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녀 대학생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저작횟수와 식사속도 및 식품섭취량 비교
The Relationships of Chewing Frequency, Eating Rates, and Food Consumption with the Body Mass Index and Gender of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9 no.2, 2013년, pp.103 - 111  

전승철 (엔비오블리제) ,  김윤정 (동덕여자대학교 비만미용향장대학원 비만관리학과) ,  김영숙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수경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동건 (동덕여자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장은재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d chewing frequency, eating rates, and food consumption volume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Twenty-five male college students were divided into a normal weight male group (<23 body mass index, n=14) and an obese male group (${\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에 따른 저작횟수와 섭취량 및 식사속도의 차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비만인들의 체중조절을 위한 식습관 개선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비만인들의 체중조절을 위한 식습관 개선의 참고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볶음밥을 충분히 제공하여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체질량 지수에 따른 저작횟수와 음식섭취량 및 식사속도, 그리고 한 입 분량의 차이 등을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천히 오래 씹어 먹으면 왜 체중이 감소하는가? 비만의 예방이나 치료에는 우선 공복이나 포만을 감지하는 감각을 얼마나 정상 수준까지 되돌리는지가 매우 중요한데 천천히 오래 씹어 먹으면 감각이 개선되고, 지금까지 느끼지 못했던 미각이 소생하게된다(Toshiie 2006). 그리고 천천히 오래 씹으면 잇몸 내의 치근막이나 교근의 줄기 방추에 분포하는 삼차신경의 감각가지가 흥분하고, 이 신호는 중뇌의 저작중추에 전달된다. 이 저작정보는 간뇌의 시상하부에 있는 히스타민 신경계의 중추핵에 전달되어 신경히스타민이 양산되고, 이 신경히스타민은 시상 하부의 포만중추에 작용하여 식욕을 억제, 조절하고 동시에 중추에서 말초의 지방세포에 이르는 원심성 교감신경을 연계하여 내장지방의 분해와 체열발산을 함께 촉진시켜 체중을 감소시킨다(Yoshimatsu 등 1999; Tsuda 등 2002). 그리고 저작은 포만신호가 중추에서 효율적으로 수용되어 포만감에 대한 느낌이 예민해져 과식을 저지할 수 있다(Ookuma 등 2000).
음식을 잘 씹지 않고 빨리 먹는 것이 비만의 원인인 이유는? 음식을 잘 씹지 않고 빨리 먹으면 포만감을 느끼기 전에 많은 양을 먹게 되므로 결국 과잉의 음식을 섭취하게 되고 비만의 원인이 된다(Chang & Jo 2009). 그리고 비만이 심해질수록 배가 부르다는 포만감을 잘 느끼지 못하게 되어 일단 먹기 시작하면 중단하기 어렵고, 음식의 맛을 인지하는 정도나 식사의 즐거움을 느끼는 감각도 퇴화된다고 한다.
비만인들의 식행동 특징은 무엇인가? 비만인들의 식행동 특징은 잘 씹지 않고, 빨리 먹으며, 한입에 많은 양을 섭취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Gaul 등 1975; Ookuma 등 2000; Saito & Eda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bernathy RP (1991): Body mass index: determination and use. J Am Diet Assoc 91(7):843 

  2. Ahn MS, Chang IY, Kim KH (2007): Comparisons of UCP2 polymorphism, dietary habits, and obesity index in normal and obes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2(4):404-413 

  3. Brehm BJ, Seeley RJ, Daniels SR, D'Alessio DA (2003): A randomized trial comparing a very low carbohydrate diet and a calorie-restricted low fat diet on body weight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healthy women. J Clin Endocrinol Metab 88(4):1617-1623 

  4. Chang UJ, Jo JN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intake, sodium intake and satiety rate and the methods of consuming soup. J Korean Diet Assoc 15(4):397-404 

  5. Dansinger ML, Gleason JA, Griffith JL, Selker HP, Schaefer EJ (2005): Comparison of the Atkins, Ornish, Weight Watchers, and Zone diets for weight loss and heart disease risk reduction: a randomized trial. JAMA 293(1):43-53 

  6. Fujise T, Yoshimatsu H, Kurokawa M, Fukagawa K, Nakata M, Sakata T (1993): Food consistency modulates eating volume and speed through brain histamine in rat. Brain Res Bull 32(5):555-559 

  7. Gardner CD, Kiazand A, Alhassan S, Kim S, Stafford RS, Balise RR, Kraemer HC, King AC (2007): Comparison of the Atkins, Zone, Ornish, and LEARN diets for change in weight and related risk factors among overweight premenopausal women: the A TO Z Weight Loss Study: a randomized trial. JAMA 297:969-977 

