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텐철사를 전극으로 이용하는 미생물연료전지의 전류 발생
Current Generation from Microbial Fuel Cell Using Stainless Steel Wire as Anode Electrode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6 no.11, 2014년, pp.753 - 757  

장재경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김경민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변성아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유영선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장인섭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  강연구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김영화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화전극부 전극은 단순히 전자를 받아 전달할 수 있는 역할 뿐만 아니라 공극이 많아 표면적이 큰 구조로 미생물을 고정화할 수 있는 표면적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미생물의 수가 많을수록 폐수처리 효율과 전류발생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극은 미생물연료전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자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미생물연료전지에 사용하는 고가의 흑연펠트를 스텐철사 타래(철 수세미)로 대체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 사용된 가축분뇨는 전처리를 거친 후 유기오염물질(COD)로 500 mg/L로 희석한 것을 이용하였고, 이때 전류 발생은 스텐철사 타래를 적용하였을 때 약 5% 정도 낮았지만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오염물질(COD)의 감소는 스텐철사 타래를 이용하였을 때 88.3%이었으며, 흑연펠트를 사용하였을 때 82.4%로 스텐철사 타래의 제거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암모니아성 질소 이온의 경우는 두 경우 모두 반응시간에 따라 농도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 스텐철사 타래를 적용하였을 때 전류발생이나 수처리 측면 모두 효과가 유사하거나 더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초기 시스템을 구축하는 비용을 약 1/50 정도로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되어. 흑연펠트 대체제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ode electrode in a microbial fuel cell (MFC) should transfer the receiving electron as well as provide large surface area that can be immobilized microorganisms. Microorganisms' population is one of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the current generation and to treat the livestock wastewater by biolo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축분뇨는 고농도 질소이온(NH3-N, NO2-N, NO3-N)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중 암모니아성 질소는 미생물의 저해제로 작용하고, 질산성 질소는 전자수용체로 작용하여 산화전극에서 전자가 NO3- → NO2- → NH3+로 환원되는데 사용되어 전류 발생을 강조하는 원인이 된다.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전처리한 후 사용하였다. Table 1에 전처리 된 가축분뇨의 성상을 나타냈다.
  • 그러나 흑연펠트는 이러한 장점을 갖고 있는 반면에 고가이기 때문에 미생물연료전지를 스케일 업 하기 위해서는 탄소전극을 대체할 수 있는 저가의 재료의 적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가 흔히 보는 철 수세미(스텐철사)를 이용하여 탄소전극을 대체할 수 있는지를 전류발생 및 폐수 처리능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철 수세미는 가늘고 긴 철사가 타래모양의 형상으로 뭉쳐 있어 판상형이나 매쉬 형태보다 큰 표면적을 갖게 된다.
  • 본 연구는 미생물연료전지 운전에 사용하고 있는 고가의 흑연펠트 물질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 철 수세미(스텐철사 타래)를 적용하여 전류발생 및 수처리 능을 알아보았다. 가축분뇨는 전처리를 거친 후 유기오염물질(COD)로 500 mg/L으로 희석한 것을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주방에서 사용되는 철 수세미(stainless-steel wire skein)를 산화전극으로 이용하여 흑연펠트(graphite felt)와 전류발생 양상을 비교하고 흑연펠트를 대체하여 사용함으로써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이온 교환 막의 역할은 무엇인가? 전극과 양이온 교환막은 미생물연료전지를 구성하는 중요한 재료들이지만 모두 고가라는 것이다. 이 중 양이온 교환 막은 절연성이 있으면서 선택적으로 양이온만 전달할 수 있는 기능성 재료인데, 이 막을 통해서 미생물의 대사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소이온을 환원전극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미생물연료전지는 연료로 폐수를 적용하기 때문에 멤브레인의 표면을 막아 파울링 현상(fouling)을 야기시킬 수 있다.
미생물연료전지란 무엇인가? 미생물연료전지(Microbial fuel cell, MFC)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폐수에 포함된 유기오염물질을 전자공여체(electron donor)로 이용하여 폐수 처리와 동시에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소개되면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1~5) 최근에는 일반적인 유기성 폐수뿐 만 아니라 고농도의 유기오염물질과 질소 농도를 포함하는 가축분뇨까지 미생물연료전지를 이용하여 처리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생물연료전지의 파울링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는 무엇인가? 그러나 미생물연료전지는 연료로 폐수를 적용하기 때문에 멤브레인의 표면을 막아 파울링 현상(fouling)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미생물연료전지를 구조적으로 변화시켜 멤브레인을 사용하지 않는 1실형(single-chamber) 또는 막이 없는 미생물연료전지(membraneless MFC)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2,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Gil, G. C., Chang, I. S., Kim, B. H., Kim, M., Jang, J. K., Park, H. S. and Kim, H. J., "Operational paramete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a mediator-less microbial fuel cell," Biosens. Bioelectron., 18, 327-324(2003). 

