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On-line Screening HPLC-ABTS+ assay를 이용한 청호로부터 유용성분의 항산화 활성 분석
Antioxidant Activity Analysis of Useful Compounds from Artemisiae Annuae Herba Using On-line Screening HPLC-ABTS+ Assay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7 no.4, 2014년, pp.301 - 305  

이광진 (Korean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KIOM), KM-Based Herbal Drug Development Group) ,  마진열 (Korean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KIOM), KM-Based Herbal Drug Development Group)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line screen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ABTS^+$ assay를 이용한 청호로부터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vitexin, queretin, aremisinin의 항산화 활성을 온라인스크리닝 하였다. 이때 침적방법을 적용한 추출시간과 추출용매 조성으로부터 추출효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 100% 물 추출물에서 수율이 가장 좋왔고 chloroenic acid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 on-line screening HPLC-$ABTS^+$ assay 분석은 천연물에서 항산화 활성을 신속하게 탐색하는데 효율적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activity screening identification of five kind compounds in Artemisiae annuae herba with the on-line screen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BTS^+$ assay. The various experimental variables such as the extraction time (h) and extraction solvent composi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Fig. 3에서는 청호 시료1 g에서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침적방법(dipping)을 적용한 상온(25°C)에서 추출용매 100% 물, 추출시간 1−6 h 동안 수행하였다.
  • Radical scavenging 항산화 활성 분석을 위하여 ABTS+ 시험법을 사용했으며 사용된 시약은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 C18H24N6S4)와 potassium persulfate를 사용하여 완전히 녹인 후, ABTS+ 시약과 충분히 교반 후 차광시켰다.
  • 따라서 100% 물 추출물의 추출효율이 가장 좋왔고 100% 메탄올 추출물의 추출효율이 가장 낮았다. Table 2에서는 5가지 지표성분에 대하여 각각 200 ppm으로 제조한 뒤 빠른 항산화 활성 능력을 on-line screening HPLC-ABTS+ assay 시스템으로 살펴보았다.
  • UV 검출기(DAD; diode array detector)의 파장범위를 200−450 nm로 적용하여 210, 254, 280, 320 nm로 검출하였고, 항산화 활성은(MWD; multiple wavelength detector)의 734 nm로 나타내었다.
  • 각 시료는 200 mL 비이커에 추출용매 50% 수용성 메탄올, 100% 메탄올, 100% 물을 각각 100 mL를 첨가하여 침적방법(dipping)을 적용하여 추출시간 1−6 h동안 2회 반복 실험을 시행하여 물질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 070) 순으로 활성도가 높았다. 또한 추출 시료의 양이 증가된 50 g을 100% 물 추출(수율: 8.34%)에서 확보된 시료를 50 mg/mL로 제조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각 지표성분의 항산화 활성은 50% 수용성 메탄올에서는 chlorogenic acid (1, Negative peak area (mAU) 23.
  • 약리작용으로서는 해열, 이담, 구충 및 피부진균, 황달, 악창, 탈모의 치료 등에 쓰여지고 있다(Kim, 등 1999; 2002). 본 연구는 상용공정의 기초 데이터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청호의 추출액 포함된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queretin, aremisinin, vitexin의 성분을(Jung 등, 2011), On-line screen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ABTS+ assay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온라인스크리닝 하였고, 각 추출물의 추출 효율을 확인 하였다(Lee 등, 2009).
  • 1 v/v%), B: Acetonitrile(100 v/v%)을 사용하여 (A:B 90-30:10-70 v/v%)으로 60 min 동안 일정용매조성법으로 실험하였다. 본 연구는 청호의 지표성분인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vitexin, queretin, aremisinin를 선정하였고 추출 거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침적추출(dipping)을 적용한 추출용매 50% 수용성 메탄올, 100% 메탄올, 100% 물의 조건을 설정하였다. 이것의 각 추출물에서 얻은 지표성분(표준물질; 순도: 98%>)과 추출물의 빠른 항산화 활성이 확인되었고 각 추출물의 함량과 수율을 분석하여 기능성소재로 사용이 가능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 분석에 사용된 컬럼은(RS-Tech 4.6×250 mm, 5 µm, C18, Korea)와 유속은 1.0 mL/min, 주입부피는 10 µL, 컬럼오븐 온도 40°C로 고정하였다.
  • 시료의 균일성을 위하여 수분조절 용기(desiccator)에 보관하여 사용하였고 모든 시료들은 주입하기 전에 막 여과지(PVDF 0.2 µm, Waters Co., USA)를 이용하여 여과를 하였다.
  • 18 L ×550 mm Viper 550 mm, USA)가 연결되었고, 데이터 처리는 Dionex Co.의 PC에 설치된 Chromeleon data acquisition system (Dionex version 7)과 HPLC-DAD를 사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Fig 2에서는 on-line screening HPLC-ABTS+ assay 시스템을 나타내었다.
