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임상경력과 조직 내 의사소통이 팀워크 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urses' clinical career and communication within organization on teamwork competenc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2, 2016년, pp.333 - 344  

김미종 (한남대학교 간호학과) ,  김경자 (한남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간호사는 다양한 직종 및 학제로 구성된 치료 팀의 일원으로서, 간호사의 팀워크 역량은 환자의 치료와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팀워크 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팀워크 역량 강화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지역의 A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5년 7월 20일부터 7월 31일까지, 총 141부의 설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등의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대상자의 평균 임상경력은 $8.84{\pm}6.70$년이었으며, 조직 의사소통은 평균 $3.05{\pm}0.44$점, 팀워크 역량은 평균 $3.60{\pm}0.46$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팀워크 역량에 대하여 조직 의사소통의 각 하부영역과 임상경력을 투입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7.7%(F=17.84, p<.001)였으며, 팀워크 역량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수는 수직적 의사소통, 임상경력, 수평적 의사소통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간호사들의 팀워크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임상 경력이 낮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팀워크 역량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조직 내 의사소통의 개선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nurses's clinical career and communication within organization on teamwork competency. A cross sectional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used. Convenience sampling method of 141 nurses who work at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 city was u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임상현장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팀워크 역량을 알아보고, 간호사의 주요 일반적 특성 중 하나인 임상경력과 의사소통을 포함하여 간호조직 내에 팀워크 역량에 영향을 주는 관련 요인을 탐색해 봄으로서 효과적인 팀워크 증진전략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팀워크 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서 추후 임상현장에서 간호사들의 팀워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한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 간호사의 팀워크 역량에는 간호사들의 임상경력과 간호사들이 인식하는 조직 의사소통의 만족도가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수직적 의사소통과 수평적 의사소통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팀워크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임상경력과 조직 의사소통이 팀워크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한 서술적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임상경력과 조직 의사소통이 팀워크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한 연구로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팀워크 역량에 관련된 요인을 탐색함으로서 간호사의 팀워크 역량강화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그 결과 간호사의 팀워크 역량에 대한 조직 의사소통 만족과 임상경력을 투입한 모형의 설명력은 약 3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팀워크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오늘날 질병의 중증도가 높아지고 의료전문성에 대한기대치가 높아짐에 따라 의료현장은 다양한 분야의 전문의료인들이 팀을 이루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함께 업무를 수행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1]. 환자의 안전, 진료 및 간호의 질, 직무만족을 높이고, 구성원의 이직률을 낮추는데 있어서 팀워크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2].
팀워크 역량이란 무엇인가? 팀워크는 상호보완적인 배경과 기술을 가지고 있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인력이 서로 개입하여 공통의 목표를 위하여 협력하여 행동하는 역동적인 과정이며, 팀워크 역량이란 팀 구성원이 공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자의 역할에 따라 책임을 지고 협력하여 행동하는 역량을 의미한다[3,4,5]. 현재 교육학, 스포츠, 경영 및 인력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팀워크를 적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조직의 목표달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중요한 변수로서 간주되고 있다[6,7,8].
의료기관에서 수직적 의사소통 및 수평적 의사소통이 팀워크의 역량에 영향을 주는 이유는 무엇인가? 수직적 의사소통이란 조직의 상하 간 전달되는 의사소통이며 수평적 의사소통은동일한 계층 내에서 동료들 간에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이다[19]. 의료기관은 진료부문의 전문화와 세분화가 이루어진 직능중심의 조직체계이자, 조직구성원의 80%가 자격과 면허를 취득한 전문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자를 중심으로 각각의 직종들이 동일한 치료목표를 공유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11]. 이와 같이 부문간 수평적인 상호작용이 있는 반면, 한편으로 각 직종내에는 계층적인 업무질서를 가진 피라미드형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의료기관의 의사소통은 상위계층간의 수직적인 관계가 강조되고 책임과 권한이 명확하며, 의사소통이 조언과 논의보다는 지시와 보고 등의 정보적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32]. 이에 따라 수평적 의사소통과 수직적 의사소통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32]. 따라서 간호사들의 팀워크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수평적 의사소통과 수직적 의사소통을 강화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의료기관의 조직적 특성과 직능 간의 수평구조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S. Y. Kang, H. K. Kwon , M. R. Cho, "Effects of nurses' teamwork on job satisfaction at hospital: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12, pp. 881-894, 2014. 

