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및 모유수유교육경험에 따른 모유수유 지식 및 통제신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nowledge and Control Beliefs Regarding Breastfeeding of University Students by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d Education in Breastfeeding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8 no.5, 2013년, pp.457 - 466  

이조윤 (중부대학교 관광보건대학) ,  이강욱 (중부대학교 관광보건대학) ,  현화진 (중부대학교 관광보건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reastfeeding education experience on knowledge, control beliefs, and future intention toward breastfeeding to consider the needs of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of university students. The breastfeeding knowledge, control beliefs and rel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재학 중인 일반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모유영양 및 모유수유와 관련된 교육 경험 여부와 함께 현재 모유수유에 대해 갖고있는 인식 등을 파악하고, 특히 대학생의 모유수유 교육경험에 따른 모유수유 지식정도 및 모유수유 실천에 따른 통제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미래 모유수유에 미치는 영향과 완전모유수유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모유수유증진 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재학 중인 일반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모유영양 및 모유수유와 관련된 교육 경험 여부와 함께 현재 모유수유에 대해 갖고있는 인식 등을 파악하고, 특히 대학생의 모유수유 교육경험에 따른 모유수유 지식정도 및 모유수유 실천에 따른 통제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미래 모유수유에 미치는 영향과 완전모유수유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모유수유증진 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들이 모유수유를 중단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0%로 높았던 것을 감안하면 완전모유수유의 기간에 대한 중요성을 홍보하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여성이 모유수유를 중단하는 가장 큰 요인 중에는, 모유부족, 모유수유 중에 겪는 유두손상에 따른 통증, 젖몸살 등으로 나타났으며(Yoo 등 2002; Yun & Lee 2012), 이와 같은 모유수유 중단 요인들은 수유자세 및 방법을 개선하게 되면 수일 내에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지만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및 정보 부재에 따라 모유수유를 중단하는 안타까운 현상이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Chin & Amir 2008; Lee 등 2012).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고 모유수유에 대한 여성의 의지를 확고하게 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모유영양 및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전달이 중요하며, 또한 모유수유를 시작하고 이를 유지하는데 있어 아버지로서의 역할과 보조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바(Manoj & Rick 1997; Sarah 2000; Nigel 등 2013), 이를 위해 여성은 물론 남성을 위한 모유수유증진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모유수유율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지는 것은? 또한 여성이 모유수유를 중단하는 가장 큰 요인 중에는, 모유부족, 모유수유 중에 겪는 유두손상에 따른 통증, 젖몸살 등으로 나타났으며(Yoo 등 2002; Yun & Lee 2012), 이와 같은 모유수유 중단 요인들은 수유자세 및 방법을 개선하게 되면 수일 내에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지만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및 정보 부재에 따라 모유수유를 중단하는 안타까운 현상이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Chin & Amir 2008; Lee 등 2012).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고 모유수유에 대한 여성의 의지를 확고하게 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모유영양 및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전달이 중요하며, 또한 모유수유를 시작하고 이를 유지하는데 있어 아버지로서의 역할과 보조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바(Manoj & Rick 1997; Sarah 2000; Nigel 등 2013), 이를 위해 여성은 물론 남성을 위한 모유수유증진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국내의 완전 모유수유율 추이는? 우리나라 완전 모유수유율은 2006년 14.1%, 2009년 13.6%, 2012년 11.4%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이와 같은 결과는 미국 2009년 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allen J, Pinelli J (2004): Incidence and duration of breastfeeding for term infants in Canada, United States, Europe, and Australia: a literature review. Birth 31(4): 285-292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Breastfeeding among U.S. children born 2000-2009, CDC national immunization survey. Available from http://www.cdc.gov/breastfeeding/data/NIS_data/index.htm [cited 2013 June 24] 

  3. Cernadas JM, Noceda G, Barrera L, Martinez AM, Garsd A (2003): Maternal and perinatal factors influencing the duration of exclusive breastfeeding during the first 6months of life. Human Lactation 19(2): 136-144 

  4. Chin LY, Amir LH (2008): Survey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the breast feeding education and support services of the royal women's hospital, Melbourne.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4(8): 1-11 

  5. Choi KS (2003): A study on the future plans for infant feeding practice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8(2): 240-249 