  2. Jang, J. K., Pham, T. H., Chang, I. S., Kang, K. H., Moon, H., Cho, K. S. and Kim, B. H.,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 novel mediator- and membrane-less microbial fuel cell," Proc. Biochem., 39(8), 1007-1012(2004). 

  3. Liu, H. and Logan, B. E., "Electricity generation using an air-cathode single chamber microbial fuel cell in the rresence and absence of a proton exchange membrane," Environ. Sci. Technol., 38(14), 4040-4046(2004). 

  4. Logan, B. E., Hamelers, B., Rozendal, R., Schroder, U., Keller, J., Freguia, S., Aelterman, P. and Rabaey, K., "Microbial fuel cells: methodology and technology," Environ. Sci. Technol., 40(17), 5181-5192(2006). 

  5. Rabaey, K. and Verstraete, W., "Microbial fuel cells; novel biotechnology for energy generation," Trends Biotechnol., 23(6), 291-298(2005). 

  6. Jang, J. K., Kim, S. H., Ryou, Y. S., Lee, S. H., Kang, Y. G., Kim, Y. H. and Choi, J. E., "Studies on a feasibility of swine farm wastewater treatment using microbial fuel cell,"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4), 461-466(2010). 

  7. Jang, J. K., Hong, S. H., Ryou, Y. S., Lee, E. Y., Chang, I. S., Kang, Y. K. and Kim, J. G., "Microbial communities of the microbial fuel cell using swine wastewater in the enrichment step with the lapse of time," J. Kor. Soc. Environ. Eng., 35(12), 973-977(2013). 

  8. Min, B., Kim, J. R., Oh, S. E., Regan, J. M. and Logan, B. E., "Electricity generation from swine wastewater using microbial fuel cell," Water Res., 39, 4961-4968(2005). 

  9. Lee, Y. and Nirmallkhandan, N., "Electricity production in membrane-less microbial fuel cell with livestock organic solid waste," Bioresour. Technol., 102, 5831-5835(2011). 

  10. Zhou, M., Chi, M., Luo, J., He, H. and Jin, T., "An overview of electrode materials in microbial fuel cells," J. Power Sour., 196, 4427-4435(2011). 

  11. Wei, J., Liang, P. and Huang, X., "Recent progress in electrodes for microbial fuel cells," Bioresour. Technol., 102, 9335-9344(2011). 

  12. Gong, X. B., You, S. J., Wang, X. H., Zhang, J. N., Gan, Y. and Ren, N. Q., "A novel stainless steel mesh/cobalt oxide hybrid electrode for elfficient catalysis of oxygen reduction in a microbial fuel cell," Biosens. Bioelectron., 55, 237-241 (2014). 

  13. Duman, C., Mollica, A., Feron, D., Basseguy, R., Etcheverry, L. and Bergel, A., "Marine microbial fuel cell: Use of stainless steel electrodes as anode and cathode materials," Electrochem. Acta, 53, 468-473(2007). 

  14. Jang, J. K., Choi, J. E., Ryou, Y. S., Lee, S. H. and Lee, E. Y., "Effect of ammonium and nitrate on current generation using dual-cathode microbial fuel cells," J. Microbial. Biotechnol., 22(2), 270-273(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