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에 내원한 약물음독의 자살 시도자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참여의 제한점
Limitation of Psychiatric Intervention for Suicidal Drug Intoxication Patients in Emergency Room 원문보기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toxicology, v.14 no.1, 2016년, pp.37 - 46  

이주환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의료원 응급의학과) ,  양승준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의료원 응급의학과) ,  은승완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의료원 응급의학과) ,  진상찬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의료원 응급의학과) ,  최우익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의료원 응급의학과) ,  정성원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factors hindering psychiatric intervention for suicide attempters in the emergency room (ER). Methods: Participants were 299 patients aged 18 years or older admitted to the ER for suicidal drug overdose between July 2012 and June 2014. Patients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자살 시도로 응급실에 내원하여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권유받은 환자가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에 참여하기 어려운 요인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약물음독의 자살 시도자를 대상으로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에 참여하기 어려운 제한점을 파악하여 자살 시도자에게 효과적인 사후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3년 사망 원인 통계 자료에 의하면 자살은 몇 위 인가? 자살은 우리나라의 심각한 사회경제적인 문제로 대두되어 왔다. 2013년 사망 원인 통계 자료에 의하면 자살은 국가 전체 사망 원인 중 4위(5.4%)에 해당하며, 10세 이상에서 발생하는 외인사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응급실에 내원하는 자살 시도자들이 가장 많이 시도하는 자살 방법은? 응급실에 내원하는 자살 시도자들은 약물음독이 90%로 가장 많으며, 약물음독 환자에서 음독 동기가 자살인 경우는 70% 이상이라는 보고가 있다3-5). 그러므로 응급실에서는 약물음독으로 인한 신체적 손상에 대한 치료뿐 아니라 환자의 음독 동기나 선행 원인을 파악하여 동반된 정신건강의학과적 문제나 자살 재시도 위험 등을 고려하여 정신건강의학과에 진료를 의뢰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살 시도자로 응급실을 방문한 사람의 병력 조사 내용은 무엇인가? 환자의 병력 조사는 응급실 의무기록지를 바탕으로 나이, 성별, 자살 시도 동기, 이전 정신건강의학과 병력, 자살시도 과거력, 음독 약물의 종류, 당시 음주 여부, 자살의 계획성 여부, 자살 시도 장소, 응급실 내원까지 소요시간, 내원한 시간과 요일, 응급실 체류시간, 내원 당시 의식 상태, 동행한 보호자, 응급실까지의 내원 방법을 조사하였다. 응급실 내원 당시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만족도에 대한 평가는 해당 연구 기간에 진료군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설문지(Appendix 1)를 배포 후 응급실 재원 중 완료하여 제출하도록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eoul: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of 2013; 2013.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ko/5/2/index.board?bmoderead&aSeq330389 [cited 23 September 2014]. 

  2.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Seoul: Social cost due to diseases of 2012; 2012. Available from: http://www.nhis.or.kr/bbs7/boards/B0039/13429 [cited 9 February 2015]. 

  3. Park JH, Wi DH. Clinical analysis of the suicidal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center. J Korean Soc Emerg Med 1999;10:568-78. 

  4. Kang JH, Lee HN, Jin YH, Lee JB. A clinical analysis of acute drug intoxication in emergency department setting. J Korean Soc Emerg Med 1999;10:431-40. 

  5. Song DH, Lee JH, Suh HS, Lee HS. The psychiatric characteristics of repeated suicide attempters. Korean J Psychopathol 1996;5:77-86. 

  6. Cho JK, Park IC, Yoon YS, Kim SH, Lee KR. Psychiatric follow-up after ED discharge in cases of intentional poisoning. J Korean Soc Emerg Med 2005;16:158-63. 

  7. Park HN, Jun SS, Byun EK. The psychiatric treatment link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room. J East-West Nurs Res 2014;20:93-102. 

  8. Kim SY, Song HS, Kim KD, Lee KK. A study of patients with suicidal attempt. J Korean Soc Emerg Med 1999;10:560-7. 

  9. Hur JM, Chun WC, Min YG, Jung YS. Analyses of suicide victims admitted via the emergency department - based on psychiatric histories, past suicidal attempts and psychiatric diagnoses. J Korean Soc Clin Toxicol 2004;2:106-15. 

  10. Howson MA, Yates KM, Hatcher S. Re-presentation and suicide rates in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who selfharm. Emerg Med Australas 2008;20:322-7. 

  11. Jenkins GR, Hale R, Papanastassiou M, Crawford MJ, Tyrer P. Suicide rate 22 years after parasuicide: cohort study. BMJ 2002;325:1155. 

  12. Gibbons RD, Brown CH, Hur K, Marcus SM, Bhaumik DK, Mann JJ. Relationship between antidepressants and suicide attempts: an analysis of the Veterans Health Administration data sets. Am J Psychiatry 2007;164:1044-9. 

  13. Cho JH, Chung SP, Lee MS, Seo YM. Survey of the management systems and decision-making process of emergency medicine and psychiatry for patients attempting suicide. J Korean Soc Emerg Med 2008;19:535-40. 

  14. Kwon JW, Ko YH, Han CS, Lee MS, Yoon HK, Lee HJ, et al.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referral to psychiatric care in the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center. Korean J Psychosomatic Med 2013;21:106-13. 

  15. Lee JC, Kang HG, Kim CS, Oh JH, Lim TH, Ahn DH, et al. The factors affecting the registration rates for emergency department based post-suicidal care program.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5;13:25-32. 

  16. Kim HJ, Kim HM, Kim HJ, Cho YS, Lee MG, Jun DH, et al. Association of prescribed drug intoxication and neuropsychiatric history.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1;9:77-80. 

  17. Suokas J, Lonnqvist J. Work stress has negative effects on the attitudes of emergency personnel towards patients who attempt suicide. Acta Psychiatry Scand 1989;79:474-80. 

  18. Denning DG, Conwell Y, King D, Cox C. Method choice, intent, and gender in completed suicide. Suicide Life Threat Behav 2000;30:282-8. 

  19. Suokas J, Lonnqvist J. Selection of patients who attempted suicide for psychiatric consultation. Acta Psychiatry Scand 1991;83:179-82. 

  20. Kapur N, Cooper J, Hiroeh U, May C, Appleby L, House A. Emergency department management and outcome for self-poisoning: a cohort study. Gen Hosp Psychiatry 2004;26:36-41. 

  21. Wilson JF. Finland pioneers international suicide prevention. Ann Int Med 2004;140:853-6. 

  22. Jang NG, Kim JJ, Park WB, Cho JS, Hyun SY, Lim YS, et al. Efficacy of a program associated with a local community of suicide attempters who visited a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J Korean Soc Emerg Med 2012;23:696-7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