  2. M. Leonard, S. Graham, D. Bonacum, "The human factor: the critical importance of effective teamwork and communication in providing safe care.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Vol. 13(suppl 1), pp. i85-i90, 2004. 

  3. B. J. Kalisch, K. H. Lee. "Nurse staffing levels and teamwork: a cross-sectional study of patient care units in acute care hospital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 43, No. 1, pp. 82-88, 2011. 

  4. S. G. Leggat. "Effective healthcare teams require effective team members: defining teamwork competencies.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Vol. 7, No. 17, pp. 17-20, 2007. 

  5. Y. Kim. "The teamwork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Master thesis, p.43, Ajou University, 2014. 

  6. M. G. Choi. "The research of enjoyment, teamwork and role learning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sports education model. The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3, pp. 1-19, 2011. 

  7. J. T. Park. "Investigation of emotional experience in elementary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with physical education program (TOPPE).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Vol. 26, No. 3, pp. 39-55, 2015. 

  8. B. Ahn. "The impact of express hotel and convention center's organizational culture on teamwork and work satisfaction. Korea Research Academy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view", Vol. 16, No. 6, pp. 67-79, 2013. 

  9. M. Cleary, J. Horsfall, J. Mannix, M. O'Hara-Aarons, D. Jackson. "Valuing teamwork: Insights from newly-registered nurses working in specialist mental health serv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Vol. 20, No. 6, pp. 454-459, 2011. 

  10. S. Lee. "Relationships of nurses' teamwork skills to team effectiveness in nursing units." Master thesis, p.48, Busan Catholic University, 2013. 

  11. E. Hong. "A study on hospital nurses' level of communications and their perception of the organizational activities." Master Thesis, p.76, Kyunghee University, 2007. 

  12. J. Y. Lee. "Effective communication for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Medicine Association", Vol. 58, No. 2, pp. 100-104, 2015. 

  13. M. W. Leonard, A. S. Frankel. "Role of effective teamwork and communication in delivering safe, high quality care. A Journal of Translational and Personalized Medicine", Vol. 78, No. 6, pp. 820-826, 2011. 

  14. C. Lee.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organizational members on organizational creativity and mediation effects of teamwork competency." Master thesis, p.97, Chung-Ang University, 2014. 

  15. M. H. Cohen. "Professional communication and teamwork. Creative Nursing", Vol. 14, No. 1, pp. 17-23, 2008. 

  16. J. I. Hwang, J. Ahn. "Teamwork and clinical error reporting among nurses in Korean hospitals. Asian Nursing Research", Vol. 9, pp. 14-20, 2015. 

  17. L. Hatcher, T. L. Rose. "From individual incentive and organization wide gain sharing plan: Effects on teamwork and product qualit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12, No. 3, pp. 169-183, 1991. 

  18. M. J. Chung. "A Study on the effects of emotional ability on teamwork capability and business creation intention: centering on airline flight attendants." Ph.D. Dissertation, p.163, Kyonggi University, 2011. 

  19. B. K. Cha. "Introduction of communication. Seoul: Seayongsa", 2002. 

  20. C. W. Downs, M. D. Hazen. "A factor analytic study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The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Vol. 14, pp. 63-73, 1977. 

  21.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 39, No. 2, pp. 175-191, 2007. 

  22. M. J. Shapiro, J. C. Morey, S. D. Small, V. Langford, C. J. Kaylor, L. Jagminas, S, Suner, M. L. Salibury, R. Simon, G. D. Jay. " Simulation based teamwork training for emergency department staff: dose it improve clinical team performance when added to an existing didactic teamwork curriculum? Qulity of Safety Health Care", Vol. 13, No, 6, pp. 417-421. 2004. http://dx.doi.org/10.1136/qshc.2003.005447 

  23. S. E. Kim, C. W. Kim, S. J. Lee, J. H. Oh, D. H. Lee, T. H. Lim, H. J. Choi, H. S. Chung, J. Y. Ryu, H. Y. Jang, Y. H. Choi, S. J. Kim, J. H. Jung. " A questionnaire survey exploring healthcare professionals' attitudes towards teamwork and safety in acute care areas in South Korea. BMJ open", Vol. 5. No. 7, e007881, 2015.http://dx.doi.org/10.1136/bmjopen-2015-007881 

  24. J. C. Morey, R. Simon, G. D. Jay, R. L. Wears, M. Salisbury, K. A. Dukes, S. D. Berns. "Error reduction and performance improvement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rough formal teamwork training: evaluation results of the MedTeams Project. Health Service Research", Vol. 37, No. 6, pp. 1553-1581, 2002. 

