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당뇨병 관리 자기효능감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Diabetes Management Self-efficacy Scale for Older Adults (DMSES-O)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1 no.3, 2014년, pp.184 - 194  

송미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최수영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  김세안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서경산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이수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김은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diabetes management self-efficacy scale for older adults (DMSES-O). Methods: A preliminary DMSES-O of 22 items was derived from a literature review and seven domains of self-management behaviors. Content validity was confirmed by exp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노인의 자기관리 행위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제2형 당뇨병 노인의 자기관리 행위와 관련된 자기효능감 측정도구(Diabetes Management Selfefficacy Scale for Older adults, DMSES-O)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 당뇨병교육자협회(AADE)에서는 당뇨병 자기관리 영역을 새롭게 7가지로 분류하고 AADE7로 명명하였는데 7가지의 종류는 무엇입니까? 또한 AADE에서는 최근의 연구결과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한 후 당뇨병 자기관리 영역을 새롭게 7가지로 분류하고 AADE7로 명명하였다(Boren, 2007). AADE7에는 기존의 당뇨병 자기관리 영역인 운동, 식이, 혈당 모니터링, 투약 이외에 혈당 조절과 관련된 문제해결(저혈당, 고혈당, 아픈 날), 당뇨 합병증에 대한 위험요인 감소(검진, 금연, 발 관리, 체중 및 혈압조절, 백신접종), 그리고 지속적인 당뇨병 관리에 필요한 심리사회적 적응(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관리) 영역이 새롭게 포함되었다. 추가된 자기관리 영역은 대한당뇨병학회에서 2011년과 2013년에 각각 발간한 당뇨병 진료지침에도 반영되어 기존의 운동, 식이, 혈당 모니터링, 투약 이외에 저혈당, 아픈 날의 관리, 백신접종에 대한 지침이 포함되었으나, 고혈당 시 문제해결, 사회적 지지를 통한 심리사회적 적응에 대한 지침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당뇨병 환자의 경우 자기효능감은 더욱 중요한데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자기관리는 만성질환을 가진 개인이 자신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건강전문가의 권고에 따르는 행동을 의미하며(Coulter & Ellins, 2009), 자기효능감은 자기관리를 포함하여 다양한 건강 관련 행위를 실천하기 위한 개인의 의지와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개념이다(Anderson, Funnell, Fitzgerald, & Marrero, 2000). 장기간 지속적으로 자기관리 수행이 필요한 당뇨병 환자의 경우 자기효능감은 더욱 중요한데, 자기효능감이 자기관리 수행이나 유지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정도나 우울에 대한 민감성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Sacco et al., 2007). 지난 20년간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선행연구들에서 자기효능감은 자기관리 수행과 당뇨병 관련 생리적 지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영향요인이었다(Venkataraman et al.
자기관리는 어떠한 행동을 의미합니까? 자기관리는 만성질환을 가진 개인이 자신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건강전문가의 권고에 따르는 행동을 의미하며(Coulter & Ellins, 2009), 자기효능감은 자기관리를 포함하여 다양한 건강 관련 행위를 실천하기 위한 개인의 의지와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개념이다(Anderson, Funnell, Fitzgerald, & Marrero, 2000). 장기간 지속적으로 자기관리 수행이 필요한 당뇨병 환자의 경우 자기효능감은 더욱 중요한데, 자기효능감이 자기관리 수행이나 유지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정도나 우울에 대한 민감성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Sacc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derson, R. M., Funnell, M. M., Fitzgerald, J. T., & Marrero, D. G. (2000). The diabetes empowerment scale: A measure of psychosocial self-efficacy. Diabetes Care, 23 (6), 739-743. http://dx.doi.org/10.2337/diacare.23.6.739 

  2.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2), 191-215. http://dx.doi.org/10.1037//0033-295x.84.2.191 

  3. Boren, S. A. (2007). $AADE7^{TM}$ self-care behaviors: Systematic reviews. The Diabetes Educator, 33 (6), 866-871. http://dx.doi.org/10.1177/0145721707309662 

  4. Brown, A. F., Mangione, C. M., Saliba, D., & Sarkisian, C. A. (2003). Guidelines for improving the care of the older person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1 (5 Suppl Guidelines), S265-280. http://dx.doi.org/10.1046/j.1532-5415.51.5s.1.x 

  5. Burnside, I., Preski, S., & Hertz, J. E. (1998). Research instrumentation and elderly subject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0 (2), 185-190. http://dx.doi.org/10.1111/j.1547-5069.1998.tb01278.x 

  6. Caro-Bautista, J., Martin-Santos, F. J., & Morales-Asencio, J. M. (2014). Systematic review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theoretical grounding of instruments evaluating self-care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0 (6), 1209-1227. http://dx.doi.org/10.1111/jan.12298 

  7. Chang, S. J., & Song, M. (2009).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questionnaire for olde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1 (2), 235-244. 

  8. Choi, S., Song, M., Chang, S. J., & Kim, S. A. (2014). Strategies for enhancing information, motivation, and skills for self-management behavior changes: a qualitative study of diabetes care for older adults in Korea. Patient Preference and Adherence, 8, 219-226. http://dx.doi.org/10.2147/PPA.S58631 

  9. Conn, V. S., & Russell, C. L. (2005). Self-management of chronic illnesses among aging adult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1 (5), 4. http://dx.doi.org/10.3928/0098-9134-20050501-03 

  10. Coulter, A., & Ellins, J. (2009). Changing attitudes to the role of patients in health care. In S. Newman, L. Steed & K. Mulligan (Eds.), Chronic physical illness: Self-management and behavioural interventions (pp.29). NewYork: McGrawHill. 

