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디어 환경과 사용에 대한 부모의 심성모형 연구
A Study on Parents' Mental Model of Media Environment and Children's Media Us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12, 2014년, pp.818 - 834  

이란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홍지민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환경과 자녀들의 미디어 사용에 대한 부모의 심성모형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부모들의 미디어에 대한 현상적 인식이 아동의 미디어 사용을 중재하고 바른 사용을 지도하는 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 위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12명의 초등 2-4학년 연령대 아동을 키우는 부모들과의 인터뷰, 연상 단어 제시하기, 문장 완성하기의 세 가지 활동을 통하여 내러티브 자료가 수집되고 연구자 2인에 의해 질적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먼저 미디어 환경에 대하여서는 소통과 단절, 공급과 역기능 등의 총 8개 심성모형 구성요소가 추출되었다. 아동의 미디어 사용에 대한 심성모형에서는 첫째, 부모들은 미디어에 유능함의 표상을 투영하지만 자신의 삶과는 괴리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부모들은 미디어에 대한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효과를 양면적으로 인식하고 이 중 부정적인 효과를 통제하고자 하는 이해를 드러냈다. 셋째, 디지털 미디어는 부모들에게 관계의 표상으로써 이해되고 있었다. 넷째, 미디어 사용과 관련한 소통의 방식이 다양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부모들이 미디어를 개인의 사용 영역일 뿐만 아니라 사회 체계의 일부분이라고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발견들을 토대로 미디어의 관점들(Meyrowitz, 1999)이 부모들의 심성모형에 다층적으로 반영되어 있다는 사실이 논의되었고 그 교육적 적용으로써 부모와 사회체계의 협력적 교육, 부모의 미디어 인식과 역량 강화, 커뮤니케이션의 순기능 활용 등이 제안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arents' mental model of media environment and children's media use and to provide some educational suggestions. For this purpose, twelve parents of second-graders to fourth-graders sampled in elementary schools were interviewed with three activities such as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이로위츠(Meyrowitz)는 미디어를 바라보는 매체 철학적 관점을 세 가지로 정리하였는데 각각의 세부사항은 어떠합니까? 먼저 미디어는 인간을 둘러싼 환경의 일부라고 보는 관점이다(media as environment). 인간을 둘러싼 환경은 인간에게 도움을 베풀고 인간의 삶과 상호 관련되어 있어서 인간은 이러한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일정한 책임을 지게 되는데 이러한 환경에 대한 인식은 필연적으로 환경 체계와의 공존과 조화의 사고, 통제와 상호작 용 등의 행위를 가져온다[10]. 이러한 관점에서 미디어 환경은 사회 문화의 자연스러운 산물로서 이해되며 이러한 미디어 기술이 인간의 삶을 결정할 수 있다고 믿게 한다[11]. 두 번째로 미디어를 도구로 인식하는 관점이다 (media as a vessel)[8]. 이 관점에서 미디어는 순전히 전달 수단으로서만 의미를 가지며 그 안에 담긴 내용을 받아들일 수 있다는 점에 한하여서만 미디어의 존재 의미를 부여받을 수 있다. 오늘날 효과적인 학습이나 즐거운 오락의 도구로 활용되고 있는 미디어로서의 인식은 모두 이 실용주의적 매체 철학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경우 미디어는 그 본질이나 사용에 있어서의 심리 적, 사회적 부작용 등의 고려보다는 특정 결과를 가져오는 효과성의 측면에 좀 더 무게가 놓인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관점은 미디어를 메시지, 즉 언어로 이해하는 것이다(media as a language)[9]. 이 경우 미디어 자체는 하나의 메시지이면서 해독된다. 미디어를 해독한다는 것은 미디어 안에 사회적 가치와 이데올로기적 함축이 담겨있다는 이해를 반영하며 비판적인 접근을 필요로 한다. 이 때 미디어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나 즐거움에는 거짓된 정보, 상업성, 불건전한 이미지 등도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되며 이 중에서 참된 정보와 가치를 구별해낼 수 있는 안목이 중요시된다. 또, 이러한 관점에서는 미디어를 생산해내는 창조성도 중요시되는데 미디어 환경과의 능동적인 커뮤니케 이션과 건강한 미디어 환경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중요시하게 된다[12].
부모들의 미디어 심성모형은 어떠한 개념입니까? 부모들의 미디어 심성모형은 고정적인 개념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역동적인 개념이다. 유현재는 최근 미디어에 대한 관점 변화로 말미암아 많은 부모들이 미디어를 학습과 생활의 필수품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아동의 건전한 사용을 안내하는 일에는 오히려 혼돈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한다[28].
심성모형이란 무엇입니까? 부모의 가치와 신념체계는 심성모형에 의해 지지되는데 심성모형이란 실제 대상이 가지고 있는 속성들 중에서 당면한 문제와 관련된 속성들을 인지하여 그들 간의 관계성에 대해 표상하는 정신적 모형을 일컫는다[1]. 포레스터(Forrester)에 따르면 우리 머릿속에 그리고 있는 우리를 둘러싼 세상의 이미지는 하나의 모형이다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P. N. Johnson-Laird, Mental models: Toward a Cognitive Science of Language, Inference and Consciousness, US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3. 