  6. Choi KS, Lee HJ (2006): A study on knowledges and attitudes about breast milk feeding and needs for breast milk feeding educ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1(2): 191-204 

  7. Claibourne ID, Rhona JM, David MT, Anne BW, Florin O (2007): Infant feeding attitudes and knowledge among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women in Glasgow. Matern Child Health J 12: 313-322 

  8. Forster D, H. McLachlan, J. Lumley (2006): Factors associated with breast feeding at sixmonths postpartum in a group of Australian women. Int breastfeeding 1(18): 1-18 

  9. Joan ED, Marie T (2007): Outcomes of a breast-feeding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27: 856-867 

  10. Kim JE, Park DY (2008):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and needs of breast feeding education for pregnant women in health centers. Korean J Community Nutr 13(6): 818-828 

  11. Kim JK, Choi HM, Ryu EJ (2011): Postnatal breast feeding knowledge, techniques and rates of first-time mothers depending on a prenatal breast-feeding education method. J Korean Acad Soc Nurs Edu 17(1): 90-99 

  12. Kim KN, Hyun TS, Kang NM (2002): A survey on the feeding practices of women for the development of a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Korean J Community Nutr 7(3): 345-353 

  13.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The 2012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family health and welfare in Korea. KIHASA, Seoul 

  14. Lee HK, Song Y, Kang NM (2008): A survey of female college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breastfeeding. Korean J Community Nutr 13(3): 367-373 

  15. Lee SO, Na SS, Park KY (2012): Exclusive breast-feeding rates of breast feeding-willing mother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by the 1st, 3rd, and 6th month of postpartum.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16(1): 44-55 

  16. Manoj S, Rick P (1997): Impact of expectant fathers in breastfeeding dicisions. J Am Dietetic Assoc 97(11): 1311-1313 

  17. Marie T, Joan ED (2007): Knowledge, attitudes, exposure and future intentions of Hong Kong university students toward infant feeding. J Obstet Gynecol Neonatal Nurs 36(3): 243-254 

  18. Maryann B, Tricia P (2013): Increasing student nurses' knowledge of breastfeeding in baccalaureate education. Nurse Educ in Practice 13(3): 228-233 

  19. Moon GN, Jung JH, Kim YJ, Lee SO, Choi GS, Chung ES, Bai JY (1998): Breast feeding practice according to the breast-feeding problem during the first week of postpartum. Korean J Women Health Nurs 4(3): 416-428 

  20. Nigel S, Valerie H, Christina P (2013): Engaging and supporting fathers to promote breast feeding: A concept analysis. Available from http://www.midwiferyjournal.com/article/S0266-6138(13)00219-2/abstract [cited 2013 August 22] 

  21. Oh HE, Park NJ, Im ES (1994): An analitic study measuring factors interrupting in breast-feeding. Korean Maternal Child Health Nurs 4(1): 68-79 

  22. Rotter JB (1966): Generalized expectancies for internal versus external control reinforcement. Psychological Monographs 609: 1-28 

  23. Sarah E (2000): Why some women do not breast feed: bottle feeding and fathers'role. Midwifery 16(4): 323-330 

  24. Seo IS, Jung MS, Suh YS (2000): Effect of education for encouraging breastfeeding on practice of breastfeeding. Korean J Women Health Nurs 6(4): 632-642 

  25. Song BC, Cho JH, Lee IY, Kim MK (2008): A study on knowledge on breast feeding of college students by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Cult 23(2): 268-272 

  26. Song Y, Kim AJ, Lee YS, Yoo TW, Kang NM (2007): Evaluation the breast feeding information websites for Korean adolescents. Korean J Food Nutr 20(4): 487-493 

  27. Yardaena BO, Robin LA, Patricia AP, Karen SE (2011): Breast feeding education and support services offered to pediatric residents in the US. Acad Pediatr 11(1): 75-79 

  28. Yoo EK, Kim MH, Seo WS (2002): A study on the rate of breastfeeding practice by education and continuous telephone follow up. Korean J Women Health Nurs 8(3): 424-434 

  29. Yun SE, Lee HK (2012): Effects of breast-feeding adaptation, attitude and practice of primipara depending on method of postpartum breast-feeding education. Korean J Women Health Nurs 18(2): 75-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