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차성 단일증상성 야뇨증 환아에서 소변내로의 요칼슘배설에 대한 연구
Urinary Calcium Excretion in Children with Primary Monosymptomatic Nocturnal Enuresis 원문보기

대한소아신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v.15 no.2, 2011년, pp.146 - 153  

정우영 (인제의대 부산백병원 소아청소년과) ,  조민현 (경북의대 소아청소년과) ,  박용훈 (영남의대 소아청소년과) ,  대한 소아배뇨장애야뇨증학회 (대한 소아배뇨장애야뇨증학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야간다뇨증과 요실금을 가진 아동에서 고칼슘뇨증이 원인적 요인의 하나로 관여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일부 연구자들은 야뇨증을 가진 아동들을 진단함에 있어서 소변내로의 칼슘배설의 정도를 측정할 것을 권유하였다. 그러나 다른 연구자들은 야뇨증과 소변내로의 칼슘배설 사이에 의미있는 연관성을 입증하지 못했다. 이에 저자들은 일차성 단일증상성 야뇨증을 가진 환아들을 대상으로 소변내로의 칼슘 배설을 측정하여 야뇨증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방법:야뇨증으로 처음 진단 받은 5세 이상의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장 칼슘농도를 측정하였으며, 단회뇨를 이용한 소변검사를 통해서 소변 삼투압, Na, 요소 및 Ca/Cr 농도비를 동시에 측정하였다. 24시간 소변의 채집은 오전 8시부터-오후 8시, 오후 8시부터-다음날 오전 8시로 두 번에 나누어 채집하였으며 각각의 소변 20-40 mL를 이용하여 삼투압과 Ca/Cr농도 비를 산출하였다. 고칼슘뇨증의 정의는 야뇨증 진단 당시에 주간(오전 8시-오후 8시)과 야간(오후 8시-오전 8시)으로 나누어 채집한 단회성 소변검사상에서 칼슘/크레아티닌 비가>0.2 이상이면서 24시간뇨 검사상 칼슘의 배설량이 ${\geq}4mg/kg$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36명의 환자 중에서 고칼슘뇨증에 해당하는 경우는 6명으로 16.7%의 빈도를 보였다. 고칼슘 뇨군에서의 단회뇨를 이용한 칼슘/크레아티닌 비는 주간뇨 검사에서는 $0.23{\pm}0.10$, 야간뇨 검사에서는 $0.33{\pm}0.10$로 야간뇨 검사에서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24시간뇨 검사상의 평균 칼슘 배설량은 체중 (kg)당 8.95 mg이었다. 혈청 칼슘 농도와 주간/야간 소변량의 비도 고칼슘뇨군과 정상 칼슘군 사이에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소변의 osmolality, Na 농도, 요소 농도 등도 양군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주간이나 야간에 채집된 뇨에서 각각의 해당 기간 동안의 소변량과 칼슘/크레아티닌 비 그리고 칼슘/크레아티닌 비와 요중 Na농도, 요소농도, osmolality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론 : 야뇨증 환자의 일부에서 관찰되는 고칼슘 뇨증이 야간 다뇨에 의한 일차성 단일증상성 야뇨증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Hypercalciuria has been suggested to b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nocturnal enuresis associated with polyuria. We have measured the amount of calcium excretion in the urine from children with monosymptomatic nocturnal enuresis and studied the association with enuresis. Methods : Th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들은 단일증상성 야뇨증을 가진 환아들을 대상으로 소변내로의 칼슘 배설을 측정하여 야뇨증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 그러나 다른 연구자들은 야뇨증과 소변내로의 칼슘배설 사이에 의미있는 연관성을 입증하지 못했다. 이에 저자들은 일차성 단일 증상성 야뇨증을 가진 환아들을 대상으로 소변내로의 칼슘 배설을 측정하여 야뇨증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야뇨증은 무엇으로 분류되는가? 야뇨증이란 배뇨조절이 가능한 연령에서 야간에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발병 양상과 증세에 따라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분류하며 동반되는 주간 증상 유무에 따라 단일증상성과 다증상성으로 분류한다. 야간에만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증상만을 보이는 경우를 단일증상성 야뇨증이라하며, 주간에 빈뇨, 절박뇨, 요실금 혹은 주간 야뇨증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를 다증상성 야뇨증으로 분류한다[1].
야뇨증이란 무엇인가? 야뇨증이란 배뇨조절이 가능한 연령에서 야간에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발병 양상과 증세에 따라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분류하며 동반되는 주간 증상 유무에 따라 단일증상성과 다증상성으로 분류한다.
다증상성 야뇨증이란 무엇인가? 발병 양상과 증세에 따라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분류하며 동반되는 주간 증상 유무에 따라 단일증상성과 다증상성으로 분류한다. 야간에만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증상만을 보이는 경우를 단일증상성 야뇨증이라하며, 주간에 빈뇨, 절박뇨, 요실금 혹은 주간 야뇨증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를 다증상성 야뇨증으로 분류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Husmann DA. Enuresis. Urology 1996;48:184-93. 

