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thosome에 캡슐화된 Palmitoyl Tripeptide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osome-Encapsulated Palmitoyl Tripeptide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5 no.6, 2014년, pp.570 - 576  

이연정 (동덕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응용화학과) ,  이윤섭 (미원상사(주)) ,  진병석 (동덕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응용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lmitoyl tripeptide (M330)는 최소 저해농도(MIC) 결정 실험에서 기존 화장품 방부제인 메칠 파라벤, 페녹시 에탄올보다 적은 농도로도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하지만 화장품 제형에 M330을 혼합하면 점증제인 carbopol (carboxy vinyl polymer)과의 정전기적 인력 결합으로 침전이 생기면서 점도가 떨어지고 항균효과도 크게 떨어지는 현상이 일어났다. 따라서 화장품 제형에서 M330의 항균효과를 회복시키고 제형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ethosome 베시클로 M330의 캡슐화를 시도하였다. M330을 ethosome에 캡슐화하여 화장품 제형에 첨가한 결과 침전이 형성되지 않았고 캡슐화되지 않은 M330을 첨가했을 때보다 점도의 감소폭이 적었다. 챌린지 테스트를 시행한 결과, M330을 캡슐화하여 첨가했을 때 E. coli나 P. aeruginosa 등의 그람 음성균에서는 항균활성이 더욱 향상되었지만 그람 양성균인 S. aureus와 진균인 C. albicans에서는 캡슐화에 의한 효과가 없었고, 특히 C. albicans에서는 1주일 동안 생균수의 감소가 전혀 없었다. M330에 EDTA를 혼합하여 실시한 챌린지 테스트 결과 C. albicans에 대한 항균활성이 크게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두 성분을 함께 캡슐화 했을 때는 더욱 빠른 속도로 균이 사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lmitoyl tripeptide (M330) showed higher antimicrobial activities than methyl paraben or phenoxy ethanol through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test. However, when the M330 was added into cosmetic formulation, white precipitates formed due to the electrostatic interaction between M330 and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펩타이드 항균제를 화장품 방부제로 활용 가능성을 살펴본 것으로 미원상사(주)(안산, 경기도)에서 새롭게 합성 개발한 펩타이드인 palmitoyl tripeptide (M330)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M330은 기존의 화장품 방부제인 메칠 파라벤, 페녹시 에탄올보다 항균력이 우수하지만 화장품에 적용할 경우 방부효과가 저하되고 침전이 생기며 점도가 떨어지는 등 제품의 질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부제는 어떤 부작용을 가지고 있는가? 화장품이 미생물에 오염되면 향취이상, 색상, 질감 및 점도변화, 곰팡이 발생 등의 품질 저하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미생물이 일으키는 변패, 변취 등으로부터 화장품을 장기간 보호하기 위해서 방부제를 첨가할 필요가 있다. 방부제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사멸시켜 제품의 질 저하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이들은 피부 자극 유발의 원인이 될 수 있고[1], 기본적으로 세포 독성을 갖고 있어 대량 사용 시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제품의 안전성 안정성을 고려하여 최소의 유효량으로 배합할 필요가 있다.
대체 방부제로서 펩타이드에 관한 관심은 기존 방부제의 어떤 문제 때문인가? 파라벤류 방부제를 대체하여 사용하는 이소프로필 알콜 역시 점막에 자극을 주고 피부 알러지를 유발할 수 있고 이외에도 이미다졸리 디닐 우레아,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페녹시 에탄올 등 기존 방부제 들에 대해서도 여러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9-12]. 이러한 여러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화장품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안전성 문제로 인하여 방부제를 안 넣을 수는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자극이 적은 대체 방부제로서 펩타이드의 항균활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방부제로서 파라벤이 가지는 장점은 무엇인가? 화장품에 쓰이는 대표적인 방부제인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일명 파라벤(paraben)은 여러 세균 및 진균에 대해 효과적이며 냄새가 없고 변색, 경화, 혼탁 등을 일으키지 않고 독성이 비교적 낮다. 비용 또한 저렴하며 넓은 pH 영역과 고온에서도 화학적 안정성을 갖고, 메칠 파라벤과 에칠 파라벤, 부칠 파라벤 등을 혼합 사용하면 적은 양으로도 효과적인 방부효과를 올릴 수 있는 등 여러 장점으로 인하여 화장품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2-3]. 하지만 파라벤 성분은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거나 호르몬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물론 체내에 쌓여 장기적으로 암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D. S. Orth and J. J. Kabara, Preservative-free and self-preserving cosmetics and drugs: application of hurdle technology, Cosmet. Toiletr., 113, 51-58 (1998). 

