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팀워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Effects of Nurses' Teamwork on Job Satisfaction at Hospital: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12, 2014년, pp.881 - 894  

강소영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  권해경 (동남권원자력의학원 간호부) ,  조미라 (양산부산대학교병원 간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환자를 간호하면서 발휘하는 간호사간의 팀워크가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팀워크와 직무만족 인과관계에서 자기효능감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한 서술적 연구이다. Y시 소재 600병상이상 대학병원 한 곳의 최소 2명 이상의 간호사들이 함께 근무하는 간호단위조직에서 직접 및 간접간호를 담당하고 있는 근무경력 3개월 이상의 간호사 30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Sobel Test(1982)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부서의 팀워크는 5점 만점 중 평균 3.78(${\pm}0.594$)점, 직무만족은 3.30(${\pm}0.542$)점, 그리고 자기효능감은 2.80(${\pm}0.271$)점 이었다. 팀워크가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F=33.324, p<.001). Baron과 Kenny(1986)의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이 팀워크와 직무만족 관계상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었으며, Sobel test 결과 역시 자기효능감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Z=5.25, p<.001).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at (a) examining the effects of teamwork, demonstrating with other nurses at a care unit on nurses'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nd (b) identifying if there i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work and job satisfaction at a hospital. A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조직의 팀워크가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가설관계를 근거로 한 연구모형은 [그림 1]과 같다.
  • 본 연구는 의료기관 간호부서의 팀워크가 간호사의 직무만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에서 두 명 이상의 간호사가 함께 근무하고 있는 간호부서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를 간호하면서 발휘하고 있는 팀워크가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팀워크와 직무만족 관계상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게 위해 시행한 서술적 연구로서, 팀워크의 효과를 조직행동적 차원에서 확인함으로써 팀워크를 간호경영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해 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협조의사를 밝힌 600병상이상 대학병원 1곳에서 현재 간호부서/병동 근무경력이 3개월 이상, 주 40시간 이상 환자간호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간호사 30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간호조직에서 환자를 간호하면서 간호사가 발휘하고 있는 팀워크가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특히 팀워크와 직무만족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간호수행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강화하는 심리적 성과를 거두기 위한 팀워크의 조직행동적 기능을 시사점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자기효능감을 직무만족의 결정요인이라 하였다[46]. 이 같은 이론적 맥락을 통해 볼 때, 본 연구결과는 간호조직에서 발휘되는 팀워크가 간호사 개인의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자기효능감이라는 간호사 개인적 특성이 팀워크와 직무만족에 각각 간접적으로 작용하고 하여 팀워크가 간호사의 자기효능감을 통해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 간호조직은 간호사를 가장 큰 자산으로 하고 있고, 간호업무는 고유한 특성상 팀워크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팀워크를 강화시켜 환자를 간호하였을 경우 양질의 간호라는 업무성과를 거둘 뿐 아니라 부가적으로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자인 간호사의 직무만족, 즉 직장생활의 질(quality of work life)을 높이는 조직심리적인 성과도 거둘 수 있음을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시사하는 바이다.
  • 이를 토대로 팀워크와 관련된 간호경영 전략과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간호업무성과뿐 아니라 간호인적관리성과를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간호관리자는 팀워크의 중요성과 역할을 인식하고, 간호단위조직에서 환자를 간호하면서 간호사가 발휘하고 있는 팀워크를 강화시킬 수 있는 훈련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간호조직에서 환자를 간호하면서 간호사가 발휘하고 있는 팀워크가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특히 팀워크와 직무만족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간호수행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강화하는 심리적 성과를 거두기 위한 팀워크의 조직행동적 기능을 시사점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팀워크는 무엇인가? 공동의 목표와 가치를 달성하기 위해 상호의존하고 성과에 대한 책임을 공유하고 있는 개인들의 집단을 팀이라고 하는데[11], 팀이라는 조직구조에서 개인들이 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신의 지식, 기술, 능력을 통합하는 행위를 팀워크라 한다[12][16]. Larson과 LaFasto[17]는 팀워크를 팀 목표의 명확화와 결과중심 구조를 통해 효율적인 의사소통 시스템, 개인성과의 모니터링과 피드백, 사실에 기초한 의사결정의 행동을 유도하고 전문지식과 기술을 갖춘 경쟁력 있는 구성원들의 역량과 그들의 팀 활동몰입을 통해 주어진 과제완수와 설정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기반이라고 하였다.
자기효능감은 개념특성상 어떤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가? 팀워크 선행연구들[13]에서 팀구성원의 자기효능감 역시 팀워크에 의해 좌우되는 조직심리적 요인이라 하였다. 특히 자기효능감은 개념특성상[15] 팀워크와 직무만족의 관계를 연결시켜 매개변수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간호조직에서 팀워크가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특히 팀워크와 직무만족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간호현장에서의 팀워크-성과이론 성립여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팀워크는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근거는 무엇인가? 환자간호에 있어서 팀워크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조직에서의 팀워크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조직구성원간의 팀워크가 낮은 의료조직에서 의료과실이 높게 발생하였고[6][7], 간호팀에서 팀워크가 좋을수록 업무누락이 낮아진다고 하였다[8]. 또한 팀워크가 간호전문분야에서 업무수행성과에 영향을 준다고도 하였다[9][10]. 이를 통해 볼 때, 팀워크는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B. J. Kalisch, H. Lee, and E. Salas,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nursing teamwork survey," Nursing Research, Vol.59, No.1, pp.42-50, 2010. 