  25. E. Salas, N. J. Sims, C. S. Burke, "Is there a "big five" in teamwork? Small Group Research", Vol. 36, pp. 555-599, 2005. 

  26. T. Manser. "Teamwork and patient safety in dynamic domains of healthcar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cta Anaesthesiologica Scandianvica", Vol. 53, pp. 143-151, 2009. 

  27. D. A. Wiegmann, A. W. ElBardissi, J. A. Dearani, R. C. Daly, T. M. Sundt. "Disruptions in surgical flow and their relationship to surgical errors: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Surgery", Vol. 142, pp. 658-665, 2007. 

  28. L. Lingard, S. Espin, S. Whyte, G. Regehr, G. R. Baker, R. Reznick, J. Bohnen, B. Orser, D. Doran, E. Grober. "Communication failures in the operating room: an observational classification of recurrent types and effects. Quality of Safe Health care", Vol. 13, pp. 330-334, 2004. 

  29. R. Flin, G. Fletcher, P. McGeorge, A. Sutherland, R. Patey. "Anaesthetist's attitudes to teamwork and safety. Anaesthesia", Vol. 58, pp. 233-242, 2003. 

  30. W. Ummenhofer, F. Amsler, P. M. Sutter, B. Martina, J. Martin, D. Scheidegger. "Team performance in the emergency room assessment of inter disciplinary attitudes. Resuscitation", Vol. 49, pp. 39-46, 2001. 

  31. J. B. Sexton, E. J. Thomas, R. L. Helmrdic. "Error, stress, and teamwork in medicine and aviation: cross sectional survey. BMJ", Vol. 320, pp. 745-749, 2000. 

  32. Y. H. Kim. "The relation of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ulture perception, conflict experience, commitment of hospital employees in Korea." Ph. D. Dissertation, p.100, Yonsei University, 2001. 

  33. J. B. Sexton, M. A. Makary, A. R. Tersigni, D. Pryor, A. Hendrich, E. J. Thomas, C. G. Holzmueller, A. P. Knight, Y. Wu, P. J. Pronovost. "Teamwork in the operating room; frontline perspectives among hospitals and operating room personnel. Anesthesiology", Vol. 105, pp. 877-884, 2006. 

  34. J. Stain-Purbery, J. Liaschenko. "Understanding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physicians as knowledge at work.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Vol. 16, pp. 470-477, 2007. 

  35. L. Lingard, S. Whyte, S. Espin, G. R. Baker, B. Orser, D. Doran. "Towards safer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constructing a model of "utility" from preoperative team briefings.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Vol. 20, pp. 471-483, 2006. 

  36. P. J. Pronovost, J. King, C. G. Holzmueller, M. Sawer, S. Bivens. M. Micheal, et al. "A web based tool for the comprehensive unit based safety program(CUSP).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Vol, 32, No. 2, pp. 119-129, 2006. 

  37. J. Timmel, P. S. Kent, C. G. Holzmueller, L. Paine, R. D. Schulick, P. J. Pronovost. "Impact of the comprehensive unit based safety program(CUSP) on safety culture in a surgical inpatient unit. The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Vol. 36, No. 6, pp. 252-260, 2010. 

  38. M. Cooper, M. A. Makary. "A comprehensive unit based safety program(CUSP) in surgery: improving quality through transparency. The Surg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92, pp. 51-63, 2012. 

  39. J. Weller, M. Boyed, D. Cumin. "Teams, tribes and patient safety: overcoming barriers to effective teamwork in healthcare.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Vol. 90, pp. 149-154, 2014. http://dx.doi.org/10.1136/postgradmdej-2012-131168 

  40. Mi-Jin Kim, Gyun-Young Kang, "The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of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 39-47, 2015. 

  41. Eun-Yeon Lee, Kyung-Hee Shon,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with job stress in nurs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3, pp. 87-95,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