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의 정신과 진료 연계 관련 특성
The Psychiatric Treatment Link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Room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0 no.2, 2014년, pp.93 - 102  

박한나 (양산부산대학교병원) ,  전성숙 (부산대학교 간호학과) ,  변은경 (경남정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ttempting suicide and to analyze treatment determination factors for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who go to an emergency center for treatment. Methods: Data collected from 117 suicide attempters who visited Busan Regional Em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실을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정신과적 평가 및 치료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를 확인하고, 정신과 진료와 관련된 자살시도자의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정신과 진료가 이루어지지 않은 이유의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하지만 B시의 응급의료센터 한 곳을 대상으로 응급실을 내원한 자살시도자에 대한 윤리적인 측면을 고려한 자료수집의 제한으로 확대해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 본 연구는 응급실을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특성과 자살시도자가 정신과 진료를 거부하는 이유와 이와 관련된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전자 의무기록과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전·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응급실을 방문한 자살시도자의 특성을 알아보고, 또한 정신과적 치료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원인 및 정신과 진료가 이루어지지 않은 집단의 특성을 확인한 결과에 따라 다음과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을 방문한 자살시도자의 특성을 알아보고, 또한 정신과적 치료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원인 및 정신과 진료가 이루어지지 않은 집단의 특성을 확인하여 자살시도자가가 정신과적 평가와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응급실을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재시도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응급실 입원 당시에 자살시도자에 대한 정신과적 개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전향적 연구를 통해 응급실을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정신과 진료와 관련된 자살시도자의 특성을 비교하며, 후향적 연구를 통해 정신과적 평가 및 치료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를 확인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정신과 진료 연계와 자살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 및 사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 재시도와 관련 있는 요인은? 자살 재시도자의 특성 중 나이, 성별과 정신적 질병이 재시도와 관련 있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Christiansen & Jensen, 2007). 그 중 정신 질환적 특성에 관한 국내 연구를 보면 음독 환자 중 기존에 정신 병력이 있는 경우가 16%였고, 정신 병력이 새로 진단된 경우가 94 동서간호학연구지 20(2), 2014 36.
자살 재시도율을 낮추기 위한 적극적인 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는? 자살시도자 중에 정신과 전문의에게 추적 진료를 받은 집단에서는 재시도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Kapur et al., 2004), 자살시도자에게 18개월간 ‘인지요법을 적용한 군’은 정신과 진료 및 약물 복용을 포함한 ‘통상적 진료’에 비해 자살 재시도율이 약 2배 낮게 나타났다(Brown et al., 2005). 이는 자살시도자의 재시도율을 낮추기 위해서 자살시도자에 대한 정신과 진료뿐만 아니라 정신치료와 개인 및 집단치료 등이 연계된 적극적인 치료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OECD 2010년 기준 한국 자살률은?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ealth Data (2010)에 따르면 한국 자살률은 십만명당 28.1명으로 OECD 회원국의 자살률 중 최고수준이며, 평균 자살률인 11.2명 보다 두 배 이상 높다(Statistics Korea,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J. Y., & Park, H. J. (2011).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suicidal injury in Busan.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7(3), 109-126. 

  2. Bak, S. S, & Kim, K. S. (2010). A study about depression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5), 2555-2566. 

  3. Baraff, L. J., Janowicz, N., & Asarnow, J. R. (2006). Survey of California emergency departments about practices for management of suicidal patients and resources available for their care.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48, 452-458. 

  4. Barr, W., Leither, M., & Thomas, J. (2005). Psychosocial assessment of patients who attend an accident and emergency department with self-harm.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2(2), 130-138. 

  5. Brown, G. K., Have, T. T., Henriques, G. R., Xie, S. X., Hollander, J. E., & Beck, A. T. (2005). Cognitive therapy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attempt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4(5), 563-570. 

  6. Cho, J. H., Chung, S. P., Lee, M. S., & Seo, Y. M. (2008). Survey of the management systems and decision-making process of emergency medicine and psychiatry for patients attempting suicid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9(5), 535-540. 