  2. 이혜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251-258, 2013. 

  3. D. Huber, "Leadership and Nursing Care Management," 2nd ed. Saunders Elsevier, USA, 2000. 

  4. M. Cleary, J. Horsfall, J. Mannix, M. O'Hara-Aarons, and D. Jackson, "Valuing teamwork: Insights from newly-registered nurses working in specialist mental health serv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20, 

  5. A. S. Frankel, M. W. Leonard, and C. R. Denham, "Fair and just culture, team behavior and leadership engagement: The tools to achieve high reliability," Health Services Research, Vol.41, No.4, pp.1690-1709, 2006. 

  6. L. T. Kohn, J. M. Corrigan, and M. S. Donaldson, "To erro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 C, 2000. 

  7. G. R. Baker, P. G. Norton, V. Flintoft, A. Brown, J. Cox, E. Etchells, W. A. Ghali, P. Hebert, S. R. Majumbar, and M. O'Beirne, Palacios-Derflingher, L, Reid R. J, Sheps, S, Tamblyn, R. "The canadian adverse events study: The incidence of adverse events among hospital patients in Canada,"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CMAJ), Vol.170, No.11, pp.1678-1686, 2004. 

  8. B. J. Kalisch and K. H. Lee, "The impact of teamwork on missed nursing care," Nursing Outlook, Vol.58, pp.233-241, 2010. 

  9. F. Lin, M. Chaboyer, and M. Wallis, "A literature review of organisational individual and teamwork factors contributing to the ICU discharge process," Australian Critical Care, Vol.22, No.1, pp.29-43, 2009. 

  10. E. Kilner and L. A Sheppard, "The role of teamwork and communica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Emergency Nursing, Vol.18, pp.127-137, 2009. 

  11. J. R. Hackman, "The design of work teams," In Lorsch JW (Ed.), Handbook of organizational behavior pp.315-342,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7. 

  12. 박원우, 팀웍의 개념, 측정 및 증진방법,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13. T. H. Rasmussen and H. J. Jeppesen, "Teamwork and associated psychological factors," Work & Stress, Vol.20, No.2, pp.105-128, 2006. 

  14. B. J. Kalisch, H. Lee, and M. Rochman, "Nursing staff teamwork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Vol.18, pp.938-947, 2010. 

  15. K. Nielsen, J. Yarker, R. Randall, and F. Munir, "The mediating effects of team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healthcare professionals: A cross-sectional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46, pp.1236-1244. 

  16. D. R. Forsyth, 집단역학, 5판, Cengage Learning Korea, 서울, 2014. 

  17. C. E. Larsonand and F. M. LaFasto, Teamwork: What must go right, what can go wrong, Newbury Park: Sage series in interpersonal, 1989. 

  18. 김태백, 병원종업원의 팀웍과 리더십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9. J. E. McGrath, Social psychology: A brief introduction,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1964. 

