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2농도와 온도 상승이 한국의 주요 재배 벼품종의 생육과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오대벼와 새추청벼-
Effects of elevated CO2 concentration and increased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crop yield of rice (Oryza sativa) cultivars in Korea -cv. Odaebyeo and cv. Saechucheongbyeo-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6 no.4, 2014년, pp.363 - 370  

이응필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장래하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조규태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유영한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온난화가 진행되면,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벼의 생육과 생산량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북부지방과 중부지방에 각각 가장 많이 재배되는 오대벼와 새추청벼의 유식물을 각각 대조구, 온도 상승구 및 $CO_2$+온도 상승구에서 재배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새추청벼의 지상부생물량, 지하부생물량, 총 생물량, 개체당 이삭무게 그리고 낟알의 숙성 비율은 온도 상승구에서, 오대벼는 $CO_2$+온도 상승구에서 가장 높았다. 새추청벼와 오대벼의 개체당 이삭수는 환경구배 간 차이가 없었다. 새추청벼의 이삭당 낟알수는 환경구배 간 차이가 없었고, 오대벼의 것은 $CO_2$+온도 상승구에서 가장 많았다. 새추청벼의 낟알 한 개의 무게는 $CO_2$+온도 상승구, 오대벼의 것은 온도 상승구와 $CO_2$+온도 상승구에서 가장 무거웠다. 새추청벼의 분얼수는 대조구와 온도 상승구, 오대벼의 것은 대조구에서 가장 많았다. 본 연구를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면 새추청벼는 대조구보다 온도만 상승했을 때 잘 자랐고 곡물 생산량이 증가했지만 $CO_2$ 농도와 온도가 같이 상승했을 때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오대벼는 대조구보다 $CO_2$ 농도와 온도가 같이 상승했을 때 잘 자랐고 생산량이 증가했다. 앞으로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CO_2$ 농도와 온도가 높아진다면, 새추청벼는 현재와 곡물수확량의 차이는 없겠지만 그에 반해 오대벼는 곡물수확량은 높아질 것이다. 따라서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가 지속된다면 곡물수확량을 고려한 종에 따른 벼 재배적지의 선정이 신중히 결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grew seedlings of Saechucheongbyeo and Odaebyeo of rice cultivars that are cultivated dominantly in the northern and middle regions of Korea under control(ambient condition), ambient $CO_2$ concentration+elevated temperature, and elevated $CO_2$ concentration+elevated temp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북부지방과 중부지방에서 각각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벼 품종을 대상으로 지구온난화가 되면 이 재배되고 있는 벼품종의 생육과 생산량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 본 실험은 지구온난화의 핵심 요소인 CO2 농도와 온도 상승이 새추청벼와 오대벼의 생태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온난화가 진행되면,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벼의 생육과 생산량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북부지방과 중부지방에 각각 가장 많이 재배되는 오대벼와 새추청벼의 유식물을 각각 대조구, 온도 상승구, CO2+온도 상승구에서 재배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3) 앞으로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CO2 농도와 온도가 높아진다면, 새추청벼는 현재와 곡물수확량의 차이는 없겠지만 그에 반해 오대벼는 곡물수확량은 높아질 것이다. 따라서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가 지속된다면 곡물수확량을 고려한 종에 따른 벼 재배적지의 선정이 신중히 결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추청벼란? 새추청벼는 개화시기가 8 월중순과 9 월중순에 걸쳐 일어나는 중만생종으로 중부평야 및 남부중산간지 재배에 알맞고 생육 전 기간에 걸쳐 병해에 강하고 추청벼의 잎 도열병을 보완한 품종이다(Choi et al., 2000).
지구온난화의 가장 큰 원인은?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의 가장 큰 원인은 인간 활동의 결과로 발생 하는 CO2 농도 증가에 있다(Kobayashi, 2006). 지난 100년 간 지구의 평균 온도는 0.
한반도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어떠한 피해를 입고있는가? 지구온난화로 인해 일어나고 있는 기후변화는 한반도 또한 예외는 아니다. 한반도의 2010년 평균 CO2 농도는 394.5 ppm 으로 1999년의 평균 CO2 농도 370.7 ppm 보다 23.8 ppm 상승한 수치이었고(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0), 기온은 지난 97년간(1912-2009) 약 1.7℃상승하였다(IPCC, 2007). 이로 인해 한국에서는 기온상승과 더불어 병해충이 증가하여 쌀 생산량의 감소, 과수 등의 품질 저하, 고랭지 채소 재배면적 축소 등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Lee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ker, JT, Allen jr, LH and Boote, KJ (1992). Temperature effects on rice at elevated $CO_2$ concentration, J. of Experimental Botany, 43(7), pp. 959-964. 

  2. Cho, KT, Kim, HR, Jeong, HM and You, YH (2013). Effects of elevated $CO_2$ and temperature on the leaf morphological responses of Quercus serrata and Quercus aliena,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riverine, J. of Wetlands Research, 15(2), pp. 171-177. [Korean Literature] 

  3. Choi, HC, Kim, YG, Hong, HC, Moon, HP, Ahn, SN, Hwang, HG, Song, MT, Yang, SJ, Kim, HY, Han, SS, Cho, SY, Park, RK and Chung, MN (2000). A new high-quality and blast-resistant multiline of rice "Saechucheongbyeo", Treatises of Crop Research, 1, pp. 49-57. [Korean Literature] 

  4. Fan, G, Cai, Q, Li, X, Xie, H and Zhu, J (2010). Yield components and its conformation responded to elevated atmospheric $CO_2$ in three rice (Oryza sativa L.) generations, African J. of Biotechnology, 9(14), pp. 2118-2124. 