  7. Cho, J. K., Park, I. C., Yoon, Y. S., Kim, S. H., & Lee, K. R. (2005). Psychiatric follow-up after ED discharge in cases of intentional poiso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6(1), 158-163. 

  8. Choi, D. C., Kim, H. R., Kim, C. H., Kin, S. H., Cho, Y. R., & Pyo, K. S. (2000).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room.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athology, 9(1), 36-49. 

  9. Christiansen, E., & Jensen, B. F. (2007). Risk of repetition of suicide attempt, suicide or all deaths after an episode of attempted suicide: are gister-based survival analysis. The Royal Australian and New Zealand Colleage of Psychiatrists, 41(3), 257-265. 

  10. Chung, I. W., Park, J. R., & Kim, J. J. (1996).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icidal attempters. Chungbuk Medical Journal, 6(1), 135-148. 

  11. Doshi, A., Boudreaux, E. D., Wang, N., Pelletler, A. J., & Camargo, C. A. (2005). National study of US emergency department visits for attempted suicide and self-inflicted injury. 1997-2001.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46(4), 369-375. 

  12. Fleming, T. M., Merry, S. N., Robinson, E. N., Denny, S. H., & Watson, P. D. (2007). Self-reported suicide attempts and associated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New Zealand. The Royal Australian and New Zealand Colleage of Psychiatrists, 41(3), 213-221. 

  13. Howson, M. A., Yates, K. M., & Hatcher, S. (2008). Re-presentation and suicide rates in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who self-harm. Emergency Medicine Australasia, 20(4), 322-327. 

  14. Jeong, D. Y. (2009). A study on the countermeasure to death caused by suicide in Gangwondo.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37, 441-479. 

  15. Jung, W. Y. (2009). Risk factors in completed/non-completed suicide and effectiveness of conventional psychiatric treatment on re-attemp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6. Kapur, N., Cooper, S., Hiroeh, U., May, C., Appleby, L., & House, A. (2004). Emergency department management and outcome for self-poisoning: A cohort study. General Hospital Psychiatry, 26(1), 36-41. 

  17. Kim, S. Y., Song, H. S., Kim, K. D., & Lee, K. K. (1999). A study of patients with suicidal attemp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0(4), 560-567. 

  18. Kim, Y. H., & Kim, Y. S. (2011).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mong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9(1), 39-47. 

  19. Kim, Y. S. (2009). The effects of stress, coping, depression, hopelessness on suicide ideation in the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1(4), 1907-1921. 

  20.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3). 2012 Death Statistics. Retrieved Oct, 28, 2013, from http://kostat.go.kr 

  21. Lustberg, L., Reynolds, I., & Charles, F. (1999). Depression and insomnia : Questions of cause and effect. Sleep Medicine Review, 4(3), 253-262. 

  22. Moon, K. T. (2006). Influence of diseases and socioeconomic factors in suicid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3. Park, E. O., Hyun, M. Y., Lee, C. I., Lee, E. J., & Hong, S. C. (2007). A study on regional differentials in death caused by suicide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1), 44-51. 

  24. Park, H. J., Kim, S. S., Kang, E. J., Byun, S. H., & Bang, J. S. (2011). A study on the status of type of cause suicidal impulse. The Korean Association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3(2), 75-91. 

  25. Park, J. H. (2007). Clinical observation of acute drug intoxication patients in an emergency depar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Jeonbuk. 

  26. Park, K. (2004). The moderation and mediating effects of problem solving and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life stress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9(2), 265-283. 

  27. Park, S. M., & Huh, H. (2009). The effect of the music therapy and mediation on emotional-unstability and depression for adolesc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1(4), 2005-2022. 

  28. Park, S., Cho, S., & Moon, S. (2010).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Role of emotional and instrumental support.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9(4), 389-397. 

  29. Sin, S. W. (2008).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suicid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8(3), 190-196. 

  30. Weisman, A. D., & Worden, J. W. (1972). Risk-rescue rating in suicide assessment.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6(6), 553-5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