  11. Daly, M. E., Paisey, R., Paisey, R., Millward, B. A., Eccles, C., Williams, K., et al. (2006). Short-term effects of severe dietary carbohydrate-restriction advice in type 2 diabetes-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iabetic Medicine, 23 (1), 15-20. http://dx.doi.org/10.1111/j.1464-5491.2005.01760.x 

  12. Glasgow, R. E., Peeples, M., & Skovlund, S. E. (2008). Where is the patient in diabetes performance measures?: The case for including patient-centered and self-management measures. Diabetes Care, 31 (5), 1046-1050. http://dx.doi.org/10.2337/dc07-1845 

  13. Haas, L., Maryniuk, M., Beck, J., Cox, C. E., Duker, P., Edwards, L., et al. (2014). National standards for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and support. Diabetes Care, 37 (Suppl 1), S144-153. http://dx.doi.org/10.2337/dc14-S144 

  14. Kara, M., van der Bijl, J. J., Shortridge-Baggett, L. M., Asti, T., & Erguney, S. (2006). Cross-cultural adaptation of the diabetes management self-efficacy scale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scale develo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3 (5), 611-621.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5.07.008 

  15. Kim, S. H., Song, M., Park, Y. H., Song, W., Cho, B. L., Lim, J. Y., et al. (2011).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contents of the self-management education program integrated with exercise training (HAHA program) for older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8 (2), 169-181. http://dx.doi.org/10.5953/jmjh.2011.18.2.169 

  16. Kirkman, M. S., Briscoe, V. J., Clark, N., Florez, H., Haas, L. B., Halter, J. B., et al. (2012). Diabetes in older adults. Diabetes Care, 35 (12), 2650-2664. http://dx.doi.org/10.2337/dc12-1801 

  17. Korea Centers for Disease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1-1351159-000027-10).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8.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The 2011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11-1352000-000672-12).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9. Lee, E. O., Lim, N. Y., Park, H. A., Lee, I. S., Kim, J. I., Bai, J. Y., et al. (2009).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 Seoul: Soomoonsa. 

  20. Peyrot, M., Peeples, M., Tomky, D., Charron-Proc hownik, D., & Weaver, T. (2007). Development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diabetes educators' diabetes self-management assessment report tool. The Diabetes Educator, 33 (5), 818-826. http://dx.doi.org/10.1177/0145721707307614 

  21. Sacco, W. P., Wells, K. J., Friedman, A., Matthew, R., Perez, S., & Vaughan, C. A. (2007). Adherence, body mass index, and depression in adults with type 2 diabetes: the mediational role of diabetes symptoms and self-efficacy. Health Psychology, 26 (6), 693-700. http://dx.doi.org/10.1037/0278-6133.26.6.693 

  22. Seo, K., & Song, M.(2012). Relationships of motivational factors and diabetes self-management behavior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9(3), 308-318. http://dx.doi.org/10.5953/JMJH.2012.19.3.308 

  23. Song, M., Kim, S. A., Choi, S., Seo, K., Lee, S. J., & Kim, E. H. (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diabetes selfmanagement knowledge scale for older adults (DSMK-O).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3 (3), 537-550. 

  24. Sturt, J., Hearnshaw, H., & Wakelin, M. (2010).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MSES UK: a measure of self-efficacy for type 2 diabetes self-management. Primary Health Care Research & Development, 11 (4), 374-381. http://dx.doi.org/10.1017/s1463423610000101 

  25. Terwee, C. B., Mokkink, L. B., Knol, D. L., Ostelo, R. W., Bouter, L. M., & de Vet, H. C. (2012). Rating the methodological quality in systematic reviews of studies on measurement properties: A scoring system for the COSMIN checklist. Quality of Life Research, 21 (4), 651-657. http://dx.doi.org/10.1007/s11136-011-9960-1 

  26. Toobert, D. J., Hampson, S. E., & Glasgow, R. E. (2000).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measure: Results from 7 studies and a revised scale. Diabetes Care, 23 (7), 943-950. http://dx.doi.org/10.2337/diacare.23.7.943 

  27. van der Bijl, J., van Poelgeest-Eeltink, A., & Shortridge-Baggett, L. (1999).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diabetes management self-efficacy scale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0 (2), 352-359. http://dx.doi.org/10.1046/j.1365-2648.1999.01077.x 

  28. Venkataraman, K., Kannan, A., Kalra, O., Gambhir, J., Sharma, A., Sundaram, K. R., et al. (2012). Diabetes self-efficacy strongly influences actual control of diabetes in patients attending a tertiary hospital in India. Journal of Community Health, 37 (3), 653-662. http://dx.doi.org/10.1007/s10900-011-9496-x 

  29. Wallston, K., Rothman, R., & Cherrington, A. (2007).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erceived self-management diabetes scale (PDSM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30 (5), 395-401. http://dx.doi.org/10.1007/s10865-007-9110-y 

  30. Welschen, L. M. C., Bloemendal, E., Nijpels, G., Dekker, J. M., Heine, R. J., Stalman, W. A. B., et al. (2005).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who are not using insulin: A systematic review. Diabetes Care, 28 (6), 1510-1517. http://dx.doi.org/10.2337/diacare.28.6.15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