  5. Fischer, G, Van Velthuizen, H, Shah M and Nachtergale, F (2002). Global agro-ecological assessment for agriculture in the 21st century: Methodology and results, Research Report-International Institute For Applied Systems Analysis IIASA RR, 2, pp. 1-199. 

  6. Han, SJ, Kim, HJ and You, YH (2009). Selection on tolerant oak species to water flooding for flood plain restoration, J. of Wetlands Research, 11(2), pp. 1-7. [Korean Literature] 

  7.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Contribution Working Group I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New york, U.S.A. 

  8. Jagadish, SVK, Craufurd, PQ and Wheeler, TR (2007). High temperature stress and spikelet fertility in rice (Oryza sativa L.), J. of Experimental Botany, 58(7), pp. 1627-1635. 

  9. Kim, JH (2012). Global Warming through The Eyes of a Biologist, Seoul University Press. [Korean Literature] 

  10. Kobayashi, N (2006). Global Warming and Forest Business, Bomundang. [Korean Literature] 

  1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0). Report of Global Atmosphere Watch 2010, Climate Change Information Center. [Korean Literature] 

  12. Lee, AS, Kim, JR, Cho, YS, Kim, YB, Ham, JK, Sa JG and Shin, JC (2011). Analyzing the effect of climatic variables on growth and yield of rice in Chuncheon region, Korean J. of Crop Science, 56(2), pp. 99-106. [Korean Literature] 

  13. Lee, JH, Park, DS, Kwak, DY, Yeo, US, Song, YC, Kim, CS, Jeon, MG, Oh, BG, Shin, MS And Kim, JK (2008). Yield and grain quality of early maturing rice cultivars as affected by early transplanting in Yeongnam plain area, Korean J. of Crop Science, 53(3), pp. 326-332. [Korean Literature] 

  14. Lee, JT, Shim, KM, Bang, HS, Kim, MH, Kang, KK, Na, YE, Han MS and Lee, DB (2010). An analysis of changes in rice growth and growth period using climatic tables of 1960s (1931-1960) and 2000s (1971-2000),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3(6), pp. 1018-1023. [Korean Literature] 

  15. Lee, MS (2010). Effect of elevating $CO_2$ and air temperature on productivity and quality in rice (Oryza sativa L.),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Korean Literature] 

  16. Lee, SH, Heo, IH, Lee, KM, Kim, SY, Lee YS and Kwon, WT (2008).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phenology and growth of crops: In the case of Naju, J.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3(1), pp. 20-35. [Korean Literature] 

  17. Lee, YS and Lee, SH (2008).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rice yield, The geographical J. of Korea, 42(3), pp. 405-416. [Korean Literature] 

  18.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2012 White Paper of Environment,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9.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08). The Research to Improve of Quality using Analysis of Metabolic Mechanism and to see Physiological Responses on Change of Climate and Cultivated Environment in Crops, RIMS Code,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Korean Literature] 

  20. No, HJ and Jeong, HY (2002). Well-Defined Statistical Analysis according to Statistica, Hyeongseol Publisher. [Korean Literature] 

  21. Park, HK, Xu, M, Lee, KB, Choi, WY, Kim, SS and Kim, CK (2006). Comparison of rice growth under subtropical and temperature environments. Korean J.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8(2), pp. 45-53. [Korean Literature] 

  22. Suziki, M (1980). Studies on distinctive patterns of matter production in the building process of grain yields in the warm region in Japan, Kyushu National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20(4), pp. 429-494. 

  23. Thang, V (2008). Growth, yield and resource use efficiency of rice (Oryza sativa L.) under simulated global warming with elevated atmospheric $CO_2$ , Ph.D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Korean Literature] 

  24. Xiao, G, Liu, W, Xu, Q, Sun, Z and Wang, J (2005). Effects of temperature increase and elevated $CO_2$ concentration, with supplemental irrigation, on the yield of rain-fed spring wheat in a semiarid region of China,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74(3), pp. 243-255. 

  25. Yamamoto, Y, Yoshida, T, Enomoto, T and Yoshikawa, G (1991). Characteristics for efficiency of spikelet production and the ripening in high yielding japonica-indica hybrid and semidwarf indica rice varieties, Japan J. of Crop Science, 60, pp. 365-372. 

  26. Yang, L, Huang, J, Yang, H, Dong, G, Liu, G, Zhu, J and Wang, Y (2006). Seasonal changes in the effects of free-air $CO_2$ enrichment (FACE) on dry matte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rice, Field Crops Research, 98(1), pp. 12-19. 

  27. Yang, L, Wang, Y, Dong, G, Gu, H, Huang, J, Zhu, J, Yang, H, Liu, G and Han, Y (2007). The impact of free-air $CO_2$ enrichment (FACE) and nitrogen supply on grain quality of rice, Field Crops Research, 102(2), pp. 128-140. 

  28. Yun, JI (1990). Analysis of the climatic impact on Korean rice production under the Carbon dioxide scenario, J.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26(4), pp. 263-274. [Korean Literature] 

  29. Yun, SH, Im, JN, Lee, JT, Shim, KM and Hwang, KH (2001). Climate change and coping with vulnerability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Korean J.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4), pp. 220-227.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