  2. D. S. Orth, Use of parabens as cosmetic preservatives, Int. J. Dermatol., 19, 504-505 (1980). 

  3. D. Steinberg, Z. Hirschfeld, I. Tayeb, S. Ben-Yosef, A. David, and M. Friedman, The effect of parabens in a mouthwash and incorporated into a sustained release varnish on salivary bacteria, J. Dent., 27, 101-106 (1999). 

  4. E. J. Routledge, J. Parker, J. Odum, J. Ashby, and J. P. Sumpter, Some alkyl hydroxy benzoate preservatives (parabens) are estrogenic, Toxicol. Appl. Pharm., 153, 12-19 (1998). 

  5. S. Oishi, Effects of propyl paraben on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Food Chem. Toxicol., 40, 1807-1813 (2002). 

  6. W. F. Schorr, Paraben allergy: A cause of intractable dermatitis, JAMA, 204, 859-862 (1968). 

  7. I. L. Schamberg, Allergic contact dermatitis to methyl and propyl paraben, Arch Dermatol., 95, 626-628 (1967). 

  8. P. D. Darbre1, A. Aljarrah, W. R. Miller, N. G. Coldham, M. J. Sauer, and G. S. Pope, Concentrations of parabens in human breast tumours, J. Appl. Toxicol., 24, 5-13 (2004). 

  9. J. Garcia-Gavin, R. Lissens, A. Timmermans, and A. Goossens, Allergic contact dermatitis caused by isopropyl alcohol: a missed allergen?, Contact Dermatitis., 65, 101-106 (2011). 

  10. D. Lujan, B. Hernandez-Machin, Y. Penate, and L. Borrego, Contact urticaria due to phenoxy ethanol in an aftershave, Dermatitis., 20, E10 (2009). 

  11. S. Pfuhler and H. U. Wolf, Effects of the formaldehyde releasing preservatives dimethylol urea and diazolidinyl urea in several short-term genotoxicity tests, Mutation Res., 514, 133-146 (2002). 

  12. S. H. Mandy, Contact dermatitis to substituted imidazolidinyl urea-a common preservative in cosmetics, Archs Derm., 110, 463 (1974). 

  13. A. Giacomettia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polycationic peptides, Peptides., 20, 1265-1273 (1999). 

  14. A. Giacomettia, O. Cirionia, M. S. Del Pretea, F. Barchiesia, A. Mataloni Paggia, E. Petrellib, and G. Scalisea, Comparative activities of polycationic peptides and clinically used antimicrobial agents against multidrug-resistant nosocomial isolates of acinetobacter baumannii, J. Antimicrob. Chemother., 46, 807-810 (2000). 

  15. M. Malmsten et al, Antimicrobial peptides derived from growth factors, Growth Factors, 25, 60-70 (2007). 

  16. S. Maher and S. McClean, Melittin exhibits necrotic cytotoxicity in gastrointestinal cells which is attenuated by cholesterol, Biochem. Pharmacol., 75, 1104-1114 (2008). 

  17. 이윤섭 and 최혜정, 지방산 트리펩타이드염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특허 10-1151878 (2012). 

  18. T. M. Taylor, S. Gaysinsky, P. M. Davison, B. D. Bruce, and J. Weiss, Characterization of antimicrobial-bearing liposomes by zeta-potential, vesicle size, and encapsulation efficiency, Food Biophysics, 2, 1-9 (2007). 

  19. O. Gortzi, S. Lalas, I. Chinou, and J. Tsaknis, Evaluation of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Origanum dictamnus extracts before and after encapsulation in liposomes, Molecules, 12, 932-945 (2007). 

  20. P. S. Malheiros, V. Sant'Anna, M. S. Barbosa, A. Brandeli, and B. D. G. Melo Franco, Effect of liposome-encapsulated nisin and bacteriocin-like substance P34 on Listeria monocytogenes growth in Minas frescal cheese, Int. J. Food Microbiol., 156, 272-277 (2012). 

  21. P. S. Malheiros, D. J. Daroit, and A. Brandeli, Food applications of liposome-encapsulated antimicrobial peptides, Trends in Food Science & Tech., 21, 284-292 (2010). 

  22. T. M. Taylor, B. D. Bruce, J. Weiss, and P. M. Davidson, Listeria Monocytogene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inhibition in vitro by liposome encapsulated nisin and ethylene diaminetetraacetic acid, J. Food Safety, 28, 183-197 (2008). 

  23. J. K. Branen and P. M. Davison, Enhancement of nisin, lysozyme, and monolaurin antimicrobial activities by ethylene diaminetetraacetic acid and lactoferrin, Int. J. Food Microbiol., 90, 63-74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