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조문화재 균열부 보존처리 충전제의 현황과 임상실험 고찰 - 활석을 혼합 한 충전제의 표면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f Stone Cultural Heritage on Filler Status and Clinical Trials of Conservation Treatment in Cracks - Focusing on the Change in Surface of the Filler by Mixing the Talc -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0 no.4, 2014년, pp.383 - 393  

이태종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오정현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김사덕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이장존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석조문화재 균열부분과 표면 마무리를 위한 보존처리는 현재까지 에폭시수지에 다양한 충전제를 혼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장기적 보존을 위해 이와 같은 보존처리는 필요하다. 하지만 보존처리 된 54건에 대한 현장조사와 임상실험 결과 충전제 중 활석이 포함된 경우 표면변색과 균열 등 재 손상이 확인되었다. 현장조사는 수리보고서와 처리 담당자 인터뷰, 현미경조사, 현장에서 수습한 처리 시편의 ICP 분석을 병행하여 활석 사용여부를 확인하였다. 임상실험은 현장조사에서 확인된 활석에 의한 영향평가를 위해 촉진내후성시험 후 색차와 초음파측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활석이 포함된 시편에서의 물성저하가 두드러졌다. 따라서 향후 균열부분 보존처리는 활석의 사용은 자제하고 동질 석분만을 충전제로 선택하여 처리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used for the epoxy resin, a mixture of various fillers conservation of cracks of the stone cultural heritage. Such as conservation treatment is need to for long-term conservation. However, field research and experiments on the conservation treatment results when included 54 cases of talc fil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에 달한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현장조사에서 확인 된 활석 사용에 따른 재 손상과 양호한 상태가 확인된 처리 사례를 분석, 고찰하였다. 아울러 관련 실험을 통해 석조문화재 균열부분 보존처리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아울러 관련 실험을 통해 석조문화재 균열부분 보존처리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현장조사 사례는 보존처리 관련 기관의 이해관계를 감안하여 양호한 사례만 소개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현장조사에서 확인 된 활석 사용에 따른 재 손상과 양호한 상태가 확인된 처리 사례를 분석, 고찰하였다. 아울러 관련 실험을 통해 석조문화재 균열부분 보존처리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현장조사 사례는 보존처리 관련 기관의 이해관계를 감안하여 양호한 사례만 소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조문화재를 구성하는 암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떤 변화를 보이는가? 석조문화재를 구성하는 암석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서서히 풍화가 진행되어 탈락, 균열, 박리 ‧ 박락 등 훼손이 일어난다. 더욱이 산업화의 급진전과 이에 따른 환경오염 및 지구 환경의 변화는 대부분 옥외에 노출되어 있는 석조문화재의 손상을 가중시키고 있다(Song et al.
균열은 무엇인가? , 2009). 표면 풍화, 표면오염, 생물피해 등으로 분류되는 손상형태 중 표면풍화의 최초 시작은 균열이다. 균열은 한 부위가 다른 부위로부터 분리된 결과로 발생하며 육안으로 명확히 식별 가능한 틈으로 확장될 경우 박리박락, 탈락 등 물리적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균열과 박리부분의 손상으로 인한 결과를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Park, 2009) 특히 균열과 박리부분의 손상을 방치할 경우 부재표면 탈락, 조각부위 박락 등 표면풍화 가속화에 따른 문화재로서의 원형과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적절한 보존처리를 통해 손상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보존처리의 재료적 측면에서 균열부분 처리는 모든 문화재에 보편적으로 고려되는 처리 전 원래 형태로 되돌릴 수 있는 가역성과는 대치되는 경우가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Choi, Y.S., Park, Y.J., Kang, Y.S., Won, J.O., Kim, J.J., and Kim, S.D., 2012, Tuning Exothermic Curing Reaction of Hydrogenated Bisphenol A Epoxy Resins for Stone Conservation,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8, 131-1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Do, M.H., 2010, Variation of Physical Properties with Mixing Ratio of Fillers for Conservation Treatment of Stone Cultural Heritage, Kongju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68-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Jun, B.K., Han, M.S., Lee, J.J., and Song, C.Y., 2006, Present State and Statistical Analysis of Stone Cultural Heritage by National Appointment in Republic of Korea, Conservation Studies, 27, 44-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im, D.R., and Do, J.Y., 2009, Effect of Talc Content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Epoxy Resins in Conservation Treatment of Stone Monument,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5, 77-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S.D., Kim, S.K., Kim, C.S., Hong, J.K., Kang, D.I., and Lee, M.H., 1999, Studies on the epoxy resins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Conservation Studies, 20, 140-1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S.H., 2005, Research on ultraviolet ray aging movement on Epoxy resin used for preserving, joining cultural assets, Hanseo University master's thesis, 22-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Park, S.C., 2009, A Study on the deterioration mechanism of the surface cracker in the Seven-Storied Pagoda of the Naksansa Temple, Korea,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8-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Song, C.Y., Han, M.S., Lee, J.J., Jun, B.K., and Do, M.H., 2009, Characteristic Analysis on Mixed Filler of Conservation Materials for Stone Cultural Heritag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5, 439-4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