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의 브랜드 이미지 측정 모델 개발 -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Developing Measurement Scale to Measure Service Image for Academic Library Services - Measuring Image as Academic Community Service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7 no.4, 2013년, pp.275 - 294  

박주석 (숙명여자대학교) ,  박상근 (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조현양 (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도서관 브랜드 이미지의 구성요소를 분석한 이전 연구의 후속연구로서, 이전 연구에서 확증된 구성요소들이 설정된 개념적 변수(endogenous variables)와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가를 확인하는 확인적 절차(confirmatory procedure)로 진행되었다. 구조선형 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였으며, 연구결과 총 3개의 차원과 9개의 하부차원 그리고 20개의 항목이 도서관의 브랜드 이미지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다. 해당 모델의 핵심개념을 그대로 사용하여 직원집단군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해당 모델은 직원집단에 적용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각각의 이미지 차원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인식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utiliz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rocess to identify contributing factors that have been extracted through the first study of exploring library service and image building related factors. This study, specifically, tests the relationships between endogenous and exogenous variables t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도서관의 브랜드 이미지 측정에 관한 이전 연구(박상근, 박주석, 조현양 2013)의 후속연구로서, 이전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의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를 측정하기 위한 확인적 분석(confirmatory analysis)을 시도하였다. 도서관 이용자(학생)의 도서관 브랜드 이미지를 측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는데 1차 목적이 있으며, 제시된 모델의 핵심 개념(key concept)이 동일한 공간에서 이용자와 상호작용을 하고 있지만 성격이 다른 집단, 즉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원 집단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두 집단 간의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2차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학도서관으로 한정하였으며, 조사에 적합한 대학을 선정하여 해당 대학도서관의 직원과 이용자(학생)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그러나 최근 박상근, 박주석, 조현양(2013)은 도서관의 브랜드 전략 도입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도서관의 브랜드 이미지의 측정을 시도하였다. 도서관의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는 여러 가지 요소들 중에 과연 어떠한 요소들이 도서관 브랜드 이미지를 측정하는데 적절한지를 조사하고 검증한 것이다. 그 결과 박상근, 박주석, 조현양(2013)은 도서관의 브랜드 이미지를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크게 기능적, 경험적, 상징적 이미지의 3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 이 연구는 도서관의 브랜드 이미지 측정을 위한 이전의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결과를 검증하여 도서관 브랜드 이미지 측정을 위한 최종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도서관 브랜드 이미지는 도서관의 기능적, 경험적, 상징적 차원의 3가지 이미지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 이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우선 고려해야 할 부분은 통계분석에 사용될 유효한 표본수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조사대상은 이용자(학생)과 직원 집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랜드 이미지란? 브랜드 이미지는 제품 또는 서비스 속성에 대한 개인의 인지나 경험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심상 또는 연상의 총체라고 할 수 있다. 브랜드 이미지는 상황에 따라 긍정적일 수도 부정적일 수도 있으며,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이 혼합될 수 있다.
브랜드 이미지 구축 결과는?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는 장기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그러한 노력으로 형성된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는 조직에 있어서 장기적인 마케팅 성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해준다. 브랜드 이미지의 관리에 있어서 많은 브랜드들이 기능과 상징, 경험적 편익을 혼합하여 제공하고 있지만 이러한 포괄적인 이미지 관리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조직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브랜드 콘셉트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Park, Jaworski, and Maclnnis 1986).
현재 정보환경의 복잡성은 도서관과 사서의 역할에 있어 이전과는 다른 개념이 요구한다, 무엇인가? 현재 정보환경의 복잡성은 이제 도서관과 사서의 역할에 있어 이전과는 다른 개념이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Kenneway 2006). 도서관의 책, 공간, 사서의 서비스와 같은 기능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전통적인 접근 방법을 넘어 이제는 책, 공간, 사서의 서비스 등 여러 가지 요소들의 복합적인 사용경험을 통해 향유할 수 있는 긍정적인 경험과 가치, 그리고 이러한 긍정적인 경험과 가치를 통해 형성되는 상징성을 이용자와 제공자가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브랜드 이미지 전략에 관한 논의가 필요한 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박상근, 박주석, 조현양. 2013. 대학 도서관 브랜드 이미지 구성요인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3): 295-320.(Park, Sang-Keun, Park-Joo Suk(Joseph), & Cho, Hyun-Yang. 2013. "Understanding the Elements of Academic Library Brand Image: Based on Key Branding Concep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3): 295-320.) 

  2. Aaker, D. A. 1996. Building Strong Brands. New York: Free Press. 

  3. Carrier, M., & Pashler, H. 1992. "The influence of retrieval on retention." Memory and Cognition, 20: 632-642. 

  4. Fitsimmons, G. 2010. "Managing library image as a resource." Bottom Line: Managing Library Finances, The, 23(1): 37-39. 

  5. Goffrnan, E. 1959.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New York: Doubleday Anchor. 

  6. Hariff, S., & Rowley, J. 2011. "Branding of UK public libraries." Library Management, 32(4/5): 346-360. 

  7. Keller, K. L. 2001. "Build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Marketing Management, 10(2): 15-19. 

  8. Kenneway, M. 2006. "Branding for libraries: communicating your value to increase reader awareness and usage of library services." The Journal for the Serials Community, 19(2): 120-126. 

  9. Oxenfeldt, A. R., & Swann, C. 1964. Management of the advertising function. Belmont, CA: wadsworth. 

  10. Park, C. W., Jaworski, B. J., & Maclnnis, D. J. 1986. "Strategic Brand Concept-Image Management." Journal of Marketing, 50(4): 135-145. 

  11. Singh, R. 2004. "Brand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context: the role of marketing culture." Information Services and Use, 24(2): 93-98. 

  12. AMA. [cited 2013.10.30].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