  2. Mark SD, Frank JD. Nocturnal enuresis. Br J Urol 1995;75:427-34. 

  3. Norgaard JP, Djurhuus JC, Watanabe H, Stenberg A, Lettgen B. Experience and current status of research into the pathophysiology of nocturnal enuresis. Br J Urol 1997;79:825-35. 

  4. Eggert P, Muller-Schluter K, Muller D. Regulation of arginine vasopressin in enuretic children under fluid restriction. Pediatrics 1999;103:452-5. 

  5. Pace G, Aceto G, Cormio L, Traficante A, Tempesta A, Lospalluti ML et al. Nocturnal enuresis can be caused by absorptive hypercalciuria. Scan J Urol Nephrol 1999;33:111-4. 

  6. Kamperis K, Hagstroem S, Riittig S, Djurhuus JC. Urinary calcium excretion in healthy children and children with primary monosymptomatic nocturnal enuresis. J Urol 2006;176:770-3. 

  7. Raes A, Dehoorne J, Hoebeke P, Van Laecke E, Donckerwolcke R, Walle JV. Abnormal circulatin rhythm or nocturnal polyuria in a subgroup of children with enuresis and hypercalciuria is related to increased sodium retention during daytime. J Urol 2006;176:1147-51. 

  8. Valenti G, Laera A, Pace G, Aceto G, Lospalluti L, Penza R et al. Urinary aquaporin 2 and calaiuria corelate with the severity of enuresis in children. J Am Soc Nephrol 2000;11:1873-81. 

  9. Neveus T, Hansell P, Stenberg A. Vasopressin and hypercalciuria in enuresis: a reappraisal. BJU Int 2002;90:725-9. 

  10. Kamperis K, Hansen MN, Hagstroem S, Hvistendahl G, Djurhuus JC, Rittig S. The circadian rhythm of urine production, and urinary vasopressin and prostaglandin E2 excretion in healthy children. J Urol 2004;171:2571-5. 

  11. Rittig S, Knudsen UB, Norgaard JP, Pedersen EB, Djurhuus JC. Abnormal diurnal rhythm of plasma vasopressin and urinary output in patients with enuresis. Am J Physiol 1989;256:F664-71. 

  12. Hjalmas K, Arnold K, Bower W, Caione P, Chiozza LM, von Gontard A et al. Nocturnal enuresis: an international evidence based management strategy. J Urol 2004;171:2545-61. 

  13. Yeung CK. Nocturnal enuresis(bedwetting). Curr Opin Urol 2003;13:337-43. 

  14. Norgaard JP, Rittig S, Djurhuus JC. Nocturnal enuresis: an approach to treatment based on pathogenesis. J Pediatr 1989;114:705-10. 

  15. Dehoorne JL, Raes AM, van Laecke E, Hoebeke P, Vande Walle JG. Desmopressin resistant nocturnal polyuria secondary to increased nocturnal osmotic excretion. J Urol 2006;176:749-53. 

  16. Kuznetsova AA, Natochin YV, Papayan AV. Osmoregulatory fuction of the kidney in enuretic children. Scan J Urol Nephrol 1998;32:132-7. 

  17. Kuznetsova AA, Shakhmatova El, Prutskova NP, Natochin YV. Possible role of prostaglandins in pathogenesis of nocturnal enuresis in children. Scan J Urol Nephrol 2000;34:27-31. 

  18. Raes A, Dossche L, Hertegonne N, Nuytemans, Hoebeke P, van Laecke E et al. Hypercalciuria is related to osmolar execretion in children with nocturnal enuresis. J Urol 2010;183:297-301. 

  19. Aceto G, Penza R, Delvecchio M, Chiozza ML, Cimador M, Caione P. Sodium fraction excretion rate in nocturnal enuresis correlates with nocturnal polyuria and osmolality. J Uro 2004;171:2567-70. 

  20. Vezzoli G, Soldati L, Gambaro G. Update on primary hypercalciuria from a genetic perspective. J Urol 2008;179:1676-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