone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 secretion and action. In Sperling MA ed. Pediatric Endocrinology. 2002:116-69. 

  4. Hong CW. soagwajinryo. Seoul: Goryeouihak Publishing Co. 2003:880-5. 

  5. Ahn JS, Shin, SW.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the School Adjustment of Socially Bullied Secondary Students. J Koreans Neouropsychiatr Assoc. 2001;40(6):1166-73. 

  6. Yang SW. Management of Children with Short Stature . J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03;18:561-70. 

  7. Lee KH. Growth hormone therapy in short stature children. J Korean Med Assoc. 2008;51(9):849-55. 

  8. Jung JH, Jung GM. Study of Children's Growth in the view of Oriental Medicine. J Korean Orient Pediatr. 1996;10(1):1-15. 

  9. Jang GT, Kim JH. The study of growth disturbance. J Korean Orient Pediatr. 1997;11(1):1-35. 

  10. Jung YH, Kim CH, Yu DY. The study of growth disturbance. J Korean Orient Pediatr. 1999;13(1):17-62. 

  11. Koo BH, Lee TE, Lee BW. Effect of The Herb medicines to Growth and secretion of Growth Hormone in Pigs. J Korean Orient Pediatr. 1998;12 (1):277-87. 

  12. Lim KH, Kim HH. Effects of Herbal Composition on Longitudinal Bone Growth of Adolescent Rats. Korean journal of herbology. 2003;18(3):181 -6. 

  13. Park BM, Soh KS, Jeong CG. Effects of Yukmiziwhangwhan on the Growth of Rats. Kor J Orienatal Preventive Medical Societ. 2003;7(2):23-33. 

  14. Ku EJ, Kim DK. The effects of Boyangsengjang-Tang on the growth of mice and rats. J Korean Orient Pediatr. 2002;16(1):149-70. 

  15. Min SY, Jang GT, Kim JH.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Bojungikgitanggamibang on Growth, Learning and Memory of Rat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5;19(2):434-40. 

  16. Lee DH, Kim DK. The Effects of oriental medical care on Growth Deficiency Children. J Korean Orient Pediatr. 1998;12(1):145-62. 

  17. Park SM. Report of Oriental Medicine growth facter. J Korean Orient Pediatr. 2001;15(1):195-202. 

  18. Jeong HS, Lee H, Lee JY, Kim DK. Clinical Study of Effect to the Height-Growth after the Administration of Boyangsungjangtang to the Prepuberty Children. J Korean Orienl Pediatr. 2001;15(1):47-57. 

  19. Cho HJ, Jung SM, Kim DG, Lee JY. The Effect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on the Growth of Children. J Korean Orient Pediatr. 2004;18 (2):119-26. 

  20. Yu HY, Kim KB, Min SY, Kim JH. Effects to the growth after Administration of Seongjangbojunggeonatang. J Korean Orient Pediatr. 2009;23 (2):103-15. 

  21. Jeong MJ, Gok SY, Lee SY. Pilot Study of Effect to the Growth after the Administration of Herbal Medicine to the Prepuberty Children. J Korean Orient Pediatr. 2008;22(3):25-34. 

  22. Park ES, Lee JY, Kim DG. A study for Satisfaction and Expection of effect on the Growth of Children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J Korean Orient Pediatr. 2010; 24(1):36-45. 

  23. Lee YJ, Baek JH, Ko MJ, Seo JM. Herbal Medicine Promotes Growth of Children. J Korean Orient Pediatr. 2011;25(1):49-62. 

  24. Han KH, Park EJ, Lee HJ. A classificatory study about the tendency of the patient who visited oriental medical hospital for growth treatment. J Korean Orient Pediatr. 2006;20(3):161-9. 

  25. Heo J. Donguibogam. Kyungnam: Donguibogam Publishing Co. 2005;248-52,261-6,274-5,1220-1,1899- 904. 

  26. Seo JM, Lee SG, Hwang SY, Kim SC, Wang HR, Cho SE, Baek JH. Clinical investigation of child dose of herb medicine. J Korean Orient Pediatr. 2006;20(3):33-50. 

  27. Wang BA. Joonguiagwahak. Bookkyoung:Inminwisang Publishing Co. 1983:34-5,176-84,570-88. 

  28. Kim SC, Kim SH, No SH, Park SD, Park SG, Seo BI, Seo YB, Shin MS, Lee SI, Lee JC, Lee CH, Ju YS, Choi HY. Bangjehak. Seoul: Yeong Rim Sa Publishing Co. 2003:270-80,486. 

  29. Hong HS, Lee JY, Kim DG. Analysis of Factors Growth Effects of Boyangsungjang-Tang. J Korean Orient Pediatr. 2012;26(2):62-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