  • 이것의 각 추출물에서 얻은 지표성분(표준물질; 순도: 98%>)과 추출물의 빠른 항산화 활성이 확인되었고 각 추출물의 함량과 수율을 분석하여 기능성소재로 사용이 가능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 UV 검출기(DAD; diode array detector)의 파장범위를 200−450 nm로 적용하여 210, 254, 280, 320 nm로 검출하였고, 항산화 활성은(MWD; multiple wavelength detector)의 734 nm로 나타내었다. 이동상은 이성분계 A: H2O/TFA (99.9/0.1 v/v%), B: Acetonitrile(100 v/v%)을 사용하여 (A:B 90-30:10-70 v/v%)으로 60 min 동안 일정용매조성법으로 실험하였다. 본 연구는 청호의 지표성분인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vitexin, queretin, aremisinin를 선정하였고 추출 거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침적추출(dipping)을 적용한 추출용매 50% 수용성 메탄올, 100% 메탄올, 100% 물의 조건을 설정하였다.
  • 이후 소량의 시료를 0.2 µm PVDF Membrane filter로 여과하여 on-line screening HPLC-ABTS+ assay 분석에 사용하였다.
  • 3 A person Hannil Mixer FM)에서 2 min 동안 분쇄 후 입자를 채 거름(30 µm)으로 분별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이후, 청호 건조분말로부터 추출 효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추출시간 변화는 시료 1g을, 다양한 용매 조성변화는 시료 3g을, 각각 적용하였다. 각 시료는 200 mL 비이커에 추출용매 50% 수용성 메탄올, 100% 메탄올, 100% 물을 각각 100 mL를 첨가하여 침적방법(dipping)을 적용하여 추출시간 1−6 h동안 2회 반복 실험을 시행하여 물질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 청호 건조시료 50 g을 샘플의 10배 부피로 물에 1 h 동안 침적한 다음 3 h 동안 100oC에서 열탕 추출(Gyeongseo, Cosmos-660, Korea) 하였다. 추출된 추출물은 standard testing sieve (150 µm, Rs-tech, Germany)로 여과 후 동결 건조 하였다.
  • 추출물에는 많은 양의 불순물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용매추출 후 여지필터(pore size: 5 µm)에서 감압 여과하여 시료 잔유물과 분리시켰고 이후 감압 농축 후 동결건조(refrigerated vapor trap)를 하여 전체 추출 수율 계산과 시험용액으로 사용 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 사용된 청호(Artemisiae Annuae Herba) 시료는 영천 현대약업사(한국)에서 구매하여 한국한의학 연구원 한의신약개발그룹에서 엄선된 시료를 사용하였다. 표준시료인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queretin, aremisinin은 Sigma-Aldrich (USA)에서 vitexin은 Fluka (USA)에서 구입하였다.
  • 용매는 HPLC급(99.9%)으로 메탄올, 아세토나이트릴은 J.T. Baker Inc (USA)과 TFA은 Sigma-Aldrich용액을 사용하였으며 그리고 물은 초순수 제조장치 Waters (Milipore, USA)를 이용하여 제조한 3차 증류수를 0.2 µm mbrane filter (Advantec, Japan)로 여과 처리하여 사용하였다.
  • 일정한 상온(25°C)에서 수행 하였으며 건조 분쇄된 시료는 푸두믹스(220 W, 1.3 A person Hannil Mixer FM)에서 2 min 동안 분쇄 후 입자를 채 거름(30 µm)으로 분별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 사용된 청호(Artemisiae Annuae Herba) 시료는 영천 현대약업사(한국)에서 구매하여 한국한의학 연구원 한의신약개발그룹에서 엄선된 시료를 사용하였다. 표준시료인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queretin, aremisinin은 Sigma-Aldrich (USA)에서 vitexin은 Fluka (USA)에서 구입하였다. 시료의 균일성을 위하여 수분조절 용기(desiccator)에 보관하여 사용하였고 모든 시료들은 주입하기 전에 막 여과지(PVDF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호의 약리 효과에는 무엇이 있는가? 청호의 성분으로는 abrotamine, vitamin A, βbourbonene, caryophyllene, α-pinene, β-pinene, 1,8-cineole, α-thujone 등이 함유되어있다(Kim, 등 1994). 약리작용으로서는 해열, 이담, 구충 및 피부진균, 황달, 악창, 탈모의 치료 등에 쓰여지고 있다(Kim, 등 1999; 2002). 본 연구는 상용공정의 기초 데이터를 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청호의 추출액 포함된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queretin, aremisinin, vitexin의 성분을(Jung 등, 2011), On-line screen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ABTS+ assay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온라인스크리닝 하였고, 각 추출물의 추출 효율을 확인 하였다(Lee 등, 2009).
청호의 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국화과의 식물로서 일명 황화호(黃花蒿)의 전초를 말하며 1년생 또는 2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30−150 cm, 줄기는 원통형이며 어릴적에는 청록색이다(Kim, 등 1999). 청호의 성분으로는 abrotamine, vitamin A, βbourbonene, caryophyllene, α-pinene, β-pinene, 1,8-cineole, α-thujone 등이 함유되어있다(Kim, 등 1994). 약리작용으로서는 해열, 이담, 구충 및 피부진균, 황달, 악창, 탈모의 치료 등에 쓰여지고 있다(Kim, 등 1999; 2002).
온라인스크리닝 결과 청호의 어떤 성분이 가장 항산화 활성이 높았는가? 이때 침적방법을 적용한 추출시간과 추출용매 조성으로부터 추출효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 100% 물 추출물에서 수율이 가장 좋왔고 chloroenic acid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 on-line screening HPLC-ABTS+ assay 분석은 천연물에서 항산화 활성을 신속하게 탐색하는데 효율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Hazra B, Sarma MD, and Sanyal U (2004) Separation methods of quinonoid constituents of plants used in Oriental traditional medicines. J of Chroma B 812, 259-75. 