  2. http://clexchange.org/ftp/documents/whyk12sd/Y_2009-02LearningThroughSD.pdf 

  3. K. Craik, The Nature of Explana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43. 

  4. C. Moseley, B. Desjean-Perrotta, and J. Utley, "The Draw-An-Environment Test Rubric (DAET-R):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Mental Models of the Environment,"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Vol.16, No.2, pp.189-208, 2010. 

  5. 신금호, "유아교사들의 환경에 대한 심성모형 연구", 유아교육연구, 제34권, 제1호, pp.113-133, 2013. 

  6. J. Meyrowitz, "Multiple Media Literacie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8, No.1, pp.96-108, 1998. 

  7. J. Meyrowitz, "Understandings of Media," ETC::A Review of General Semantics, Vol.56, No.1, pp.44-52, 1999. 

  8. R. Loughland, A. Reid, and P. Petocz, "Young Peoples Conceptions of Environment: A Phenomenographic Analysi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Vol.8, No.2, pp.187-198, 2002. 

  9. 고현범, 휴대전화, 철학과 통화하다, 책세상, 2007. 

  10. D. Buckingham, Media Education: Literacy, Learning and Contemporary Culture, Cambridge, MA: Poity Press, 2011. 

  11. 김은미, 나은영, 박소라, "면대면 상호작용과 미디어 이용이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감 획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2호, pp.110-152, 2010. 

  12. D. G. Singer and J. L Singer, Handbook of Children and the Media, London: Sage, 2011. 

  13. 신영주, 김성재, 최정윤, 김창현,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적 사용과 가족의 기능적 특성과의 관계", 중독정신의학, 제7권, 제2호, pp.110-116, 2003. 

  14. G. S. Mesch, "The Family and the Internet," Social Science Quarterly, Vol.84, pp.1038-1049, 2003. 

  15. L. S. Clark, "Digital Media and the Generation Gap,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Vol.12, No.3, pp.388-407, 2009. 

  16. 이은미, "텔레비전 시청과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34권, pp.171-190, 1995. 

  17. G. H. Brody, Z. Stoneman, and A. Sanders, "Effects of Television Viewing on Family Interactions: An Observational Study," Family Relations, Vol.29, pp.216-220, 1980. 

  18. R. Kubey and M. Csikszentmihalyi, Television and the Quality of Life: How Viewing Shapes Everyday Experienc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1990 

  19. M. Orleans and M. C. Laney, "Early Adolescent Social Networks and Computer Use,"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Vol.18, pp.56-72, 2000. 

  20. R. Larson, "Secrets in the Bedroom: Adolescents' Private Use of Media,"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24, pp.535-550, 1995. 

  21. 배진아, 디지털 미디어와 가족 커뮤니케이션, 가족과 미디어, 한울아카데미, pp.97-121, 2010. 

  22. http://nms.sagepub.com/content/early/2013/12/13/1461444813516833 

  23. J. E. Grusec and M. Davidov, "Socialization in the Family: the Roles of Parents," In Grusec, J. E., & Hastings, P. D. (eds). Handbook of Socialization. NY: Guilford Press, pp.638-664, 2007 

  24. 이현순, 조맹숙,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유아컴퓨터 교육에 대한 인식", 어린이미디어연구, 제6권, 제1호, pp.203-227, 2007. 

  25. 조안나, 고영자, "가정 내 전자미디어 사용실태 및 어머니의 미디어 중재 유형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2권, 제1호, pp.1-24, 2013. 

  26. 유현재, "부모의 광고에 대한 태도, 미디어 소비행태와 아이의 비만 정도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가을정기학술대회 자료집, 서울: 서울대학교, pp.20-25, 10월 16일. 

  27. http://www.kff.org/entmedia/upload/8010.pdf 

  28. 이종규, 질적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06. 

  29. D. J. Clandinin and F. M. Connelly,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2000. 

  30. N. Lyons and V. K. LaBoskey, Narrative Inquiry in Practice: Advancing the Knowledge of Teaching,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002. 

  31. 이종규, 질적연구방법론 I, 아카데미프레스, 2012. 

  32. M. McLuhan, Understanding the Media : The Extension of Man, NY : McGraw-Hill, 1965. 

  33. 나은영, 미디어 심리학, 한나래, 2010. 

  34. 김성국, "정보화시대의 공동체-가족규범의 변화", 한국사회학, 제33권, 제2호, pp.389-415, 1999. 

  35. 배진아, 조연하, "디지털 미디어와 가족 커뮤니케이션: 모자간 소통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7권, 제1호, pp.53-91, 2010. 

  36. 강정원, 장수진, 김승옥,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유아와 가족변인의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0권, 제3호, pp.205-224, 2011. 

  37. 이현순, 조맹숙,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유아컴퓨터 교육에 대한 인식", 어린이미디어연구, 제6권, 제1호, pp.203-227, 2007. 

  38. R. Ling, 모바일 미디어와 새로운 인간관계 네트워크의 출현 (배진환 옮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