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의과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학습몰입, 자기주도성, 학습만족도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Learning Flow, Self-Directedness and Learner Satisfaction of Medical Student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8, 2020년, pp.65 - 74  

전성주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  유효현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과 학습자 관련 변인인 학습몰입, 자기주도성, 학습만족도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온라인 교수학습 방안을 탐색하고 학습 만족도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C지역의 의과대학 의예과 1, 2학년과 의학과 1, 2학년 총 47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자기보고식 설문형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집중시간은 31-40분이(38.9%) 가장 높았고, 규칙적으로 학습하는 학습자가(65.5%) 비규칙적으로 학습하는 학습자보다(34.5%) 많았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규칙적으로 학습하는 학습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학습몰입은 평균 4.03(±0.86), 자기주도성은 평균 4.49(±0.97), 학습만족도는 평균 4.38(±1.01)이었다. 학년, 학습집중시간, 학습규칙성에 따라 학습몰입, 자기주도성,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 학습몰입, 자기주도성이었으며, 설명력은 72.5%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의과대학생들의 학습만족도와 관계가 있는 변인들을 확인함으로써 의과대학의 온라인 학습환경 활용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였고, 학습만족도 향상을 위한 온라인 학습관리체제 구축 등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nd learner-related variables such as learning flow, self-directedness and learner satisfaction, thereby find out effective online teaching methods and provide the necessary basic data for improving lea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들 스스로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 의과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습집중시간과 학습규칙성이 포함된 일반적 특성과 학습자 관련 변인인 학습몰입, 자기주도성,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의과대학의 특성을 고려한 온라인 교수학습전략을 수립하고, 학습만족도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의과대학에서 온라인 학습환경은 부족한 교수인력과 수업시간의 부족 등 오프라인 교육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지목되어 왔지만 교육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43]. 본 연구는 의과대학에서 실습과목을 제외한 모든 과목을 온라인 교육으로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의 학습자 인식에 대한 연구결과로 의과대학생의 학습기회의 확대 및 면대면 교육을 보완하는 새로운 교육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의학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의과대학 역사상 처음으로 의학교육과정을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운영함에 따른 의과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및 학습몰입, 자기주도성, 학습만족도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만족도가 지식습득에 중요한 요인인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만족도는 학업성취도와 함께 온라인 교육에서 학습성과를 측정하는 주요 지표로[4] 학습자가 학습목표를 달성했거나 자신이 설정한 기대를 충족시켰을 때 갖는 심리상태를 의미한다[5]. 학습만족도는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반응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주고,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에 만족할 경우 학습내용을 이해하여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식습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이다[6]. 따라서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만족도를 파악하는 것은 효과적인 교수학습과 그 외 온라인 교육의 개선과 발전을 위하여 필요하다.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교수자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즉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만족도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을 신장시킬 필요성이 있고, 이를 위해 셀프리더십 프로그램과 같은 다양한 교육적 기회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 교수자는 학습관리시스템의 출석, 강의자료, 학습진도, 학습시간 등의 요소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행동특성을 모니터링하고 지도해야 한다[42].
온라인 교육이란 무엇인가? 교육 분야에 있어서는 사이버대학 등 특수한 성격의 학교에서 주로 이루어지던 비대면 온라인 교육이 전국의 모든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온라인 교육은 교수자와 학습자들이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행해지는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을 의미한다[1]. 갑작스런 COVID-19의 확산으로 양질의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준비가 미흡한 상황에서 온라인 교육이 실시됨에 따라 학교마다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김정주, 원격고등교육에서의 사회적 실재감 측정도구개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2. 이동엽, "의학교육에서의 교육정보시스템 활용," 의학교육논단, 제16권, 제1호, pp.1-6, 2014. 

  3. 박주현, 김선, 손지영, "의과대학에서 학습관리시스템과 컴퓨터 기반 평가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 경험,"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제24권, 제3호, pp.213-222, 2012. 

  4. J. A. Tan, R. J. Hall, and C. Boyce, "The Role of Employee Reactions in Predicting Training Effectiveness,"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Vol.14, No.4, pp.397-411, 2003. 

  5. B. B. Wolman, Dictionary of behavioral science, Academic Press, 1989. 

  6. S. B. Merriam, The new update on adult learning theory, San Francisco: Jossey-Bass, 2001. 

  7. 하영자, 하정희, "학습동기,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이러닝 환경의 학습자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3권, 제2호, pp.197-217, 2011. 

  8. 서희원, 성인학습자의 이러닝에서 학습자요인이 학습만족도와 학습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9. 박성익, 김연경,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열린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pp.93-115, 2006. 

  10. 김미량, "e-Learning 대학원 과정에서의 학습자 몰입 및 강의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 제32권, 제1호, pp.165-201, 2005. 

  11. M. M. Handelsman, W. L. Briggs, N. Sullivan, and A. Towler, "A measure of college student course engag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98, No.3, pp.184-192, 2005. 