  2. Inoue K, Kitade M, Hino T, and Oka H (2011) Screening assay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from complex natural colourants and foods using high-throughput LC-MS/MS. F Chemistry 126, 1909-15. 

  3. Jung HA, Nurul Islam MD, Kwon YS, Jin SE, Son YK, Park JJ et al. (2011)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three major aldose reductase inhibitors from Artemisia montana. F and Chemical Toxi 49, 376-84. 

  4. Kim KS, Lee SH, Lee YS, Jung SH, Park YM, Shin KH et al. (2003)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the herbs of Artemisia apiacea. J of Ethnoph 85, 69-72. 

  5. Kim KS, Lee SH, Shin JS, Shim SH, and Kim BK (2002) Arteminin, a new coumarin from Artemisia apiacea. Fitoterapia 73, 266-8. 

  6. Kim KS, Shim SH, Jang JM, Cheong JH, and Kim BK (1999) A Study on Hair-growth Activity of Artemisia apiacea Hance. Yakhak Hoeji 43, 798-01. 

  7. Kim OC and Jang HJ (1994) Volatile components of Artemisia apiacea Herba. Agr Chemistry and Biot 37, 37-42. 

  8. Lee KJ and Um BH (2008) Extraction of Useful component from Natural plants using Ultrasound system. Korean J Biotechnol Bioeng 23, 101-8. 

  9. Lee KJ, Liang C, Yang HJ, and Ma JY (2012) Rapid Identification of Homoorientin from Phyllostachys bambusoides Leaves by HPLC On-line $ABTS^+$ Screening Method. Yakhak Hoeji 56, 217-21. 

  10. Lee KJ, Shin YK, and Kim YS (2009) Enhanced effect extraction of Antioxidant substance Homoorientin from Pseudosasa japonica and Phyllostachys bambusoides leaves using Ultrasonic wave system. Korean J Biotechnol Bioeng 24, 189-94. 

  11. Ridder SD, Kooy FVD, and Verpoorte R (2008) Artemisia annua as a self-reliant treatment for malaria in developing countries- Review. J of Ethnopharmacology 120, 302-14. 

  12. Song XY, Li YD, Shi YP, Ling J, and Chen J (2013) Quality contro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a review. Chinese J of Nat Medi 11, 596-6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