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일부 노인요양시설의 영양사 유무에 따른 영양관리 현황
Nutritional Management by Dietitian at Elderly Nursing Homes in Gyeonggi-do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9 no.4, 2013년, pp.400 - 415  

윤미옥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문현경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주영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손정민 (원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nutritional management at elderly nursing homes. A survey was performed of 83 nursing homes from January 5, 2011 to January 21, 2011 via mail. A total of 34 nursing homes responded to the survey and 149 elderly subjects were analyzed ac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 중 시설 급여 대상인 요양시설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일반사항을 조사하였다. 본 설문에 응답한 시설의 일반사항은 Table 1-1에 나타난 바와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양사 유무에 따라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를 받는 요양시설의 전반적인 영양관리 현황과 시설에 입소한 노인의 영양 상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식단 관리에 대한 문항은 식단 작성 여부와 식단 작성을 누가 하고 있는지, 식단 주기는 얼마나 자주 바뀌는지, 치료 식단을 별도로 작성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요양시설에서 현재 영양상담 및 영양관리를 실시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노인요양시설의 영양사 유무에 따른 영양관리 현황을 조사해 보았다. 2011년 1월 5일∼2011년 1월 21일까지 경기도에 위치한 법인 83개 요양시설 영양사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을 실시하였고, 이 중 회수된 34개 요양시설의 설문지 결과로 요양시설 이용 노인의 영양관리현황 조사를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요양시설의 영양관리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에 위치한 법인 83개 요양시설 영양사(또는 시설장)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34개 요양시설에 대해 분석하였고, 34개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 163명 중 신장과 체중의 측정치 기록이 안 된 대상을 제외한 149명을 대상으로 MNA(Mini Nutritional Assess- ment)를 통하여 간이영양판정을 실시하여 노인들의 영양 상태를 조사해보았다. 그 결과 예상하였던 대로 영양관리가 미흡하며 특히 영양사가 없는 시설을 포함한 모든 시설에서 영양전문가를 통한 영양관리가 시급한 문제임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문제 중 심각한 문제는? 노인문제 중 심각한 문제는 당뇨병, 고혈압, 뇌졸중, 관절염 등의 만성퇴행성 질환이나 노인성 치매, 중풍 등의 장기간 보호가 필요한 노인성 질환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노인들을 부양하는 가족의 부담도 함께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만성질환을 동반하는 노인이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과 장기요양시설의 수요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생활양식과 식습관이 주요 위험요인인 만성퇴행성 질환과 영양적 위험상태가 노인층에서 주로 나타나는 이유는? 생활양식과 식습관이 주요 위험요인인 만성퇴행성 질환은 노인층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고, 노인의 주된 사망요인이기도 하다. 또한 노인기에는 미각기능 상실 등의 생리적 기능의 저하, 만성질환, 경제적 어려움과 우울감 등 사회적, 환경적 요인들로 인하여 균형 잡힌 식품의 섭취가 어렵고, 생체 이용률도 저하되어 영양적 위험상태에 빠지기가 쉽다(Pauly 등 2007; Kwak 등 2008).
2000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의 수와 향후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의 전망은? 최근 우리나라는 생활환경의 개선과 의학의 발달로 수명이 연장되면서 고령화 사회로 급속하게 진입함에 따라 노인인구의 비율이 증가되고 있다. 2000년에 65세 이상 인구가 339만명으로 총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2%를 넘어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는 2018년에는 14.0%으로 고령사회, 2026년에는 20.8%로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8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도 2060년에는 10.2%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eattie W (1998): Current challenges to providing personalized care in a long term care facility. Int J Health Care Qual Assur Inc Leadersh Health Serv 11(2-3):i-v 

  2. Cho EH, Chang HJ, Kwak YK (2006): Analysis of the job activities and demand of dietitian in the elderly health-car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12(4):313-328 

  3. Chung SH, Sohn CM (2005): Nutritional status of hopitalized geriatric patients using by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Korea J Community Nutr 10(5):645-653 

  4. Donini LM, Savina C, Rosano A, De Felice MR, Tassi L, De Bernardini L, Pinto A, Giusti AM, Cannella C (2003): MNA predictive value in the follow-up of geriatric patients. J Nutr Health Aging 7(5):282-293 

  5. Guigoz Y (2006):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 review of the literature-What does it tell us? J Nutr Health Aging 10(6):466-485 

  6. Hong SY, Seo SH (2010): Job performance frequency and the training needs of dieticians in elderly healthcar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16(2):160-177 

  7. Kim WY, Yang EJ, Won HS (1997): Management of food service and health care in long-term care in Ko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2(3):331-339 

  8.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The statistics of estimated future population.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 Accessed February 15, 2011 

  9. Kuzuya M, Kanda S, Koike T, Suzuki Y, Satake S, Iguchi A (2005): Evaluation of mini-nutritional assessment for Japanese frail elderly. Nutrition 21(4):498-503 

  10. Kwak KS, Bae YJ, Kim MH (2008):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quality in the low-income elderly residing at home or in health car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14(4):337-350 

  11. Long Term Care Insurance (2010): Insurance Benefit In-Home Services. Available from: http://www.longtermcare.or.kr/. Accessed August 22, 2010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vaila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jc/sjc0110mn.jsp?PAR_MENU_ID06&MENU_ID061002/. Accessed August 15, 2010 

  13.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2): The statistics of Long Term Care Insurance Service. Available from http://www.nhic.or.kr/. Assessed February 15, 2011 

  14. Nestle Nutrition Institute (2010): Mint Nutritional Assessment MNA $^{(R)}$ . Available from: http://www.mna-elderly.com/. Accessed December 12, 2011 

  15. Omran ML, Morley JE (2000): Assessment of protein energy malnutrition in older persons, part I: history, examination, body composition, and screening tools - comparison of bone mineral and soft tissue mass measurements in vivo with established methods. Nutrition 16(1):50-63 

  16. Pauly L, Stehle P, Volkert D (2007): Nutritional situation of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Z Gerontol Geriatr 40(1): 3-12 

  17. Persson MD, Brismar KE, Katzarski KS, Nordenstrom J, Cederholm TE (2002): Nutritional status using mini nutritional assessment an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predict mortality in geriatric patients. J Am Geriatr Soc 50(12): 1996-2002 

  18. Seo SH, Yun NR (2011): Food service management and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of employees in elderly welfar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17(3):287-301 

  19. Sunwoo D (2010): An improvement plan for the government policy on long-term care insurance.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0(168):16-24 

  20. Suh HJ, Lee YN, Jang YA, Kim BH, Lee HS, Kim CI (2004): Current status and management of congregate meal service program for the elderly at community centers. J Korean Diet Assoc 10(3):333-344 

  21. Van Nes MC, Herrmann FR, Gold G, Michel JP, Rizzoli R (2001): Does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predict hospitalization outcomes in older people? Age Ageing 30(3): 221-226 

  22. Vellas B, Guigoz Y, Garry PJ, Nourhashemi F, Bennahum D, Lauque S, Albarede JL (1999):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 and its use in grading the nutritional state of elderly patients. Nutrition 15(2):116-122 

  23. Visvanathan R, Macintosh C, Callary M, Penhall R, Horowitz M, Chapman I (2003): The nutritional status of 250 older Australian recipients of domiciliary care services and its association with outcomes at 12 months. J Am Geriatr Soc 51(7):1007-1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