  12. M. Czikszentmihalyi,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Y: Harper and Row, 1990. 

  13. 주영주, 김지연, 최혜리, "기업 사이버교육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몰입,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구, 제25권, 제4호, pp.101-124, 2009. 

  14. D. Rossin, Y. K. Ro, B. D. Klein, and Y. M. Guo, "The effects of flow on learning outcomes in an online information management cours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Education, Vol.20, No.1, pp.87-98, 2009. 

  15. 주영주, 최혜리, "사이버 대학에서 내적통제소재, 온라인 과제가치, 시간관리, 학습몰입, 만족도 간의 과목선택권에 따른 영향력 차이 규명,"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7권, 제4호, pp.477-497, 2011. 

  16. L. M. Guglielmino,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University of Georgia, doctoral dissertation, 1977. 

  17. Lorys F. Oddi,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identify self-directed continuing learners," Adult Education Quarterly Vol.36, No.2, pp.97-107, 1986. 

  18. S. B. Merriam and R. S. Caffarella, Learning in adulthood: A comprehensive guide, San Francisco: Jossey-Bass, 1999. 

  19. T. H. Macan, C. Shahani, R. L. Dipboye, and A. P. Phillips, "College students' time management: Correlations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stres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2, No.4, pp.760-768, 1990. 

  20. 주영주, 하영자, 김은경, 유지원, "사이버대학에서 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 와의 구조적 관계 규명,"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175-187, 2010 

  21. Yu, Tai­Kuei and Tai­Yi Yu, "Modelling the factors that affect individuals' utilisation of online learning systems: An empirical study combining the task technology fit model with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41, No.6, pp.1003-1017, 2010. 

  22. 이용숙, "수업구조분석법과 실제학습시간분석법 재개발 연구," 열린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pp.21-49, 2007 

  23. 이인숙, "e-Learning 학습전략 수준 및 학업성취도 규명," 교육공학연구, 제18권, 제2호, pp.51-67, 2002. 

  24. 조일현, 김윤미,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시간관리 전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분석학적 접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9권, 제1호, pp.88-107, 2013. 

  25. 김미경, 웹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설계, 학습과제특성, 웹기반 학습환경이 학습자특성을 매개로 몰입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6. 김미량, 김진숙, "사이버 가정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및 만족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10호, pp.44-58, 2007. 

  27. C. Sandoe, Measuring transactional distance in online courses: The structure component, University of South Florida, doctoral dissertation, 2005. 

  28. 안솔뫼, "의과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학년별 차이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제19호, pp,993-1011, 2018. 

  29. 채수진, "의과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성향 연구-A의 대 사례," 연세의학교육, 제10권, 제2호, pp.1-9, 2008. 

  30. 송충진, "대학에서의 교수.학습활동과 의사소통,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 교수자와 학습자간 인식차이와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pp.171-200, 2014. 

  31. 김윤미, 기업 e-러닝에서 학습시점 간격의 규칙성, 총 학습시간, 학습 접속 횟수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2. 조일현, 김정현, "학습분석학을 활용한 e-러닝 학업성과 추정 모형의 통계적 유의성 확보 시점 규명," 교육공학연구, 제29권, 제2호, pp.285-306, 2013. 

  33. D. C. berliner and W. J. Tikunoff, "The California Beginning Teacher Evaluation Study: Overview of the Ethnographic Study,"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27, No.1, pp.24-30, 1976. 

  34. W. J. Smyth, "Pupil Engaged Learning Time: Concepts, Findings and Implications,"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 Vol.24, No.3, pp.225-245, 1980. 

  35. J. W. You, "Examining the effect of academic procrastination on achievement using LMS data in e-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Vol.18, No.3, pp.64-74, 2015. 

  36. 황새롬, 이러닝 학습자의 시간관리행동과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학습동기의 조절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7. 김성현, 이러닝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이 학습 몰입과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8. 이소형, 김형준, "이러닝 환경에서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상호작용 요인과 어포던스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0호, 2019. 

  39. Webster, Jane, and Peter Hackley, "Teaching effectiveness in technology-mediated distance learn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0, No.6, pp.1282-1309, 1997. 

  40. 전영미, 조진숙, 김경록, "대학교육에서 LMS의 활용이 자기주도적 학습역량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2권, 제1호, pp.55-84, 2016. 

  41. 이정기, 김정기, "이공계열과 인문사회계열 대학생들 의 이러닝 이용동기와 효과에 관한 연구,"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24호, pp.76-111, 2014. 

  42. 김미혜, "효과적인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을 지원하는 웹 기반 이-러닝 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524-535, 2011. 

  43. 박주현, 손지영, 유남진, 김선, "의학교육에서 e-러닝의 활용 및 효과성에 대한 고찰,"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제22권, 제2호, pp.91-100, 2010. 

  44.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기본의학교육 졸업성과,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2017. 

  45. Dean X. Parmelee and Patricia Hudes, "Team-based learning: a relevant strategy in health professionals' education," Medical teacher, Vol.34, No.5, pp.411-413,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