  8. Garner DM, Garfinkel PE (1979): The Eating Attitudes Test:an index of the symptoms of anorexia nervosa. Psychol Med 9(2):273-279 

  9. Gaul DJ, Craighead WE, Mahoney MJ (1975): Relationship between eating rates and obesity. J Consult Clin Psychol 43(2):123-125 

  10. Han OS, Yoo HJ, Jeong WJ, Kim SY, Lee C, Park IH (1996):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Korean J Psychopathol 5(1):138-144 

  11. Hermamm JR (1990): Effect of cooperative extension nutrition and exercise program for older adults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intak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 serum lipids. J Nutr Educ 22(6):271-274 

  12. Jung MH, Song JH, Chun JY, Cho YG, Kim YH, Kim MJ, Park HA, Kang JH, Lee SH, Kim SH (2007):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dietary habits and overweight of 7-year-old Korean children. J Korean Acad Fam Med 28(3):195-203 

  13. Kim BS, Lee YE (2000): The relationship of behaviors with body image and BMI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Jeonbuk province. J Korean Liv Sci Asso 9(2):231-243 

  14. Kim SH, Kim JY, Ryu KA, Sohn CM (2007): Evaluation of the dietary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s in obese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12(5):583-591 

  15. Ko MS, Kim SA (2006): A study of the dietary habits, diversity of food intake and nutrient intake of Silla university students. J Nat Sci 15:31-44 

  16. Kral JG, Buckley MC, Kissileff HR, Schaffner F (2001): Metabolic correlates of eating behavior in severe obesit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5(2):258-264 

  17. Lee YJ (1994): Method and meaning of anthropometic measurement. Nutr Dietetics 94(10):17-20 

  18. Lee YN, Choi HM (199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9(1):1-10 

  19. Lee YS (2000): A study on the eating behavior,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condition of obese adult attending a weight control exercise. Korean J Food Culture 13(2):125-133 

  20. Li J, Zhang N, Hu L, Li Z, Li R, Li C, Wang S (2011): Improvement in chewing activity reduces energy intake in one meal and modulates plasma gut hormone concentrations in obese and lean young Chinese men. Am J Clin Nutr 94(3):709-716 

  21. Matsuda H (1998): Eating habits in obese and non-obese woman college students (Part 2). Journal of Nagoya Bunri College 23:125-129 

  22. Ookuma K, Sakata T, Fukagawa K, Yoshimatsu H, Kurokawa M, Machidori H, Fujimoto K (1993): Neuronal histamine in the hypothalamus suppresses food intake in rats. Brain Res 628:235-242 

  23. Ookuma K, Yoshimatsu H, Sakata T, Adachi K (2000): The effect of chewing chart recording in the treatment of obesity. Jpn J Psychosom Med 40:247-253 

  24. Saito H, Eda S (2002): Relationship between chewing situation and obesity, eating habit in high school students. Bulletin of the Yamagata Prefectual Yonezawa Women's Junior College 37:149-159 

  25. Sasaki S, Katagiri A, Tsuji T, Shimoda T, Amano K (2003): Self-reported rate of eating correlates with body mass index in 18-y-old Japanese wome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7(11):1405-1410 

  26. Shin HC, Kim CH, Park YW, Cho BL, Song SW, Yun YH, Ou SW (2000): Validity of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 detection of depression in primary care. J Korean Acad Fam Med 21(10):1317-1330 

  27. Stunkard A, Kaplan D (1997): Eating in public places: a review of reports of the direct observation of eating behavior. Int J Obes 1(1):89-101 

  28. Toshiie S (2006): Clinical implications of mastication from viewpoints of prevention from Himansho and its therapeutic approach. The Japanese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aste and Smell 13(2):149-156 

  29. Tsuda K, Yoshimatsu H, Niijima A, Chiba S, Okeda T, Sakata T (2002): Hypothalamic histamine neurons activate lipolysis in rat adipose tissue. Exp Biol Med (Maywood) 227(3):208-213 

  30. Veyrune JL, Miller CC, Czernichow S, Ciangura CA, Nicolas E, Hennequin M (2008): Impact of morbid obesity on chewing ability. Obes Surg 18(11):1467-1472 

  31. WHO Expert Consultation (2004): Appropriate body-mass index for Asian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 strategies. Lancet 363(9403):157-163 

  32. Yoshimatsu H, Itateyama E, Kondou S, Tajima D, Himeno K, Hidaka S, Kurokawa M, Sakata T (1999): Hypothalamic neuronal histamine as a target of leptin in feeding behavior. Diabetes 48(12):2286-2291 

  33. Zung WW (1965):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 Gen Psychiatry 12:63-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