  20. D. L. Gladstein, "Groups in context- a model of task group effectivenes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9, pp.499-517, 1984. 

  21. T. E. Salas, T. L. Dickinson, S. A. Converse, and S. I. Tannenbaum, "Toward an understanding of team performance and training," In R. W. Swezey & E. Salas (Eds.), Teams: Their training and performance, Norwood, NJ: Ablex, pp.3-29, 1992. 

  22. T. L. Dickinson and R. M. McIntyre, "A conceptual framework for teamwork measurement," In M. T. Brannick, E. Salas & C. Prince (Eds.), Team performance assessment and measurement: Theory, methods, and applications, Mahwah, NJ: Lawrence Erlbaum, pp.19-43, 1997. 

  23. J. A. LePine, R. F. Piccolo, C. L. Jackson, and J. R. Saul, "A meta-analysis of teamwork processes: Tests of a multidimensional model and relationships with team effectiveness criteria," Personnel Psychology, Vol.61, pp.273-307, 2008. 

  24. 김은주, 간호사의 소진 경험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5. H. Lu, L, Barriball, X. Zhang, and A. E. While, "Job satisfaction among hospital nurses revisited: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49, pp.1017-1038, 2012. 

  26. 고종욱, 서영준,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노동보상과 직업몰입에 관한 연구", 보건행정학회지, 제12권, 제3호, pp.77-98, 2002. 

  27. 서미경, "정신보건전문가들의 팀웍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비판사회정책, 제17권, 제4호, pp.143-169, 2004. 

  28. 오지나, 정신보건센터 팀웍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9.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pp.235-247, 1997. 

  30. 이황, 병원간호조직유효성의 관련요인: 자기효능감, 상사에 대한 신뢰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31. 윤수경, 팀웍이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2. G. Torres, "A reassessment of Instruments for use in a Multivariate Evaluation of a Collaborative Pratice Project," In O. L. Strickland and C. F. Waltz(Eds.). Measurement of Nursing, Outcomes,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8. 

  33. 손명희, 중소병원 간호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4. M. Sherer and C. Adams, "Construct validity of the self-efficacy scale Psychological Reports," Vol.53, pp.899-902, 1983. 

  35. 양길모, 간호사의 임파워먼트. 업무관련 개인특성, 업무성과 관계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36.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37. M. E. Sobel,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Vol.13, pp.290-312, 1982. 

  38. B. J. Kalish and K. H. Lee, "Variations of nursing teamwork by hospital, patient unit, and staff characteristics," Applied Nursing Research, Vol.26, No.1, pp.2-9, 2013. 

  39. R. F. AbuAlRub, H. F. Gharaibeh, and E. I. Bashayeh, "The relationships between safety climate, teamwork, and Intent to staty at work among Jordanian hospital nurses," Nursing Forum, Vol.14, No.1, pp.65-75, 2012. 

  40. W. Chang, J. Ma, H. Chiu, K. Lin, and P. Lee, "Job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f quality of patient care, collaboration and teamwork inacute care hospital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5, No.9, pp.1946-1955, 2009. 

  41. M. Basadur and M. Head, "Team performance and satisfation: A link to cognitive style within a process framework," Journal of Creative Behaviro, Vol.35, No.4, pp.227-248, 2001. 

  42. L. M. Saari and T. A. Judge, "Employee attitudes and Job satisfaction," Human Reource Management, Vol.43, No.4, pp.395-407, 2004. 

  43. 김연선, "특급호텔 직원의 셀프리더십, 팀웍,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관한 인과관계", 호텔관광연구, 제12권, 제2호, pp.97-108, 2010. 

  44. 이옥주, "협력적 프로젝트 교수-학습방법이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2호, pp.321-343, 2012. 

  45. J. R. Hackman, R. Wageman, T. M. Ruddy, and C. R. Ray, "Team effectiveness in theory and practice," In: Cooper C, Locke EA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Theory and practice," Oxford, UK: Blackwell; 2000. 

  46. G. V. Caprara, C. Barbaranelli, P. Steca, and P. S. Malone, "Teachers' self-efficacy beliefs as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 study at the school level,"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Vol.44, pp.473-490,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